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

검색결과 2,261건 처리시간 0.029초

산화물 표면의 U(VI) 흡착에 미치는 살리실산과 피콜린산의 영향 (Effect of Salicylic and Picolinic Acids Acids on the Adsorption of U(VI) onto Oxides)

  • 박경균;정의창;조혜륜;송규석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19-227
    • /
    • 2009
  • 세 종류의 산화물($TiO_2$(아나타제), $SiO_2$(비결정성) 및 $Al_2O_3$(비결정성)) 표면에 U(VI)이 흡착될 때 유기산이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유기산으로는 살리실산과 피콜린산을 사용하였다. 유기산의 존재 여부에 따라 달라지는 U(VI)의 흡착률 변화를 pH 함수로 측정하였다. 또한 U(VI)의 존재 여부에 따라 달라지는 유기산의 흡착량을 pH 함수로 측정하였다. $TiO_2$의 경우, 살리실산과 피콜린산이 U(VI)과 수용성 착물을 형성함으로써 U(VI)의 흡착률을 저하시킨다. $SiO_2$의 경우, 살리실산은 U(VI) 흡착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피콜린산은 오히려 U(VI) 흡착을 증가시킨다. 이 현상을 삼성분 표면착물(ternary surface complex) 생성으로 해석하였으며 U(VI) 흡착에 의존하는 피콜린산의 흡착량 변화, 그리고 흡착된 U(VI)의 형광 특성 변화로 이를 확인하였다. $Al_2O_3$의 경우, 살리실산과 피콜린산 모두 U(VI) 흡착과 무관하게 높은 흡착량을 보였으나 U(VI) 흡착을 감소시키지는 않았다. 따라서 삼성분 표면착물 생성을 배제할 수 없으나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분광 분석과 같은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원위치 제조 액상 Ferrate(VI)와 안정화 Ferrate(VI)를 이용한 2,4,6-tribromophenol의 제거 비교연구 (Comparison of 2,4,6-tribromophenol removal using in-situ liquid ferrate(VI) and stable ferrate(VI))

  • ;정선영;김일규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23-130
    • /
    • 2018
  • This paper provided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moval of 2,4,6-tribromophenol using in-situ and stable liquid ferrates(VI). This research's goal was to observe the differences of oxidation power between in-situ liquid ferrate(VI) and stable liquid ferrate(VI). The in-situ liquid ferrate(VI) ($FeO_4{^{2-}}$) has been successfully produced with the concentration 42,000 ppm (Fe) after 11 minutes of reaction time. The stable liquid ferrate(VI) was also successfully produced following the modification method by Sharma with the produced concentrations 7,000 ppm. The stable liquid ferrate(VI) was stable for 44 days and slightly decreased afterwards. This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using 2,4,6-tribromophenol as the representative compound. Both of ferrates(VI) have the highest oxidation capability at the neutral condition. Furthermore, the stable liquid ferrate(VI) has higher oxidation power than the in-situ liquid ferrate(VI).

Reduction of Hexavalent Chromium by Escherichia coli ATCC 33456 in Batch and Continuous Cultures

  • Bae, Woo-Chul;Kang, Tae-Gu;Kang, In-Kyong;Won, You-Jung;Jeong, Byeong-Chul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8권1호
    • /
    • pp.36-39
    • /
    • 2000
  • Toxic hexavalent chromium, Cr(VI), was reduced to a less toxic trivalent chromium form by E. coli ATCC 33456. The suitable electron donor for Cr(VI) reduction was glucose. E. coli ATCC 33456 was more resistant to metal cations than other reported Cr(VI) reducing microorganisms. Cell growth was inhibited by the presence of Cr(VI) in a liquid medium and Cr(VI) reduction accompanied cell growth. With a hydraulic retention time of 20 h, Cr(VI) reducing efficiency was 100% to 84% when Cr(VI) concentration in the influent was in the range of 10 to 40 mg L$\^$-1/. Specific rate of Cr(VI) reduction was 2.41 mg Cr(VI) g DCW$\^$-1/ h$\^$-1/ when 40 mg L$\^$-1/ of Cr(VI) influent was used. This result suggested the potential application of E. coli ATCC 33456 for the detoxification of Cr(VI) in Cr(VI) contaminated wastewater.

