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ITOR FOR HEALING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5초

강원도 치유의 숲 조성 기본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A Case Study on the Healing Forest Development Plan of Kangwon Province)

  • 김명준;이준우;차두송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6권1호
    • /
    • pp.53-63
    • /
    • 2010
  • This study carried out to establish a master plan about healing forest in Gangwon-do focusing on healing road and visitor center. The site of this study was approximately 721 ha of mountain in Imgye-myeon, Gangwon-do, and the master plan was established through analysis of humanities-social and natural environments. The healing forest was developed 6 healing trails(10.5 km), devided by 3 steps, and each healing trail was designed to make rest area, wooden bridge, and open space. Also, visitor center, the core place of healing forest, was devided to several spaces as health measurement room, AV room, etc. and was planed for audio-visual education room for visitors.

트라우마(trauma)를 치유하는 공간의 가치와 디자인접근에 관한연구 - 시대별 특성과 변화에 대한 관찰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motional design approach and the Value of the Space for Healing the Trauma - Focus on the periodic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

  • 우지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206-215
    • /
    • 2010
  • The negative memories which come from tragic events such as war, terror or various conflicts in modern cities have been threatening the mental health of city-dwellers. This thesis focuses on 'healing public space' that will help recover the life of city-dwellers who sustain various trauma. For this, the author investigated the significant memorial space through 1980-2010 from site visits, interviews, and related theses and books and then extracted necessary information from each period. This thesis aims to find the changes of the memorial concepts and visitor's reaction for last 30years. 1)1980-: Healing concept and visitor's positive response 2)1990-: Healing by emotional experience approaches to the memorial museum such as narrative approach, exhibition media using 5senses, interactive display and preserving trace, 3)early 2000-: Healing by architectural experience 4)2002-: present: Healing projects by various programs. Steady advances in memorial design for healing trauma are due to the efforts for emotional design approach to eeply move the visitors and the efforts have to be continued. The stud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attracting eople by experimental, emotional design contents not just by aesthetic and functional public design ideas.

방문객 유형별 이용객수에 대한 규범적 평가기준, 혼잡지각과 치유경험방해 지각: '장성 편백치유의 숲'의 '치유필드'를 대상으로 (Normative Standards on Number of Users, Perceived Conflict, and Perceived Interference of Healing Experience by Types of Visitors at 'Healing Field' of 'Jangseong Pyunbaek Healing Forest')

  • 김상오;김상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31-243
    • /
    • 2018
  • 본 연구는 방문객 유형별로 장성 편백치유의 숲(Jangseong Pyunbaek Healing Forest: JPHF) 내 '치유필드'의 이용객수에 대한 지각(perceived number of users: PNU)과 이용객수에 대한 평가기준(evaluative standards)을 설정, 비교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2017년 9월 중 JPHF 내 '치유필드' 이용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 방법을 통해 선정된 158명의 표본으로부터 설문지기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치유필드 방문객 중 휴양객(일반 휴양을 목적으로 한 방문객)은 49.3%, 치유객(건강 및 치유를 목적으로 한 방문객) 15.3%, 휴치객(휴양과 치유를 동일정도로 추구하는 방문객) 35.3%로 구성되어 있었다. 응답자가 지각하는 치유필드 이용객수는 전체적으로는 평균 23.8명(중앙값: 20.0명)으로 나타났으며, 방문객 유형별 평균범위는 21.1-27.8명(중앙값: 20.0명 동일)으로 조사되었다. 응답자의 PNU는 혼잡지각(perceived crowding: PC)(r=0.23) 및 치유경험 방해 지각(perceived interference of healing experience: PIHE) (r=0.20)과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방문객 유형 간에 치유필드 적정이용객수(optimal number of users: ONU)는 차이가 없었다. 전체적으로 적정이용객수는 평균 28.9명(중앙값: 25.0명)으로 나타났으며 방문객 유형별 적정이용객수 범위는 평균 25.4-31.4명(중앙값: 25.0-27.5명)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최대 허용가능 이용객수(maximum acceptable number of users: MANU)는 전체적으로 38.1명으로 나타났으며, 방문객 유형별로는 휴양객 36.9명, 치유객 32.0명, 휴치객 38.0명으로 각각 조사되었다. 방문객 유형별로는 MANU에 차이가 없었다. 응답자의 PC는 평균 2.73(SD: 3.26, 9점 척도), PIHE는 평균 3.26(SD: 1.77, 9점 척도)으로 나타났으며 방문객 유형별로는 휴치객이 휴양객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은 PC와 PIHE를 보였다. PNU가 ONU를 초과한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높은 PC와 PIHE를 나타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관리적 관점에서의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 연구에 대하여 토의하였다.

