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DT(Visual Display Terminal)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6초

VDT작업자의 작업조건과 다발하는 자각증상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ive symptoms of VDT syndrome and occupational factors in VDT operators)

  • 김갑성;이승덕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8권6호
    • /
    • pp.70-83
    • /
    • 2001
  • Objective : In order to investigate symptoms prevalence related to visual display terminal(VDT) syndrome, and to evaluate the variables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the VDT syndrome. Methods :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127(81 men and 46 women) VDT operators who had been studied in Soongsil University graduated school in Seoul. Result : As a result of analysis with data collected by questionnaire, l. Variables affecting the level of general symptoms were sex, the total time of VDT operation per day, type of typewriting, location of keyboard, illumination, VDT working duration, the time of VDT operation without rest. 2. Variables affecting the level of eye symptoms were sex, the total time of VDT operation per day, type of typewriting, VDT working duration, illumination, method of eye-resting. 3. Variables affecting the level of musculoskeletal symptoms were sex, the total time of VDT operation per day, the time of VDT operation without rest, illumination. Conculsions : In order to protect workers from VDT syndrome, it is urgently required to implement standard management recommendations including restriction of VDT working hours and allowance of more sufficient resting time for VDT workers.

  • PDF

경견완장애의 피로자각증상과 관련요인 (Fatigue and related factors in cervicobrachial disorders)

  • 강점덕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14
    • /
    • 2002
  • Objectives : In order to investigate industrial fatigue due to visual display terminal (VDT) work of post office. Methods : The questionnaire survey for subjective symptoms of fatigue was carried out on 39 post office clerks who had been engaged in VDT work for various length of work hours. The questionnaire comprised three groups of 10 items each, representing dullness and sleepiness, difficulty in concentration and bodily projection of fatigue. Results : The scores of dullness and sleepiness was 16.62, scores of concentration difficulty was 16.35, those of bodily fatigue was 16.23, and total scores was 49.21. Fatigue score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ge and work duration, VDT of work hours, ventilation, illumination, nosie. Conclusions : Data from this study suppor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age and scores of dullness, scores of concentration difficulty, between work duration and scores of dullness, scores of bodily fatigue, between VDT of work hours and scores of bodily fatigue.

  • PDF

VDT사용자의 시기능 불편과 굴절이상 (Visual Problems and Refractive Error at Video Display Termianls)

  • 서용원;최영준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75-86
    • /
    • 1998
  • 18세에서 27세 사이의 남자 82명 여자 70명 총 152명을 대상으로 2시간 동안 쉬지 않고 VDT작업을 하도록 한 후, 안구 및 전신증상 등을 조사하고 시력, 타각적 굴절이상, 조절력 상위량 등을 측정한 결과, 안구증상으로는 눈의 피로를 느끼는 사항이 45.71%로 가장 많았고, 시기능 이상으로는 물체가 흐려 보이는 경우가 80.39%, 전신증상으로는 어깨가 아픈 사람이 33.3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력변화는 평균나안시력 0.47에서 0.42로 약 10%가 저하했으며 타각적 굴절이상은 0.10D정도 근시도가 증가했다. 조절력은 7.46D에서 6.74D로 약 0.72D 정도 줄었고, 조절용이성은 2.27초에서 2.50초로 0.23초만큼 지연되었다. 실성상대조절량은 4.76D에서 4.16D로 0.50D만큼 감소했고 허성상대조절량은 2.46D에서 2.33D로 0.13D 만큼 줄었다. 사위량은 평균 $1.82{\Delta}$ B.O.에서 $3.24{\Delta}$ B.O.으로 내 사위량이 증가했다.

