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BR

검색결과 240건 처리시간 0.029초

A New Flash TPR-tree for Indexing Moving Objects with Frequent Updates

  • Lim, Seong-Cha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4권1호
    • /
    • pp.95-104
    • /
    • 2022
  • A TPR-tree is a well-known indexing structure that is developed to answer queries about the current or future time locations of moving objects. For the purpose of space efficiency, the TPR-tree employs the notion of VBR (velocity bounding rectangle)so that a regionalrectangle presents varying positions of a group of moving objects. Since the rectangle computed from a VBR always encloses the possible maximum range of an indexed object group, a search process only has to follow VBR-based rectangles overlapped with a given query range, while searching toward candidate leaf nodes. Although the TPR-tree index shows up its space efficiency, it easily suffers from the problem of dead space that results from fast and constant expansions of VBR-based rectangles. Against this, the TPR-tree index is enforced to update leaf nodes for reducing dead spaces within them. Such an update-prone feature of the TPR-tree becomes more problematic when the tree is saved in flash storage. This is because flash storage has very expensive update costs.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a new Bloom filter based caching scheme that is useful for reducing updates in a flash TPR-tree. Since the proposed scheme can efficiently control the frequency of updates on a leaf node, it can offer good performance for indexing moving objects in modern flash storage.

ATM 스위칭 시스템의 VBR/ABR 서비스 품질 지원을 위한 트랙픽 관리 기법 (Traffic Management Scheme for Supporting QoS of VBR/ABR Services in ATM Switching Systems)

  • 유인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8A호
    • /
    • pp.1160-1168
    • /
    • 2000
  • 본 논문은 ATM 네트워크에서 예측하기 힘든 트래픽 특성을 갖는 VBR 및 ABR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서비스 품빌을 지원할 수 있는 실시간 통합트랙픽 관리(RITM : real-time integrated traffic management) 기법을 제안한다. RITM 기법은 독특한 ATM 셀 제어 블록을 운용하여 버스트 특성을 갖는 트래픽을 실시간으로감시하여 셀 도착 율의측정 시 소요되는 지연 시간을 최소화하고 기존의 연결들의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않도록 여분의 네트워크 자원을 동적으로 재 할당하도록 한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한 RITM 기법이 입력 트래픽을 정확히 감시하고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함을 보였으며 이는 주어진 네트워크 상황에서 수용가능한 최적의 사용자 연결수를 결정할수 있음을 증명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결 값이 가격 대비 성능을 최대화할 수 있는 버퍼 설계 및 네트워크 혼잡 상태를 방지하는 임계치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VS/VD스위치의 ABR 서비스 향상을 위한 흐름 제어 알고리즘 (Flow Control Algorithm for ABR Service in VS/VD Switch)

  • 정광일;온종렬;전병실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65-70
    • /
    • 1999
  • ATM망에는 QoS 요구에 따라 CBR, rt-VBR, nrt-VBR, UBR, ABR과 같은 여러 트래픽이 존재하는데, 특히 ABR 트래픽 관리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ABR은 CBR/VBR이 쓰고 남은 여분의 대역폭을 사용하는데, 그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자 많은 흐름 제어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ATM Forum의 트래픽 관리 WG(Working Group)에서는 ABR 서비스의 흐름 제어 관리를 위하여 rate-based와 credit-based, 그리고 이 두가지 방식을 혼합한 방식이 있는데, 이 중 rate-based 방식이 유동적이며 저가격·고용량의 스위치를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표준으로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rate-based 방식에서 EFCI, ER과 VS/VD(Virtual Source/Virtual Destination)등을 이용한 스위치에 대해서 알아보고, VS/VD 방식에서 쓰던 큐 임계값 방식 대신 스위치 입력단에 입력 대역폭 임계값을 이용한 흐름제어 방식을 제안하고 기존의 EPRCA 알고리즘을 응용하여 효율적으로 ABR 트래픽을 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PDF

VBR로 부호화된 지연 민감 서비스의 다중화를 위한 동적인 전송률 할당 알고리즘 (A Dynamic Transmission Rate Allocation Algorithm for Multiplexing Delay-sensitive VBR-coded Streams)

  • 김진수;유국열;이문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7B호
    • /
    • pp.628-637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VBR로 부호화된 복수 개의 지면 민감 서비스를 고속 망으로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다중화 방식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주된 목표는 다중화 되는 각 비트 스트림에 부여되는 지연 제한 조건을 유지하고 또한 다중화되어 전송될 때 망 자원의 이용률을 개선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표를 위해, 각 비트 스트림에 부여된 지연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적인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각 비트 스트림의 상관 관계가 매우 높다고 가정을 하고, 이 가정을 바탕으로 스트림 단위의 시간적 평균화와 동시에 다중화되는 복수 개의 스트림 간에 공간적인 다중화 효과를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식은 모의 실험을 통하여 첨두율과 시변화 계수에 있어서 뛰어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ATM 스위치에서 논리적으로 분할된 버퍼의 셀 스케쥴링 (A cell scheduling of a logically separated buffer in ATM switch)

