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N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23초

2003년부터 2008년까지 한국에 수입된 말에서 전염성 질병의 실태조사 (A Survey of Epidemic Diseases in Horses Imported into South Korea between 2003 and 2008)

  • 이상규;한재익;윤선종;강현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68-272
    • /
    • 2010
  • 한국은 가축의 수입이 많아 외래성 질병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외국에서 한국으로 수입된 말의 전염성 질환의 발생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수입된 6,650두의 말을 대상으로 가축전염병예방법에 등재되어 있는 주요 전염병 7개 항목(말전염성빈혈, 말파이로플라스마병, 말전염성동맥염, 비저, 구역, 전염성자궁염, 수포성구내염)을 검사하였다. 말전염성빈혈은 수입된 말 6,189두 중 3두에서 양성을 나타내었으며, 말파이로플라스마병은 6,005두 중 37두, 말전염성동맥염은 6,043두 중 28두, 구역은 2,071두 중 4두, 비저는 1,950두 중 4두가 양성을 나타내었다. 말전염성자궁염과 수포성구내염은 모든 말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수입된 말 6,650두 중 76두가 전염성 질환에 대해 양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탄자니아에서 수입 된 말의 66.6%가 비저에 양성을 나타내었다는 것은 주목할만한 결과이며, 이것은 1996년 이래 최초로 검출되었다.

The follow up study after massive outbreak of Akabane and bovine ephemeral fever viruses in Korea

  • Yang, Dong-Kun;Kim, Sun-Young;Kim, Ha-Hyun;Kang, Mi-Sun;Nah, Jin-Ju;Choi, Sung-Suk;Seok, Kum-Ok;Cho, Jong-Suk;Song, Jae-Young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51-155
    • /
    • 2013
  • Since a large number of Akabane and bovine ephemeral fever (BEF) infection occurred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in 2010, recent information about seroprevalence of Akabane virus (AKAV) and bovine ephemeral fever virus (BEFV) has been required for preventing both diseases. In this study, serological assay against AKAV and BEFV using virus neutralization assay was conducted using 1,743 bovine sera collected from Namwon, Miryang, Yeongju and Uljin which located in Southern part of Korea from March to May in 2012. The overall seropositive rates for AKAV and BEFV were found to be 49.8% and 1.2%, respectively.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seroprevalence for AKAV ranged from 18.1% to 63.7%. Seroprevalences of AKAV were 63.7% in Miryang, 62.3% in Uljin, 50.7% in Namwon, and 18.1% in Yeongju. The seropositive rates for AKAV in southern part of Korea were higher than the annual average at the national level. On the other hand, seropositive rates of BEFV in four regions were from 0.3 to 3.1%. In detail, regional seroprevalences were 3.1% in Miryang, 2.0% in Uljin, and 1.7% in Yeongju, and 0.3% in Namwon. Even only one year after massive outbreaks, overall seropositive rates were very low, similar to the annual average at the nation level. This result indicates that many number of cattle infected with BEFV may be replaced by new born calf or cattle in farm may not be immunized with vaccines. To prevent another epidemic, a national wide warning should be issued and more aggressive control measure must be implied. Recent global warming phenomenon could lead to more vigorous activity of haematophagous vectors and it is possible that arboviral diseases such as AKAV and BEFV are increased. Therefore, continuous sero-monitoring and extensive vaccination combined with control of haematophagous vectors are important to effectively prevent and control diseases caused by AKAV and BEFV.

다양한 단백질과 폴리펩타이드로 코팅된 PLGA 표면과 슈반세포와의 상호관계 (Interaction of Schwann Cells with Various Protein- or Polypeptide-Coated PLGA Surfaces)

  • 박기숙;김수미;김문석;이일우;이종문;이해방;강길선
    • 폴리머
    • /
    • 제30권5호
    • /
    • pp.445-45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슈반세포와 다양한 세포 부착인자로 코팅된 고분자 표면과의 상호관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세포 접착인자로 알려진 피브로넥틴, 피브리노겐, 라미닌, 비트로넥틴, 폴리-D-라이신 및 폴리-L-라이신을 PLGA 필름에 코팅하고 물 접촉각 측정과 ESCA 분석을 실시해 표면특성을 평가하구 접착인자로 코팅하거나 하지 않은 PLGA 필름의 표면에 슈반세포를 배양한 후 세포 계수와 SEM 관찰을 통해 세포 부착과 성장을 알아보았다. 세포 계수 결과에서 세포 부착은 PLGA 표면의 단백질 흡착과 관련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세포의 성장은 배양액의 우태아혈청 함량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슈반세포의 접착과 성장이 특정한 세포 접착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의 결과를 통해 조직공학적 신경 재생에 응용하기 위한 신경유도관의 개발에서 세포의 부착과 성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세포의 종류 및 배양조건에 따라 신경유도관이 적절한 표면환경을 제공해야 함이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다.