  • PDF

The immediate effects of 830-nm low-level laser therapy on the myofascial trigger point of the upper trapezius muscle in visual display terminal workers: A randomized, double-blind, clinical trial

  • Lee, Jung-Hoon;Lee, Sun-Mi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7권2호
    • /
    • pp.59-63
    • /
    • 2011
  • The aim of our study was to evaluate the immediate effects of an 830-nm Aluminium gallium arsenide (GaAlAs) laser, by examining the changes, in pressure-pain threshold (PPT) and tenderness at 3 kg of the myofascial trigger point (MTrP) of the upper trapezius muscle in visual display terminal (VDT) workers in comparison with placebo treatment. Thirty VDT workers (13 males, 17 females) with complaints of upper trapezius muscle were recruited. All participants were given either active GaAlAs laser (830 nm wavelength, 450 mW, 9 J at point) or placebo GaAlAs laser, according to the double-blinded and placebo-controlled trial. Both active and placebo low-level laser therapy (LLLT) treatments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on PPT and tenderness at 3 kg.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higher dosage may be necessary to produce immediate effects when applying LLLT to the MTrP of relatively large muscles such as the upper trapezius muscle.

VDT 증후군 개선을 위한 렌즈의 임상성능 분석 (linical Performance Analysis of Lens for Improving VDT Syndrome)

  • 유근창;박지훈;전진;진문석;채수철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5-51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단초점렌즈와 VDT 증후군 개선을 위해 설계된 기능성렌즈를 착용하고 4시간 동안 VDT 작업 전과 후의 임상성능과 시각적인 문제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비교 분석하자 한다. 방법: 20~45세의 남 여 30명을 대상으로 단초점렌즈와 기능성렌즈(ad Plus, HANDOK OPTEC Co.)를 각각 착용시킨 후 4시간 동안 VDT 작업 전과 후의 근거리 및 원거리시력, 등가구면굴절력의 변화, 조절근점, 폭주근점, AC/A ratio, 조절용이성 등을 검사하고, 시각적인 문제에 대한 자각증상을 설문조사하였다. 결과: 단초점렌즈와 비교하여 기능성렌즈를 착용했을 때 근거리시력, 조절근점, 폭주근점, 조절용이성이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4시간 동안 VDT 작업 후의 시각적 문제점에 대한 항목의 평균 점수는 단초점렌즈에서 3.63 ${\pm}$ 0.75이고, 기능성렌즈에서 4.69 ${\pm}$ 0.83으로 기능성렌즈가 유의하게 개선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기능성렌즈가 단초점렌즈보다 4시간 동안 VDT 작업 후의 조절기능 및 시각적 문제점 개선에 도움이 되는 우수한 렌즈로 생각된다.

  • PDF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경향, 컴퓨터단말기증후군 자각증상과 학습몰입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and learning flow among nursing students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 김경희;이지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139-14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경향, 컴퓨터단말기증후군 자각증상과 학습몰입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S시와 M시에 소재한 간호학과 재학생을 편의 표집하여 최종 13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은 스마트폰 중독경향과 컴퓨터단말기증후군 자각증상과 부적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중독적 사용과 컴퓨터단말기증후군 증상을 감소시킬 필요성이 있다. 스마트폰 중독관리와 컴퓨터단말기증후군 관리를 위한 다양하고 효과가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중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VDT 작업 전·후 시기능 변화 (The Investigation of the Changes of Visual Problems in VDT Workers)

  • 강명진;최오목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33-39
    • /
    • 2002
  • 18세에서 30세 중반 사이의 남자 35명 여자 21명 총 56명을 대상으로 2시간 동안 VDT 작업을 하도록 한 후, 안구 및 전신 증상 등을 조사하고 순목 횟수, 눈물층파괴시간(BUT), 안검열의 높이, 시력, 타각적 굴절력, 조절력 등을 측정하였다. 안구증상에서는 눈의 피로를 느끼는 사람이 34%로 가장 많았고 시기능증상에서는 물체가 흐려 보이는 증상이 83%, 전신증상에서는 어깨가 아픈 사람이 3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VDT 작업 중의 순목 횟수가 8/min로 휴식 때의 22/min에 비해 많이 감소했다. VDT 작업 직후의 눈물층파괴시간도 약 7초로 작업 전의 약 12초보다 현저히 감소되었다. 안검열의 높이는 작업 전 7.69mm보다 작업 중에는 9.04mm로 증가하였다. 평균 나안시력은 VDT 작업 전에 0.63에서 작업 후에는 0.57로 약 9.5%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타각적 굴절이상은 0.28D 정도 근시화 경향이 보였다. VDT 작업 후 조절력은 1.49D 정도 감소하였는데 주로 조절근점 굴절력의 감소가 원인인 것으로 보인다. 폭주근점 굴절력도 0.87D 감소하였다.

