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claimed Products to Recycling and Energy Recovery for Sustainable Use of Closed Non Sanitary Landfills through Reclamation Works

사용종료(使用終了) 비위생매립지(非衛生埋立地)의 순환적(循環的) 사용(使用)을 위한 선별물질(選別物質)의 활용(活用) 가능성(可能性) 평가(評價)

  • Received : 2011.09.20
  • Accepted : 2011.12.02
  • Published : 2012.02.28

Abstract

potential assessment of converting closed non sanitary landfills into sustainable landfill through the reclamation works(= landfill mining project) of illegal landfill discovered in land development site using Sustainable Landfill Reclamation system(SLR-system) was investigated. The SLR system had treatment capacity of 91.4 $m^3/hr$ (130.61 ton/hr) in condition of 28.0% of water content. Recovery ratio and purity of sorted soil were 98.9% and 99.66%, respectively. Sorted combustibles were 91.8% and 92.0%, respectively. Especially, high heating value (HHV) and low heating value(LHV) of combustibles were 4,282kcal/kg and 3,636 kcal/kg, respectively, in considering the energy content and recovery ratio of combustibles. Therefore, combustibles separated from landfill site have higher value than Fluff RDF standard value(3,500kcal/kg) of MOE. RDF can be produced with combustibles by 84.43%. Averaged size and organic foreign matter content of the sorted soil were less than 035mm and 0.31 %(VN), respectively. In addition, concentration of all contents of hazardous matters containing soils met safety standard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be recycled as refilling and cover materials to rebuild Sustainable landfills by 98.42%.

대전시 ${\bigcirc}{\bigcirc}$ 권역 택지발지구내 불법매립지 선별 정비사업과정에서 회수된 선별결과물의 재활용성 및 에너지전환 기능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순환형 매립정비시스템(SLR-System, Sustainable Reclamation-System)은 수분함량 약 28.0%조건에서 약 91.4 $m^3/hr$ (about 130.61 ton/hr)의 처리 성능을 보였으며, 선별결과물의 회수율과 순도는 선별토사가 약 98.9%와 약99.66%, 선별가연물류가 약 91.8%와 약 92.0%로 각각 측정되었다. 특히, 선별토사의 경우, 입도크기가 ${\O}$35 mm이하로 유기이물질 함량이 0.31%(V/V)로 재활용법적 기준치를 만족하였으며, 최대 약 98.42%까지 재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선별가연물의 경우, 저위발열량이 약 3,636 kcal/kg으로 RDF 품질기준을 만족하였으며 최대 약 84.43%까지 RDF 생산이 가능한 것으로 측정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환경부, 2010: 2009년 전국폐기물발생 및 처리현황.
  2. 환경부, 2010: 2009년 전국 생활폐기물 매립시설 운영현황.
  3. 환경부, 2002: 전국 사용종료매립지 기초조사 결과 및 관리대책.
  4. 박진규, 송선호, 이남훈 외 2명, 2009: 굴착폐기물의 RDF 활용가능성에 관한 기초적 연구,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pp. 395-397, 한국폐기물학회.
  5. 손영규, 박범국, 임명희 외 2명. 2008: 택지개발 현장내 비위생매립지의 매립쓰레기 처리방안 연구, 한국환경과학지 17(2), pp. 177-183, 한국환경과학회.
  6. 환경관리공단, 2002: 사용종료매립지 유형별정비지침 수립 및 정비사업추진체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7. 윤석표, 윤범한, 1997: 비위생매립지의 굴착, 선별, 재활용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폐기물학회지 14(6), pp. 541-547, 한국폐기물학회.
  8. 조한상, 임정대, 김재영, 2003: 비위생매립지의 안정화 평가를 위한 기초 조사, 한국폐기물학회지 20(5), pp. 470-477, 한국폐기물학회.
  9. 윤석표, 2008: 음식물폐기물 정책변화가 도시생활폐기물의 조성변화에 미치는 영향, 유기성자원학회지 16(1), pp. 39-45, 유기성자원학회.
  10. 김정훈, 이재영, 나경덕, 이병선, 2004: 사용종료매립지 선별토사의 재활용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폐기물학회 추계학술연구회발표 논문집, pp. 442-445, 한국폐기물학회.
  11. 환경부, 2002 : 사용종료매립지정비지침.
  12.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2006: 가연성폐기물 고형연료(RDF)의 경제성 분석 및 제도도입에 관한 연구.
  13. 이남훈, 윤석표, 김철중, 1995: 폐기물 매립지 재사용을 위한 매립폐기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폐기물학회지, 12(5), pp. 525-533, 한국폐기물학회.
  14. 강석호, 1998 : 21세기의 에너지와 산업사회, 영남대학교출판부.
  15. 김태현, 2007: 수도권 이산화탄소 배출량 산정과 저감 방안을 위한 교재개발의 필요성,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