'장성 편백치유의 숲' 방문객 유형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이용행태 및 방문동기 요인 ('Jangseong Pyunbaek Healing Forest(JPHF)' Visitor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Use Patterns and Motivational Factors by Types of Visitors)

  • 김상오;김상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03-214
    • /
    • 2018
  • 본 연구는 장성 편백치유의 숲(Jangseong Pyunbaek Healing Forest: JPHF) 방문객을 대상으로 방문객 유형과 방문객 유형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이용행태 및 방문동기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자료는 2016년 10-11월중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 선정된 216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기법을 이용하여 수집되었다. 또한 방문객의 참여활동에 대한 자료는 동일 기간에 동일한 조사방법을 통해 별도로 수집되었으며 총 476명이 조사에 참여하였다. 분석결과, 응답자의 77.0%가 '휴양객'(방문의 주목적이 건강 및 치유목적보다는 경관감상 및 관광, 사회적 교류 등 일반적 휴양경험에 있는 방문객)으로 분류되었으며, '치유객'(방문의 주목적이 일반적 휴양객과는 달리 건강 및 심신의 치유에 있는 방문객)은 단지 10.3%에 불과했다. 치유객은 휴양객에 비해 방문경험 수준이 높았으며, 방문 전 JPHF를 '조용하며 자연경험을 즐길 수 있는 장소'로 기대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치유객은 휴양객에 비해 '혼자서' 방문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방문그룹의 크기도 휴양객에 비해 적었다. 전 응답자의 26.8%가 JPHF가 치유의 숲이라는 사실을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치유객은 휴양객에 비해 JPHF가 치유의 숲이라는 사실에 대한 높은 인지도를 보였다. 66.8%의 응답자가 JPHF의 전반적 관리 및 운영상태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며, 6.2%의 응답자만이 부정적으로 평가를 하였다. 치유객과 휴양객 간 JPHF의 전반적 관리상태 평가에는 차이가 없었다. JPHF의 주임도(이용률: 47.4%),와 치유필드(이용률: 59.2%)에 방문객의 이용집중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치유객은 '고요함', '건강', '긴장완화' 요인에서 휴양객에 비해 높은 동기를 보인 반면, 휴양객은 치유객에 비해 '사회적 교류' 요인에서 높은 동기를 나타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JPHF의 관리적 관점에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 Needs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Forest Healing Programs: Focusing on Cancer Patients

  • Lee, Mi-Mi;Lee, Don-Gak;Park, Bong-Ju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83-694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 Cancer is the number one cause of death in Korea, and it affects any part of the body regardless of gender and age. Forest healing is a treatment that maximizes the effect of treatment and improves the quality of life.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differentiated forest healing programs for cancer patients based on the survey on their interest and needs for the programs. Methods: The subjects were those diagnosed with cancer from October 2018 to April 2019, and this study used 144 copies of the questionnaire retrieved.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n = 144) was the appropriate size required by G-Power, and the collected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Results: In the frequency analysis on the interest in forest healing, 79.2% of the subjects had no experience participating in forest healing, but 87% were aware of it, and 82.6% showed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forest healing programs. This indicates that even though not many of them have experience participating in forest healing, they showed high interest and needs for participation. They preferred to participate in spring (29.9%) and fall (27.8%), in programs carried out for 1.5-2 hours in the morning on weekdays. Conclusion: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the analysis on forest healing needs of cancer patients, and it is necessary to plan, develop, and implement differentiated forest healing programs that meet the needs of the cancer patients depending on their characteristics. There is also a need to plan forest healing program that can promote both psychological stability and physical health of cancer patients and verify and evaluate their effects based on specialized training of forest healing instructors.

만성통증의 경감과 치유를 위한 노인요양시설의 긍정적 관심 전환 환경 (Nursing Home Environment with Positive Distraction for Reduction of Chronic Pain and Healing)

  • 정미렴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206-216
    • /
    • 2015
  • Majority of the seniors living in nursing homes suffer from persistent chronic pain, which may cause depression and compromised quality of life if untreated. The environment should support them to lift their focus from current pain and worries to the positive feelings and the delight of lif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lassify the healing environment elements for positive distraction, and analyze 6 international cases to see the current situation. The elements were categorized as follows, based on literature review from both healing spaces and elderly care field: spatial elements(view, natural elements, artificial elements, exercise space, garden), psychological elements(grooming area, space for privacy, meal/drink area, elements for recollection, religious space), social elements(common living area, activity/hoppy room, family/visitor area, information area, local community program space). Analysis on 6 facilities showed that each elements were reflected to designed relatively well. New inventions from workers who think distraction is important were also introduced. Healing environment for positive distraction requires delicate touch, derived from understanding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 of the residing elderly individuals. Technology update is also significant, from audio books to virtual reality devices, since cultural life of nursing home is far behind from what the others enjoy now.

