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C reduction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7초

OZIPR 모델링 결과의 민감도 분석 (A Sensitivity Analysis of the OZIPR Modeling Result for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이선화;;김용표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99-108
    • /
    • 2011
  • To establish area specific control strategies for the reduction of the ozone concentration, the Ozone Isopleth Plotting Package for Research(OZIPR) model has been widely used. However, the model results tend to changed by various input parameters such as the background concentration, emission amount of NOx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nd meteorological condition. Thus, sensitivity analysis should be required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 The OZIPR modeling results for five local government distric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MA) in June 2000 were used for the sensitivity analysis. The sensitivity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modeling result of the SMA being VOC-limited region be still valid for a wide range of input parameters' variation. The estimated ozone concentrations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the initial VOCs concentrations while were negatively related with the initial NOx concentrations. But, the degree of the variations at each local district was different suggesting area specific characteristics being also important. Among the five local governments, Suwon was chosen to identify other variance through the period from April to September in 2000. The monthly modeling results show different ozone values, but still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VOCs-limited region. Limitations due to not considering long range transport and transfer from neighbor area, limitation of input data, error between observed data and estimated data are all discussed.

조선소 블록 도장시설에서의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총 탄화수소 농도측정 사례 (A Case Study on the Measurement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Total Hydrocarbon Concentrations in Block Paint-Shops at a Shipyard)

  • 양성봉;유미선;우경빈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8호
    • /
    • pp.1177-1189
    • /
    • 2016
  • In order to prepare the information needed to construct a reduction system f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exhausted from ship-block paint-booths in a giant shipyard, VOCs in paint-shop airs were analyzed and compared to the components in paint thinners. Aromatic hydrocarbons containing eight and nine carbon atoms are known to be major VOC compounds found in shipyard paint-shops. The total hydrocarbon (THC(C7)) concentrations calibrated using toluene gas, were measured in block paint-shops with two photo-ionization detector (PID) meters, and the resulting THC(C7) data were converted to THC(C1) concentrations according to the Standard Methods for the Measurements of Air Pollution in South Korea. THC(C1) concentrations near the spray site ranged from 10 to 2,000 ppm, but they were less than 400 ppm near the walls of the paint-booth. The measurements of THC concentrations, based on the height of the monitoring sites, were related to the height of the target to which the spray paints were applied. The maximum concentrations occurred at almost the same height as the spray targets. When painted blocks had been dried-by warming with no spraying, the THC concentrations were 80~100 ppm.

실내식물의 휘발성유기화합물질 정화에 관한 연구 (Purification Ability of Indoor Plants f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 박소영;김정;장영기;성기준
    • 환경영향평가
    • /
    • 제15권6호
    • /
    • pp.417-423
    • /
    • 2006
  • The purification ability of indoor plants f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was investigated. Philodendron selloum and Spathiphyllum sp. were tested for removal of toluene and trichloroethylene in the artificially contaminated reactor under laboratory conditions. Each plant was placed in right side of the reactor and the TCE and toluene concentration change with time were monitored. In the reactor with Philodendron, the TCE concentrations of left and right sides were compared to examine the removal effects by plant. In the reactor with Spathiphyllum, air was circulated before sampling, and thus average removal effects by plants on target VOC were observed. Both plants showed clear effects on removal of VOCs from contaminated indoor air. The removal efficiency of Philodendron and Spathiphyllum were similar and showed 30 - 46% and 31 - 47% of purification effect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ir purification using plants is an effective means of reduction on indoor VOCs concentration level and reduce related health risk though, supplementary purifying aids or proper ventilation were also suggested.

Effects of solanum macrocarpon (African eggplant) on haematological parameters of wistar rats exposed to urban air pollution

  • Olajire, A.A.;Azeez, L.
    •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 /
    • 제1권2호
    • /
    • pp.109-123
    • /
    • 2012
  • Our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olanum macrocarpon (African eggplant) on haematological and biochemical parameters of male albino rats exposed to urban air pollution ($O_3$, $PM_{10}$, CO, $SO_2$, $NO_2$ and VOC). Male albino Wistar rats were exposed for 63 days either to urban air pollution without treatment (A); oral supplementation with Solanum macrocarpon given at 36 and 75 mg/kg body weight (BW), representing C and D respectively and exposed to air pollution; oral supplementation with Solanum macrocarpon given at 75 mg/kg BW after exposure to air pollution (B); or kept in animal house without exposure to air pollution (E). Animals exposed to air pollution showed significant alterations in haematological and biochemical parameters signaling that the blood and organs were badly injured. There were significant elevations in white blood cells (WBC) and its indices, reduction in red blood cells (RBC) and significant depletions of non-enzymic antioxidants, total protein and increase in lipid peroxidation values. Solanum macrocarpon supplementation in the feed of animals halted significantly the deleterious effects of air pollution, with co-administration during exposure given better results.

