• Title/Summary/Keyword: VOD이용패턴

Search Result 16,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n Analysis of Distinct Characteristics Between Free VOD and Paid VOD Users (IPTV 무료VOD이용자와 유료VOD이용자 간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Lee, Seonmi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5
    • /
    • pp.467-475
    • /
    • 2020
  • As the growth rate of IPTV VOD usage increases it is necessary to analyze VOD usage patterns systematically. This study divides VOD users into free VOD and paid VOD users, then explores how VOD usage motivations, usage patterns, and demographic factors affect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The results show that social motivation, VOD satisfaction, using content after the holdback expiration, an intention to pay for ad-skip, the proportion of VOD usage, a VOD give-up experience, TV usage time, and SVOD usage tim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the VOD satisfaction factor, all of the factors analyzed are more likely to expect paid VOD users. Additionally this study found paid VOD users are more likely to use a SVOD service as an alternative one compared with free VOD users.

Viewing Pattern of IP-VOD Subscribers (IPTV 가입자의 VOD 서비스 이용 태도 : 20, 30대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 Lee, Moon-Hae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1
    • /
    • pp.181-191
    • /
    • 2010
  • The number of subscribers of Broad & TV, Qook TV and My LG TV has been growing rapidly. It has been achieved at 1.7 million on August 2009.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viewing pattern of IP-VOD subscribers. For this research, we have interviewed 34 VOD users. According to the analyse, the VOD users prefer to watch free TV's programs, particularly variety programs, during 2 or 3 hours per view and 2 or 3 times a week. They use in general VOD service alone unlike the traditional TV viewers. Furthermore, There were single viewers who have used more than 8 hours continuously on weekend.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VOD Viewing Pattern of Users in IPTV Platform (IPTV에서의 VOD 시청패턴 결정 요인에 관한 실증 분석)

  • Cho, Shin;Kim, Hee S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4
    • /
    • pp.153-167
    • /
    • 2015
  •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s specific characteristics of VOD users and their practical viewing patterns, using socio-demographic data of the current IPTV subscribers in combination with actual data of genre usage and payment. The findings revealed active viewing patterns of male, the unemployed, high earners and early adopters. In terms of preferences, households with large numbers of women prefer time shift contents, whereas households composed of more men or preschoolers prefer non-time shift contents. Likewise, the households that have more women or higher income had relatively a lot of experiences of purchasing time shift contents on one hand, but the households characterized by the larger numbers of family members or unemployed householder or young householder showed much willingness to pay premium contents on the other hand. Given the utilization of correct database, the findings offer useful information conducive to service promotion and marketing strategies to maximize VOD use in the practical dimension.

Introduction of Mobile Supporting Functionalities for Promoting the VOD Service of a Digital Cable Broadcasting (디지털케이블방송사의 VOD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모바일 지원 기능 개발 사례)

  • Ko, Kwangil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5 no.3
    • /
    • pp.339-346
    • /
    • 2014
  • VOD Service, which has established a solid foothold as a profit model of digital broadcasting companies, is emerging as a key application of the N-screen technologies and services. In the circumstance, broadcasting companies are trying to promoting their VOD services by providing mobile services for improving the VOD service usability. The paper introduces a VOD mobile app (of a domestic digital cable broadcasting), which includes the functions of promoting the VOD programs and events printed on a VOD guide book, directly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e.g., book-marking and remote-control signals) to a set-top box, and watching the video contents stored in the mobile device on TV.

Effects of Using Shot Clip on the Broadcasting Viewing Intention (방송클립동영상 이용이 방송 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 Cho, Sukhyun;Lee, Hyunji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10
    • /
    • pp.645-655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shot clip' using variables influencing on the VOD purchase intention and watching intention of real-time broadcasting. This research focused on usage motivation, usage experience such as use time, time of utilization, genre, utilization pattern. Controlling demographic factors, results show that personal relation, benefit against whole broadcast, education genre, watching video, video sharing and recommendation were statistically influential to VOD purchase intention. And, results show that flexibility of use, drama/movie genre, read and write comments were statistically influential to watching intention of real-time broadcasting.

NOD Caching Strategy using User-Preference Pattern for Time-Window (구간별 사용자 요구 패턴을 이용한 NOD에서의 캐싱 방법)

  • 최태욱;박용운;김영주;정기동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1998.04a
    • /
    • pp.71.1-75
    • /
    • 1998
  • NOD 데이터는 VOD 데이터에 비해서 life cycle이 짧다. 그리고 사용자의 접근성이 높으며, 접근패턴도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VOD 데이터와 같이 NOD 뉴스기사의 경우 특정 기사들에 집중적으로 접근된다. 그리고 이러한 인기 있는 기사들은 시간대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인기도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서 시계열분석방법중의 하나인 지수평활법(exponenital smoothing method)을 사용한다. 시간대별 타임윈도우로 나누고 이전의 윈도우들의 접근패턴을 분석하여 다음 접근을 예측한다. 그리고 이 예측값을 이용해서 캐시정책을 새운다. 즉 예측값이 높은 기사순으로 캐시에 배치하는 것이다. 실시간 멀티미디어데이터의 경우 데이터의 방대함으로 연산의 오버헤드가 크다. 따라서 정적인 캐싱전략을 사용하는데, 하나의 윈도우동안 재배치하는 한번으로 한다는 것이다. 전통적인 block 단위 캐싱은 멀티미디어데이터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기사단위의 캐시구조를 제안한다. 사용자는 기사단위로 요청을 하기 때문에 재사용을 위해서는 기사단위로 캐시되야 한다.