  • 구창회;나지하;박권철;박광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1755-1764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ATM 스위치의 단일버퍼를 논리적으로 분할하는 버퍼관리 메카니즘을 제안하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할당된 가중치와 제안된 셀 처리 스케줄링 알고리즘(scheduling algorithm)에 대한 트래픽(CBR/VBR/ABR)의 셀 손실확률 및 셀 지연시간을 분석하였다. 제안한 스위치의 버퍼링 시스템은 입력되는 트래픽을 특성별로 분류하여 논리적으로 분할된 버퍼에 저장하고, 스위치의 출력포트로 셀을 전송하기 위하여 동적인 라운드 로빈(round-robin) 서비스를 수행한다. 또한, 버퍼에 가중치를 설정하여 트래픽의 QoS를 보장할 수 있는 4가지의 라운드 로빈 셀 서비스 스케줄링을 분석하였다. SIMSCRIPT II.5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에서 스위치로 입력되는 트래픽은 트래픽 기술자 파라메터를 이용하여 CBR/VBR/ ABR 트래픽이 혼합된 3가지 클래스 트래픽으로 모델링하였으며 VBR과 ABR트래픽은 ON/OFF 소스로, CBR트래픽은 Poisson 소스로 모델링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버퍼관리 메카니즘과 셀 서비스 알고리즘을 분석한 결과 버퍼에 할당된 가중치의 크기와 가중치를 변화시키는 VC내퍼의 종류, 그리고 적용하는 셀 처리 알고리즘 등에 따라 각 VC가 요구하는 QoS를 보상할 수 있음을 알았다.

  • PDF

무선 ATM 가입자망에서 VBR 트래픽의 CLR 성능개선 (A Study on the CLR Performance Improvement for VBR Traffic in the Wireless ATM Access Network)

  • 이하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713-72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접속노드와 무선채널로 구성되는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기반의 무선 ATM 가입자망에서 VBR(Variable Bit Rate) 트래픽의 CLR(Cell Loss Ratio)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무선 ATM 가입자망의 트래픽 모델을 cell scale과 burst scale로 구분하여 분석한 후, 무선접속노드에서 VBR 트래픽의 CLR과 무선채널에서 랜덤에러 및 버스트 에러환경의 CLR 관계식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접속노드와 무선채널의 CLR이 서로 독립적인 관계임을 고려하여 무선 ATM가입자망의 CLR 관계식을 유도하였다. 또한 무선 ATM 가입자망의 CLR을 바탕으로 기존의 SR(Selective Repeat) ARQ(Automatic Repeat request) 보다 Type I Hybrid ARQ기법을 적용한 경우에 CLR이 개선됨을 알 수 있었으며 개선정도를 정량적으로 산출하였다.

  • PDF

무선 ATM에서 In-Band파라미터를 이용한 VBR트래픽의 적응적 슬롯할당에 관한 연구 (Adaptable Dynamic Slot Assignment of VBR Traffics Using In-band Parameter in Wireless ATM)

  • 백종일;전찬용;김영철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1)
    • /
    • pp.131-134
    • /
    • 2000
  • Only MAC protocol can satisfy the service quality of the request of bandwidth, delay time, and cell loss at the same time and it is because MAC protocol provides mobile terminal an environment to use channel evenly and effectively This Paper has been adapted Mobile ATM Standardization of ETSI in maximum and used not only for practicing in-band signal to a priority order but also to the next reserved slot assignment of the dynamic frame. Also, by accepting VBR traffic more adaptively, the effectiveness of transmission channel has been maximized as well, and these are compared with the old way of it and analyz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 PDF

ATM 망에서 멀티클래스 트래픽 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rol of Multi-class Traffics in ATM Networks)

  • 이기학;김점구
    • 정보학연구
    • /
    • 제1권2호
    • /
    • pp.65-79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ATM 망으로 입력되는 트래픽(CBR/VBR)의 QoS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한 버퍼할당 및 버퍼관리 메카니즘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ATM 망의 트래픽 처리방식은 입력되는 트래픽의 특성에 따라 버퍼를 각각 할당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경로분리 메카니즘을 기본으로하며 임계치를 설정하여 버퍼관리 메카니즘의 셀처리 스케줄링 및 알고리즘, 그리고 서비스 크래스의 특성에 따라 요구되는 평균 셀지연과 셀손실을 고찰하였고, CBR/VBR 버퍼의 임계치가 셀지연이나 셀손실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무선 ATM 망에서 VBR 트래픽 Qos 보장을 위한 새로운 동적 슬롯 할당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Neural Dynamic Slot Assignment Algorithm for QoS Guarantee of VBR Traffic in Wireless ATM Network)

  • 김영철;전찬용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8C권4호
    • /
    • pp.443-450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무선 ATM 망에서 VBR(Variable Bit Rate) 트래픽의 QoS(Quality of Service)를 보장하고 무선 채널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새로운 동적 슬롯 할당 알고리즘인 NDSA(Neural Dynamic Slot Assignment)를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에서는 ATM 셀 헤더 부분의 GFC(Generic Flow Control) 필드 상에 단말기의 버퍼 상태와 셀 발생률 변화를 부호화 하여 piggybacking 하는 in-band 방식을 채택하였으며 다음 프레임에 할당할 슬롯의 갯수를 기존 방식과는 달리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유동적으로 조절하여 할당함으로써 단말기의 셀 손실이나 지연에 대한 QoS를 보장하고 채널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었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BONeS tool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기존의 방식과 비교 분석한 결과 그 정당성을 확인하였다.

  • PDF

Accurate Prediction of Real-Time MPEG-4 Variable Bit Rate Video Traffic

  • Lee, Kang-Yong;Kim, Moon-Seong;Jang, Hee-Seon;Cho, Kee-Seong
    • ETRI Journal
    • /
    • 제29권6호
    • /
    • pp.823-825
    • /
    • 2007
  • In this letter, we propose a novel algorithm to predict MPEG-coded real-time variable bit rate (VBR) video traffic. From the frame size measurement, the algorithm extracts the statistical property of video traffic and utilizes it for the prediction of the next frame for I-, P-, and B- frames. The simulation results conducted with real-world MPEG-4 VBR video trace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is capable of providing more accurate prediction than those in the research litera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