Se원소의 증발조건이 Cu(InGa)Se$_2$ 박막 태양전지 특성에 미치는 영향 (Characterization of Cu(InGa)Se$_2$ Solar Cells with Se Evaporation Conditions)

  • 김석기;이정철;강기환;윤경훈;박이준;송진수;한상옥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83-386
    • /
    • 2002
  • Polycrystalline Cu(In,Ga)Se$_2$(CIGS) thin-films were grown by co-evaporation on a soda lime glass substrate. In this paper the effects of the Se evaporation temperature on the properties of CuIn0.75Ga0.25Se2 (CIGS) thin films. Structure, surface morphology and optical properties of CIGS thin films deposited at various Se evaporation temperatures have been investigated using a number of analysis techniques. X-ray diffraction (XRD) analysis shows that CIGS films exhibit a strong <112> preferred orientation. As expected, at higher Se evaporation temperatures the films displayed a lower degree of crystallinity. The <112> peak was also enhanced and other CIGS peaks appeared simultaneously. These results were supported by experimental work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When the Se evaporation temperature was increased, the average grain size also decreased together with a reduction Cu content. The Se evaporation temperature also had a significant inf1uence on the transmission spectra. Increasing the Se evaporation temperature, the cell efficiency was improved dramatically to 11.75% with Voc = 556 mV, Jsc = 32.17 mA/cm2 and FF = 0.66. The Se evaporation temperature is an important parameter in thin film deposition regardless of the deposition technique being used to deposit thin films

  • PDF

Rapid Thermal Oxidation 기반의 표면 보호막을 이용한 n-type 실리콘 태양전지의 제작과 전기적 특성 분석 (N-type Silicon Solar Cell Based on Passivation Layer Grown by Rapid Thermal Oxidation)

  • 류경선;김성진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18-21
    • /
    • 2013
  • $SiO_2$ layer grown by rapid thermal oxidation and $SiN_x$ layer were used for passivating the surface of n-type silicon solar cell, instead of only $SiN_x$ layer generally used in photovoltaic industry. The rapid thermal oxidation provides the reduction of processing time and avoids bulk life time degradation during the processing. Improvement of 30 mV in Voc and $2.7mA/cm^2$ in Jsc was obtained by applying these two layers. This improvement led to fabrication of a large area ($239cm^2$) n-type solar cell with 17.34% efficiency. Internal quantum efficiency measurement indicates that the improvement comes from the front side passivation, but not the rear side, by using $SiO_2/SiN_x$ stack.

Pilot 규모의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휘발성유기화합물질 제거 (The Treatment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Using a Pilot-Scale Biofilter)

  • 손현근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45-252
    • /
    • 2004
  • 실제 규모(pilot-scale)의 바이오필터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각기 다른 운영 여건하에서 두번에 걸친 바이오필터 테스트가 행하여졌다. 첫 번째 실험은 페인트 부스에서 발생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질 처리에 맞추어져 행하여졌다. 바이오필터의 미디어 자체 부피는 4.3 $m^3$이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바이오필터를 30일 동 안 운영하였는데, VOC제거효율이 99.9%에 이르렀다. 바이오필터 미디어 내부의 각 단계(stage)에서 측정한 온 도의 범위는 $34^{\circ}C$-$73^{\circ}C$였다. 미디어 각 단계에서 측정된 온도는 실험 초기에는 급격히 상승하였고 이후에 점차 로 낮아짐이 관찰되었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바이오필터를 14일간 운영하였는데, 반응기가 실외에 설치되었고 실험이 겨울에 행해짐에 따라 바이오필터의 온도 조절이 필요하였다. 7 cm 두께의 단열재와 $150^{\circ}C$의 스팀이 온 도조절을 위해 이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겨울철 바이오필터 운영상에 발생할 수 있는 온도조절 문제에 대하여 단열재와 스팀이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보였다. 미디어 내부의 온도는 단계 5(stage # 5)에서 가장 높았 으며, 단계 1(stage # 1)에서 가장 낮았다. 두 차례에 걸친 실험에서, 실제 규모(pilot-scale)의 바이오필터 내부의 높이 위치별, 단계별 온도변화에 대한 밀도있는 연구가 이루어졌다. 하중이 바이오필터의 운영에 미치는 영향이 본 실험들을 통해 관찰되어졌고, 바이오필터에 대한 최대 하중 결정 과정에는 추가적인 적응시간 및 실험기간이 요구되었다.