  • PDF

An Efficient Patching Scheme Based on P2P Proxy for VOD Systems (VOD 시스템을 위한 P2P 프록시 기반의 효율적인 패칭 기법)

  • Kwon Chun-Ja;Choi Chi-Kyu;Choi Hwa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221-224
    • /
    • 2004
  • 본 논문은 프록시의 prefix 패칭 기법을 적용하는 서버-프록시-클라이언트로 이루어진 VOD 시스템 상에서 서버에 대한 부하의 집중을 줄이기 위하여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버퍼링과 재전송을 이용하는 P2P 프록시 패칭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패칭 윈도우의 크기를 벗어나는 요청에 대하여 VOD 서버가 새로운 정규 채널을 생성하는 대신 이전의 패칭 그룹에 속한 클라이언트로부터 정규 스트림을 전송받음으로써 서버로 집중되는 부하를 줄인다. 또한 프록시 서버를 기반으로 한 LAN 환경내에서 클라이언트들의 상태 정보로 활용하기 위해 패칭 그룹에 대한 인덱스를 구성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prefix 크기와 비디오의 접근 패턴, 그리고 평균 요청 간격에 따른 서버의 대역폭 요구량을 측정한 결과 제안된 기법이 기존의 패칭 기법보다 서버의 대역폭 요구량이 현저히 감소함을 보인다.

  • PDF

Adaptive QoS Management for MPEG-4 Streaming Service over Internet (인터넷 기반의 MPEG-4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적응적 QoS 관리)

  • 최지훈;이상조;서덕영;김현철;이명호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5 no.2
    • /
    • pp.227-238
    • /
    • 2000
  • This paper, at first, provides analysis on loss pattern of Internet based on real experiments of the current Internet. Then, we propose an effective adaptive QoS management technique, in which measured loss pattern as well as PLR (Packet Loss Ratio) are used to select titrate of temporal scalability. level of FEC and retransmission This selection is also incorporated to the MPEG-4 error resilience tools and error concealment techniques. In order to minimize effect of packet loss, multimedia stream is segmented in the unit of group of Pictures (GOP) and interleaving and FEC are applied to the segment. Proposed algorithms are applied to build a VOD system.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VOD Buffer Scheduler Using Database (Database를 이용한 VOD 버퍼 스케쥴러의 설계 및 구현)

  • Lee, Young-Joo;Lee, Su-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189-193
    • /
    • 2000
  • VBR로 압축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비트 변화율이 매우 큰 편차로 변하기 때문에 자원 예약관리가 매우 힘들다. 따라서 MPEG데이터의 참조 패턴을 오프라인으로 분석한 메타 테이블을 근거로 과부하 구간에서 미리 선반입하여 시스템의 활용율을 높이는 선반입 기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기존의 선반입 기법은 상영실패는 발생하지 않으나, 과부하 구간에서 선반입 임계 슬롯의 증가로 인하여 버퍼 점유량이 증가하며 이는 선반입 기법에서 가장 중요한 평가 요소인 최소의 적재시간과 적재비용을 유지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선반입 구간을 고정적으로 사용하여, 적재비용과 적재시간을 일정한 범위 이하로 유지하면서 시스템 자원의 활용율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아울러 VOD서버에서 수 백편의 영화를 저장하여 다수의 사용자에게 서비스하는 상황에서 선반입 기법을 사용할 경우, 메타 테이블의 관리가 힘들어지는데 본 논문에서는 메타 테이블과 버퍼 스케쥴러를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함으로써 메타 테이블의 관리를 편리하게 하였다.

  • PDF

VOD Service using Distributed Proxy (분산 프록시를 사용한 VOD 서비스)

  • Kim, Young-June;Kim, Ik-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233-236
    • /
    • 2002
  • 본 논문은 인터넷상에서 다양한 매체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할 때 생길 수 있는 긴 사용자-서버간 지연, 엄청난 서버의 부하, 네트워크 자원의 비효율적 사용과 같은 문제점들을 위한 개선된 방법으로 사용자에 가까운 복수의 노드들을 두어 서버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는 방법에 대해 다루고 있다. 새로운 분산 Proxy 기법은 VOD 서비스를 원하는 사용자들이 통일한 아이템에 대한 요청이 많은 서비스 패턴을 분석해서, 중복된 네트워크 부하는 줄이는 과정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요청한 영화는 서버에서 전송을 받는데 이때, HEN(Head-End-Node)에 구현된 여러 Proxy에 아이템의 일부를 나누어 저장하고 이에 대한 정보 보관과 제어를 SA(Switching Agent)가 하게 된다. 사용자가 서비스를 요청할 경우 SA의 제어 하에 분산 Proxy에 교호적으로 접속을 하여 저장되어 있는 부분적인 데이터들을 서비스 받도록 한다. 이때 Proxy에 새로운 데이터 블록을 저장할 때는 부족한 저장공간으로 인해 LRU(Least Recently Used), LFU(Least Frequently Used), 또는 이들을 복합한 Hybrid 정책을 사용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