  • PDF

Arsenazo I-XAD-2 킬레이트수지를 이용한 U(VI) 이온의 분리 및 농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rption Behavior of U(VI) ion by Arsenazo I-XAD-2 Chelating Resin)

  • 이창헌;이시은;임재희;엄태윤;김인환;강창희;이원
    • 분석과학
    • /
    • 제6권5호
    • /
    • pp.489-499
    • /
    • 1993
  • Aresenazo I-XAD-2 킬레이수지를 합성하고 이 수지에 대한 U(VI) 이온의 흡착 거동을 조사 검토하였다. 킬레이트수지는 Arsenazo I 킬레이트제와 Amberlite XAD-2의 디아조늄 짝지움 반응에 의해서 합성하였으며 원소 분석법과 적외선 분광법으로 확인하였다. U(VI) 이온 흡착의 최적 조건을 찾기 위해서 pH, U(VI) 이온농도와 진탕 시간에 관해서 조사하였다. U(VI) 이온에 대한 킬레이트수지의 전체 흡착능은 pH 4.0~4.5 범위에서 0.39mmol U(VI)/g resin이었고, pH값이 증가함에 따라 흡착능이 증가하였다. Aresenazo I-XAD-2 킬레이트 수지에 대한 U(VI) 이온의 흡착 메카니즘은 U(VI) 이온과 $H^+$ 이온 사이의 경쟁반응임을 확인하였다. 컬럼법으로 구한 U(VI) 이온의 돌파점 부피와 전체 흡착능은 각각 600ml, 0.38mmol U(VI)/g resin이었다. 3M $HNO_3$와 3M $Na_2CO_3$의 탈착용액을 사용하여 구한 회수율은 90~96%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합성한 Arsenaso I-XAD-2 킬레이트수지는 자연수 바닷물 중에 함유된 U(VI) 이온의 분리와 농축에 매우 유용함을 알았다.

  • PDF

Cr(VI) Resistance and Removal by Indigenous Bacteria Isolated from Chromium-Contaminated Soil

  • Long, Dongyan;Tang, Xianjin;Cai, Kuan;Chen, Guangcun;Shen, Chaofeng;Shi, Jiyan;Chen, Linggui;Chen, Yingxu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8호
    • /
    • pp.1123-1132
    • /
    • 2013
  • The removal of toxic Cr(VI) by microorganisms is a promising approach for Cr(VI) pollution remediation. In the present study, four indigenous bacteria, named LY1, LY2, LY6, and LY7, were isolated from Cr(VI)-contaminated soil. Among the four Cr(VI)-resistant isolates, strain LY6 displayed the highest Cr(VI)-removing ability, with 100 mg/l Cr(VI) being completely removed within 144 h. It could effectively remove Cr(VI) over a wide pH range from 5.5 to 9.5, with the optimal pH of 8.5. The amount of Cr(VI) removed increased with initial Cr(VI) concentration. Data from the time-course analysis of Cr(VI) removal by strain LY6 followed first-order kinetics. Based on the 16S rRNA gene sequence, strain LY6 was identified as Pseudochrobactrum asaccharolyticum, a species that had never been reported for Cr(VI) removal before.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nd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analysis further confirmed that strain LY6 could accumulate chromium within the cell while conducting Cr(VI) removal.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indigenous bacterial strain LY6 would be a new candidate for potential application in Cr(VI) pollution bioremediation.

묽은 염산용액에서 아민과 중성추출제에 의한 몰리브덴(VI)과 텅스텐(VI)의 용매추출 (Solvent Extraction of Mo(VI) and W(VI) from Dilute Chloride Solution by Amine and Neutral Extractants)

  • ;손성호;이만승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8권1호
    • /
    • pp.55-61
    • /
    • 2019
  • 묽은 염산용액의 pH를 2에서 9까지 변화시켜 아민계(Alamine 308과 TEHA)와 중성추출제(TOP)로 몰리브덴(VI)과 텅스텐(VI)의 용매추출거동을 조사하였다. 텅스텐(VI)이 몰리브덴(VI)보다 상기 세 추출제에 선택적으로 추출되었으며, TEHA로 추출시 가장 높은 분리인자를 얻었다. 수소화처리하지 않은 3차 아민에 의한 두 금속의 추출율은 용액의 pH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pH 9에서는 전혀 추출되지 않았다. 본 논문의 실험조건에서 용매추출거동을 금속의 농도분포곡선을 이용하여 설명하였다. Alamine 308과 TEHA는 TOP에 비해 두 금속의 추출과 분리에 효과적이다.

Embedded VI 직접성형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Direct Molding Technology for Embedded VI)

  • 이재걸;변정무;이석원;신양섭;김영근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6-126
    • /
    • 2010
  • 대표적인 친환경 차단부로 Vacuum Interrupter(VI)를 에폭시 수지로 성형한 Embedded VI 의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Embedded VI의 제작에 있어, 기존에는 대부분 VI의 Ceramic 표면과 에폭시 성형층의 계면에 고무재질의 완충층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완충층 형성시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VI외부에 추가적인 완충층을 형성하지 않고, 에폭시 수지를 성형하는 Direct Molding 방안을 제시하고. VI표면과 에폭시간에 화학적 결합 메커니즘을 도출하여 Direct Molding 을 적용한 Embedded VI의 제작기술을 개발하였다.