항만지역등 대기질 개선에 관한 특별법 도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변화 분석 -인천항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Changes in Air Pollutant Emissions Due to the Introduction of the Special Act on the Improvement of Air Quality in Port Areas -Focusing on Incheon Port)

  • 이민우;이향숙;이정욱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07-122
    • /
    • 2023
  • 본 연구는 3년간 단계적으로 도입되고 있는 선박 연료유 황 함유량 규제정책의 대기오염물질 배출저감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부가적으로 VSR과 AMP의 배출저감 효과도 분석하였다. 분석은 EEA에서 제공하고 있는 NOx, CO, VOC, SOx, TSP, PM10, PM2.5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의 공간적 범위는 우리나라 수도권에 위치하여 대기오염에 대한 파급효과가 큰 인천항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은 다음과 같이 시나리오 1: 정책이 없는 경우 시나리오 2: 연료유 황 함량 규제만 시행하는 경우 시나리오 3: 연료유 황 함량 규제, VSR, AMP를 반영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시나리오 1의 경우 3년의 기간 동안 4,801톤, 4,932톤, 5,144톤의 대기오염물질이 배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시나리오 2는 4,219톤, 4,152톤, 3,989톤이 배출되었고, 시나리오 3은 4,198톤, 4,138톤, 3,973톤이 배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항만 대기환경관리와 인천광역시 대기관리의 기초연구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이학습 기반 다중 컨볼류션 신경망 레이어의 활성화 특징과 주성분 분석을 이용한 이미지 분류 방법 (Transfer Learning using Multiple ConvNet Layers Activation Features with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r Image Classification)