콩 품종의 생육특성 및 생육단계별 ADP-Glucose Pyrophosphorylase의 활성변화 비교 (Comparison of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Activity Variation of ADP-Glucose Pyrophosphorylase at Different Growth Stages in Soybean Cultivars)

  • 김영진;이시명;조상균;오영진;김학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39-143
    • /
    • 2010
  • 콩의 생산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의 활성변화와 종실 수량과의 관련성을 탐색하기 위해 등숙관련효소인 ADP-glucose pyrophosphorylase(AGP)의 활성변화를 콩 품종별로 등숙기간에 따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풍산나물콩은 협수 및 잎수가 131개 및 102개로 가장 많았으며, 100립중은 10.4g으로 가장 낮았으나 수량은 275kg/10a으로 가장 높아 물질생산 및 건물축적 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개화시기$(R_1,\;R_2)$에 AGP의 활성도 가장 높은 경향이었다. 2. 품종별 $CO_2$ 동화량은 풍산나물콩이 $20.96{\mu}mol\;m^{-2}s^{-1}$로 가장 많았으며 검정콩1호는 $12.54{\mu}mol\;m^{-2}s^{-1}$로 가장 적었다. 3. 단파흑은 개체당 잎면적이 $3,968cm^2$로 가장 많고 100립중도 30.5g으로 가장 높은 반면 수량은 149kg/10a으로 가장 낮아 건물축적 효율이 가장 낮았으며, 생육단계별 AGP활성도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4. AGP의 small subunit은 60KD의 single band를 나타냈는데 개화기 이후 AGP의 활성변화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사용종료(使用終了) 비위생매립지(非衛生埋立地)의 순환적(循環的) 사용(使用)을 위한 선별물질(選別物質)의 활용(活用) 가능성(可能性) 평가(評價) (Reclaimed Products to Recycling and Energy Recovery for Sustainable Use of Closed Non Sanitary Landfills through Reclamation Works)

  • 이병선;나경덕;한상국;배재근;오세은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1권1호
    • /
    • pp.17-29
    • /
    • 2012
  • 대전시 ${\bigcirc}{\bigcirc}$ 권역 택지발지구내 불법매립지 선별 정비사업과정에서 회수된 선별결과물의 재활용성 및 에너지전환 기능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순환형 매립정비시스템(SLR-System, Sustainable Reclamation-System)은 수분함량 약 28.0%조건에서 약 91.4 $m^3/hr$ (about 130.61 ton/hr)의 처리 성능을 보였으며, 선별결과물의 회수율과 순도는 선별토사가 약 98.9%와 약99.66%, 선별가연물류가 약 91.8%와 약 92.0%로 각각 측정되었다. 특히, 선별토사의 경우, 입도크기가 ${\O}$35 mm이하로 유기이물질 함량이 0.31%(V/V)로 재활용법적 기준치를 만족하였으며, 최대 약 98.42%까지 재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선별가연물의 경우, 저위발열량이 약 3,636 kcal/kg으로 RDF 품질기준을 만족하였으며 최대 약 84.43%까지 RDF 생산이 가능한 것으로 측정되었다.

SNS에서의 개선된 소셜 네트워크 분석 방법 (Improved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 in SNS)

  • 손종수;조수환;권경락;정인정
    • 지능정보연구
    • /
    • 제18권4호
    • /
    • pp.117-127
    • /
    • 2012
  • 최근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사용자가 크게 늘어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SNS의 사용자 관계 구조 및 메시지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소셜 네트워크 분석 방법들은 노드 사이의 최단 거리를 기초로 하고 있으므로 계산 시간이 오래 걸린다. 이는 점차 대형화 되어가는 SNS의 데이터를 여러 분야에서 활용하는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SNS의 사용자 그래프에서 사용자간 최단거리를 빠르게 찾기 위한 휴리스틱 기반의 최단 경로 탐색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1) 트리로 표현된 소셜 네트워크에서 시작 노드와 목표 노드를 설정한다. 그리고 2) 만약 목표 노드가 경사 트리의 단말에 있다면 경사 트리가 시작하는 노드를 임시 골 노드로 설정한다. 마지막으로 3) 연결의 차수를 평가값으로 하는 휴리스틱 기반 최단거리 탐색을 수행한다. 이렇게 최단거리를 탐색한 후 매개 중심성 분석(Betweenness Centrality) 및 근접 중심성(Closeness Centrality)를 계산한다. 제안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소셜 네트워크 분석에서 가장 많은 시간이 필요한 최단거리 탐색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소셜 네트워크 분석의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약 16만 명으로 구성된 SNS에서의 실제 데이터를 이용하여 매개 중심성 분석과 근접 중심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방법은 전통적 방식에 비하여 매개 중심성, 근접 중심성의 계산 시간이 각각 6.8배, 1.8배 더 빠른 결과를 보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소셜 네트워크 분석의 시간을 향상시켜 여러 분야에서 사회 현상 및 동향을 분석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