  • PDF

Visible light-induced reduction of Cr(VI) in cationic micelle solution

  • Kyung, Hyunsook;Cho, Young-Jin;Choi, Wonyong
    • Rapid Communication in Photoscience
    • /
    • 제4권3호
    • /
    • pp.73-75
    • /
    • 2015
  • Cr(VI) reduction was successfully achieved in the presence of cationic micelles (CMs) under visible light illumination. Micelle formation of cationic surfactants seems to be critical in Cr(VI) reduction. Cr(VI) was reduced very fast above the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mc) of CTAB solutions, but was not reduced at all either below or around the cmc of CTAB. The reduction rate of Cr(VI) was enhanced in the absence of dissolved oxygen, supporting that the removal of Cr(VI) should be achieved via a reductive pathway. When CTAB was substituted by Brij 35 or SDS, the reduction of Cr(VI) was negligible. This indicates that the electrostatic interaction between Cr(VI) and headgroups of surfactants is important in the visible light-induced Cr(VI) reduction in micellar solutions.

재냉기를 이용한 고성능 VI(Vapor Injection)사이클 열펌프의 냉방 성능특성에 관한 연구 (Cooling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High-Performance Heat Pump with VI Cycle Using Re-Cooler)

  • 이진국;최광환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9권6호
    • /
    • pp.592-59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공랭식 VI(Vapour-Injection) 사이클을 적용한 R410A용 고성능 하절기 냉방 열펌프의 성능 특성을 실험적으로 규명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장치는 VI 압축기, 응축기, 유분리기, 판형열교환기, 에코노마이져(economizer), 증발기, 그리고 재냉기(re-cooler)로 구성하였다. 냉방 성능 실험 조건은 다음과 같이 3가지 사이클로 VI 사이클을 적용하고 증발기 출구 냉매와 VI사이클 흡입 냉매가 재냉기에서 서로 열교환 하지 않는 사이클(사이클 A)과 열교환을 하는 사이클(사이클 B), 그리고 VI 사이클도 적용하지 않고 증발기 출구 냉매와 VI 사이클 흡입 냉매와의 열교환도 없는 사이클(사이클 C)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냉방 성능은 증발기 출구 냉매와 VI사이클 흡입 냉매가 서로 열교환하는 VI사이클(사이클 B)이 가장 높았으며 VI사이클을 적용하지 않은 사이클 C가 가장 낮음을 알 수 있었으며, 사이클B의 냉방성능계수($COP_C$)가 평균 3.5로 사이클A보다 8.6%, 사이클C보다 33%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흉부 X-선 영상을 이용한 Vision transformer 기반 폐렴 진단 모델의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Vision Transformer-based Pneumonia Detection Model using Chest X-ray Images)

  • 장준용;최용은;이승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541-549
    • /
    • 2024
  • Convolutional neural network(CNN), recurrent neural network(RNN)와 같은 다양한 인공 신경망이 연구되고 있으며, 타 인공지능 기반 모델의 기초 구조로 활용되고 있다. 그 중, 트랜스포머를 기반으로 하는 인공 신경망은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그 성능이 입증되었고,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구조이다. 최근 트랜스포머 기반 인공 신경망의 내부구조 변경을 통해 영상처리가 가능한 Vision transformer(ViT) 모델이 개발되었다. 비젼 영상처리에 있어 ViT 모델의 정확도와 성능은 다양한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흉부 X-선 영상을 이용하여 폐렴을 진단할 수 있는 ViT 기반 모델을 개발하고, 개발 모델의 학습효율 및 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ViT 기반 모델의 구조는 encoder block의 개수를 다르게 하여 설계하였고, 신경망 학습 시 패치의 크기를 다르게 설정하였다. 또한 개발한 ViT 기반 모델을 검증하기 위하여 기존 CNN 기반 모델인 VGGNet, GoogLeNet 및 ResNet 모델과 성능 비교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ViT 기반 모델의 학습효율 및 성능은 encoder block의 개수 및 학습 패치 크기에 따라 변화함을 확인하였고 F1 score가 최소 0.875, 최대 0.919로 측정되었다. 32 × 32 크기의 패치를 이용하여 학습한 ViT 기반 모델의 학습효율은 기존 CNN 기반 모델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설계한 모든 ViT 기반 모델이 VGGNet 보다 폐렴 진단의 정확도가 높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ViT 기반 모델은 흉부 X-선 영상을 이용한 폐렴 진단에 잠재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연구를 통해 ViT 기반 모델의 임상적 활용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