  • 바트후 ?바자브;주마벡 알리하노브;팡양;고승현;조근식
    • 지능정보연구
    • /
    • 제24권1호
    • /
    • pp.205-225
    • /
    • 2018
  •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onvNet)은 시각적 특징의 계층 구조를 분석하고 학습할 수 있는 대표적인 심층 신경망이다. 첫 번째 신경망 모델인 Neocognitron은 80 년대에 처음 소개되었다. 당시 신경망은 대규모 데이터 집합과 계산 능력이 부족하여 학계와 산업계에서 널리 사용되지 않았다. 그러나 2012년 Krizhevsky는 ImageNet ILSVRC (Large Scale Visual Recognition Challenge) 에서 심층 신경망을 사용하여 시각적 인식 문제를 획기적으로 해결하였고 그로 인해 신경망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을 다시 불러 일으켰다. 이미지넷 첼린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이미지 데이터와 병렬 컴퓨팅 하드웨어 (GPU)의 발전이 Krizhevsky의 승리의 주요 요인이었다. 그러므로 최근의 딥 컨볼루션 신경망의 성공을 병렬계산을 위한 GPU의 출현과 더불어 ImageNet과 같은 대규모 이미지 데이터의 가용성으로 정의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요소는 많은 도메인에서 병목 현상이 될 수 있다. 대부분의 도메인에서 ConvNet을 교육하기 위해 대규모 데이터를 수집하려면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대규모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어도 처음부터 ConvNet을 교육하려면 많은 자원과 시간이 소요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전이 학습을 사용하면 해결할 수 있다. 전이 학습은 지식을 원본 도메인에서 새 도메인으로 전이하는 방법이다. 전이학습에는 주요한 두 가지 케이스가 있다. 첫 번째는 고정된 특징점 추출기로서의 ConvNet이고, 두번째는 새 데이터에서 ConvNet을 fine-tuning 하는 것이다. 첫 번째 경우, 사전 훈련 된 ConvNet (예: ImageNet)을 사용하여 ConvNet을 통해 이미지의 피드포워드 활성화를 계산하고 특정 레이어에서 활성화 특징점을 추출한다. 두 번째 경우에는 새 데이터에서 ConvNet 분류기를 교체하고 재교육을 한 후에 사전 훈련된 네트워크의 가중치를 백프로퍼게이션으로 fine-tuning 한다. 이 논문에서는 고정된 특징점 추출기를 여러 개의 ConvNet 레이어를 사용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그러나 여러 ConvNet 레이어에서 직접 추출된 차원적 복잡성을 가진 특징점을 적용하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문제이다. 우리는 여러 ConvNet 레이어에서 추출한 특징점이 이미지의 다른 특성을 처리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즉, 여러 ConvNet 레이어의 최적의 조합을 찾으면 더 나은 특징점을 얻을 수 있다. 위의 발견을 토대로 이 논문에서는 단일 ConvNet 계층의 특징점 대신에 전이 학습을 위해 여러 ConvNet 계층의 특징점을 사용하도록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크게 세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이미지 데이터셋의 이미지를 ConvNet의 입력으로 넣으면 해당 이미지가 사전 훈련된 AlexNet으로 피드포워드 되고 3개의 fully-connected 레이어의 활성화 틀징점이 추출된다. 둘째, 3개의 ConvNet 레이어의 활성화 특징점을 연결하여 여러 개의 ConvNet 레이어의 특징점을 얻는다. 레이어의 활성화 특징점을 연결을 하는 이유는 더 많은 이미지 정보를 얻기 위해서이다. 동일한 이미지를 사용한 3개의 fully-connected 레이어의 특징점이 연결되면 결과 이미지의 특징점의 차원은 4096 + 4096 + 1000이 된다. 그러나 여러 ConvNet 레이어에서 추출 된 특징점은 동일한 ConvNet에서 추출되므로 특징점이 중복되거나 노이즈를 갖는다. 따라서 세 번째 단계로 PC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를 사용하여 교육 단계 전에 주요 특징점을 선택한다. 뚜렷한 특징이 얻어지면, 분류기는 이미지를 보다 정확하게 분류 할 수 있고, 전이 학습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을 평가하기 위해 특징점 선택 및 차원축소를 위해 PCA를 사용하여 여러 ConvNet 레이어의 특징점과 단일 ConvNet 레이어의 특징점을 비교하고 3개의 표준 데이터 (Caltech-256, VOC07 및 SUN397)로 실험을 수행했다. 실험결과 제안된 방법은 Caltech-256 데이터의 FC7 레이어로 73.9 %의 정확도를 얻었을 때와 비교하여 75.6 %의 정확도를 보였고 VOC07 데이터의 FC8 레이어로 얻은 69.2 %의 정확도와 비교하여 73.1 %의 정확도를 보였으며 SUN397 데이터의 FC7 레이어로 48.7%의 정확도를 얻었을 때와 비교하여 52.2%의 정확도를 보였다. 본 논문에 제안된 방법은 Caltech-256, VOC07 및 SUN397 데이터에서 각각 기존에 제안된 방법과 비교하여 2.8 %, 2.1 % 및 3.1 %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작업환경측정 시료 채취기의 부착 위치에 따른 유기화합물의 농도 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VOC Concentrations by Attachment Position of Air Samplers for Working Environment Measurement)

  • 권영규;원정일;장형석;심상효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28-337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at the left or right shoulder within a 30 cm of radius of workers' respirators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an industrial health policy. Methods: Persona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65 workers from 27 manufacturing firms in South Gyeongsang-do Province from November 5, 2011 to December 30, 2012 after classifying the laborers into left- and right-side groups. The organic compound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 NIOSH Manual of Analytical Methods (NMAM) 1501. Results: In terms of the concentration of organic compounds collected from both left and right shoulders at the position of workers' respirators, isobutyl acetate was the highest with 145 ppm at the left shoulder, followed by ethyl acetate (133.5 ppm) and toluene (38.13 ppm). At the right shoulder, on the contrary, ethyl acetate (149.3 ppm)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oluene (46.26 ppm), xylene (29.63ppm) and isopropyl alcohol (28.06 ppm). Overall, the right shoulder was higher than the left shoulder in terms of concentrations. Conclusions: For the measurement of the working environment, workers' personal samples should be collected at the place closest to the respirator. In terms of the reduction of error, the attachment of two sample media is expected to reduce errors in exposure assess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