장성 치유의숲의 산림치유기능에 대한 가치평가 (Valuing Estimation of forest healing function of Jangseong Healing Forest)

  • 김진선;김의경;김동현;신혜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3호
    • /
    • pp.453-461
    • /
    • 2014
  • 산림치유에 대한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산림청뿐만 아니라 각 지자체에서 치유의 숲 조성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는 정책이니만큼 정책 추진의 타당성을 신중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이용객 수가 급증하고 있는 장성 치유의 숲의 이용가치를 추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장성 치유의 숲 이용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가운데 불성실 응답지 9부를 제외한 39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경제적 가치 추정은 1.5 양분선택형 CVM 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장성 치유의 숲의 1인 1회 이용료에 대한 지불의사금액($WTP_{mean}$)은 35,010원, 연간 이용가치는 약 75억 원으로 추정되었다.

The Role of Visitor's Positive Emotions on Satisfaction and Loyalty with the Perception of Perceived Restorative Environment of Healing Garden

  • Jang, Hye Sook;Jeong, Sun-Jin;Kim, Jae Soon;Yoo, Eunha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77-291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sitors' positive emotions on satisfaction and loyalty with the perception of restorative environment of a healing garden created in an urban agriculture expo. Methods: The psychological indicators to the images of the healing garden were analyzed by the visitors' demographic variables and the three factors of plant cultivation activity level: plant cultivation experience, plant preference, and plant-related event. Results: Between age groups and occupational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statistically. The 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PR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s between age groups in repose, fascination and legibility. The Positive Affect & Negative Affect Schedule(PANA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ge groups in positive emotions.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NAS and the three factors of plant cultivation experience level, the four factors of the PRS, satisfaction and loyalty. The three factors of plant cultivation experience level, the four factors of the PRS, satisfaction and loyal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ositive emotions and were inversely correlated with negative emotions significant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dummy variable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lant cultivation activity level, attention restoration, and the PANAS on healing garden visitors' satisfaction and loyalty. As a result, among the four factors of the PRS, fascination and positive affectivity were significant variables that affect healing garden visitors' satisfaction and loyalty.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higher the attention restoration of visitors due to the fascination of the healing garden and the higher their positive affectivity and the more they have plant-related memories, the higher their impact on healing garden visitors' satisfaction and loyalty. Therefore, fascinating natural environments or greenery landscapes like healing gardens where people can contact plants would reduce negative emotions such as anger and sadness but to increase positive emotions such as pleasure, joy and satisfaction.

이동동선에 따른 지역별 산림치유 선호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전주시 건지산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eference Program of Forest Healing by Region According to Moving Line)

  • 소은주;박율진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5-48
    • /
    • 2018
  • 본 연구는 전라북도 전주시 건지산 이용객의 일반적 특성과 건지산 산림치유의 인식, 구간별 선호프로그램 등을 조사하여 양질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에 기초출처로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설문 분석결과, 건지산은 도시숲으로 전주 도시민의 여가와 휴식의 자연공간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용객의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택 시 가장 중요한 요인은 프로그램의 활동 내용, 구성, 시간순이었으며, 주요 목적은 건강증진이 가장 많았다.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운영관리로는 주말을 활용한 주별 프로그램이 선호하였다. 운동프로그램은 자연경관 감상, 체험프로그램은 숲 체험, 치유프로그램은 숲속음악치유, 명상프로그램은 삼림욕, 교육프로그램은 숲속음악 듣기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건지산 이용객의 육체적, 정신적, 심리적 건강의 회복을 도모하는 양질의 건지산 일대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 및 연구를 위한 기초출처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구간별 선호프로그램 대상지로 특정 지역이 중복되어 선호도에 따른 적합한 산림치유 프로그램 구성의 한계점은 향후 건지산에 대한 산림치유프로그램의 지속적, 연속적 통합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음식관광 체험유형이 상품구매의도와 방문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구음식문화박람회 방문고객을 대상으로 (Impact of Types of Food Tourism Experience on Purchase Intention and Visitor's Satisfaction: Focused on Participants at Dae-gu Food Tour Expo)

  • 박장수;하헌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11-2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음식관광 체험유형이 상품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또한 상품구매의도가 방문만족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을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대구음식관광박람회를 방문한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 v. 20.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음식관광 체험유형 하위변수 중 미식추구형, 지식추구형, 힐링추구형은 상품구매의도에 대하여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관계추구형은 종속변수인 상품구매의도에 대하여 아무런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상품구매의도는 방문만족에 대하여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음식관광객들은 음식관광 체험을 하면서 미식이라는 기본적 부분과 지식과 힐링 부분을 신경쓰면서 음식 관광을 한다. 또한 음식관광객들은 관계추구형에 있어서는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지 못했다. 이는 음식관광객들을 위해 지역을 방문 시 프로그램이나 제도 등을 갖추어진 프로그램으로 계속해서 개발하고 개선해서 재방문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