  • PDF

탐색작업에서 한글 VDT를 화면의 최적설계 모수의 결정 (Determination of the Optimal Design Parameters for Search Task with VDT Screen Written in Korean)

  • 황우상;이동춘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20권42호
    • /
    • pp.39-47
    • /
    • 1997
  • There are four parameters (i.e. overall density, local density, grouping, layout complexity) to consider in designing screen of a visual display terminal. Among these, only the optimum level of overall density is known to be about 25~30% by some studies. Therefore, the present experiment is conducted to define the optimum levels of the other parameters to achieve the user's best performance in visual search task.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function related to the levels of local density and user's search times is shown to be U -shaped. When the level of local density is about 40%, the search time is shorter than those of any other levels. (2) In the experiment of grouping, user's performance is best when the number of group is 5, and the size of group does not exceed visual angle $5^{\circ}$ (0,088rad). (3) The user performance is improved as the layout becomes less complex.

  • PDF

VDT 증후군 환자에 물리치료와 인간공학적 개입: 사례 연구 (Physical Therapy and Ergonomic Interventions in Patients with VDT Syndrome: 4 Cases Study)

  • 이인희;박상영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2권4호
    • /
    • pp.91-96
    • /
    • 2010
  • Purpose: Among computer users, the awkward posture and workstation setups of workers contribute to work-related upper limb musculoskeletal disord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a traditional physical therapy and ergonomic intervention by physical therapists in 4 computer users. Methods: After checking Visual Analogue Scores (VAS), four subjects who were treated by physical therapy for neck and shoulder problems related to VDT syndrome were enrolled in the study. All subjects spent at least 40 hours per week at a computer workstation. All subjects had pain and ergonomic states evaluated using methods such as VAS, Neck Disability Index (NDI), Workstyle short form, Rapid Upper Limb Assessment (RULA), and OSHA VDT checklist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video display terminal) before a physical therapy + ergonomic intervention. Participants were re-evaluated 1 month later. Results: Participants showed more improvement of their neck pain after being treated with a physical therapy plus ergonomic intervention than when treatment consisted only of physical therapy. Improvements in RULA, Workstyle short form, and OSHA VDT checklist also were achieved. Conclusion: This case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examining the work habits and work-related postures of subjects who complain of neck and shoulder pain that is exacerbated by computer use. Personalized ergonomic interventions and physical therapy can lead to improvement of patients with VDT syndrome.

장시간 스마트폰 사용으로 VDT증후군을 가진 20대 성인의 체외충격파적용이 목-어깨의 복합적 통증지수에 대한 효과 (The Effects of the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on Complex Pain Scales of Neck-Shoulder in 20s Adults with VDT Syndrome due to prolonged Smartphone Use)

  • 서교철;박승환;조미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135-142
    • /
    • 2021
  • 본 연구는 스마트폰을 장시간 사용으로 VDT증후군(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을 가진 20대 성인들을 대상으로 체외충격파 치료(ESWT)를 통해 목-어깨의 근육의 복합적 통증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VDT증후군으로 목-어깨통증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 20명을 무작위로 분류해서 실험군 10명과 대조군 10명으로 나눠서 실험에 참여하였다. 실험대상자들은 4주간, 주 5일간 실시하였다. 실험군은 1회 5 Hz, 2.0 bar의 강도로 체외충격파치료를 2000회씩 실시하였고, 대조군은 1회 30분간 자가신장운동을 실시하였다. 실험대상자들은 실험전과 실험후에 VAS와 PPT로 목-어깨통증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8.0으로 실험전과 실험후에 실험군과 대조군의 결과값을 분석하기 위해 독립비교를 실시하였다. 실험 후 실험군이 목-어깨근육의 VAS, PPT에서 많이 감소하였다. 하지만 대조군은 큰 차이가 없었다. 이런 결과를 통해 체외충격파 치료는 치료전보다 치료후에 통증감소가 나타났지만 자가신장운동은 치료후 통증감소의 차이가 없었다. 앞으로도 VDT증후군의 원인으로 목-어깨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는 다양한 치료법으로 이용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