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R

검색결과 4,792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산 흰명아주와 근연종의 세포분류학적 연구 (Cytotaxonomical Study of the Chenopodium album and its Related Species in Korea)

  • 정영재;김무열;이병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24-328
    • /
    • 2011
  • 한국산 흰명아주(Chenopodium album var. album), 명아주(var. centrorubrum), 가는명아주(var. stenophyllum)를 대상으로 aceto-orcein에 의한 염색체 수와 모양을 조사하였고, 45S rDNA 유전자를 이용한 FISH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방법을 수행하여 세포유전학적 유연관계를 고찰하였다. 체세포 염색체 수는 흰명아주와 명아주는 모두 2n = 6x = 54개인 반면에 가는명아주는 2n = 4x = 36으로 뚜렷이 구별되었으며, 기본염색체수는 x = 9 개였다. 명아주속의 염색체에서 45S rDNA의 위치를 알아보기 위한 FISH 결과는 흰명아주의 경우 8개의 signal이, 가는명아주에서는 2개의 signal이 관찰되어 종간 차이를 보였으며, 모두 염색체 말단부위에서 관찰되었다. 염색체의 수와 형태, 45S rDNA를 이용한 FISH 결과는 명아주가 흰명아주에 통합되지만, 가는명아주와는 뚜렷이 구별됨을 지지해 주었다.

새로운 채소류의 고구마뿌리혹선충과 땅콩뿌리혹선충에 대한 저항성 (Resistance of Newly Introduced Vegetables to Meloidogyne arenaria and M. incognita in Korea)

  • 김동근;류영현;허창석;이윤수
    • 식물병연구
    • /
    • 제19권4호
    • /
    • pp.294-299
    • /
    • 2013
  • 새로운 채소류를 뿌리혹선충이 감염된 시설재배지에 윤작작물로 추천하기 위하여 7과 13속, 25종, 총 39품종을 고구마뿌리혹선충과 땅콩뿌리혹선충을 대상으로 저항성을 검정하였다. 2종류의 뿌리혹선충에 모두 감수성인 것은 비름과(Amaranthaceae)의 아마란서스와 근대, 낙규과(Basellaceae)의 바우세, 피나무과(Tiliaceae)의 모로헤이야, 메꽃과(Convolvulaceae)의 공심채, 십자화의 청경채, 홍채태(Brassica campestris var. chinensis), 다채(B. campestris var. narinosa), '다청채'(B. campestris var. chinensis x narinosa), 갓, 곱슬겨자(B. juncea), 교나(B. juncea var. laciniate), 채심(B. rapa subsp. arachinenesis), 가이란(B. oleracea var. alboglabra), 로케트샐러드(Eruca sativa), 국화과(Asteraceae)의 쑥갓(Chrysanthemum coronarium), 엔다이브(Cichorium endivia), 아티쵸크(Cynara cardunculus var. scolymus), 상추(Lactuca sativa)였다. M. incognita에는 저항성이나 M. arenaria에는 감수성인 것은 십자화과의 케일(B. oleracea) cv. 맛짱, 콜라비(B. oleracea var. gongyloides) cv. 적콜라비, 치커리(C. intybus) cv. 적치커리였다. 두 종류의 뿌리혹선충에 모두 저항성인 것은 치커리(C. intybus) cv. 슈가로프, 구루모, 통콘네로네(radichio treviso), 십자화과의 케일(B. oleracea) cv. 만추콜라드, 슈퍼맛짱 브로콜리(B. oleracea italica), 잎브로콜리(B. oleracea var. botrytis italiana), 꿀풀과(Lamiaceae)의 차즈기, 들깨였다. 2종류의 뿌리혹선충에 모두 저항성인 채소류는 뿌리혹선충이 감염된 시설재배지에서 부가가치가 높은 저항성 윤작작물로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종자(種子)의 형태적특성(形態的特性)에 의한 피의 분류(分類)와 제초제(除草劑) 반응(反應) (Classification of Echinochloa Species Collected in Korea by Method of Seed Morphology and Their Response to Annual Herbicides)

  • 김길웅;김진협;이인중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41-148
    • /
    • 1989
  • 전국(全國)의 각(各) 지역(地域)에서 채집(採集)한 피는 외부형태적(外部形態的)으로는 매우 큰 차이(差異)를 보였으나 Yabuno가 제시(提示)한 종자(種子)의 포영 길이와 생육습성(生育習性)에 따라 분류(分類)하면 E.oryzicola 와 E.crus-galli var. crus-galli, 및 var. praticola 로 대별(大別)할 수 있었다. E. oryzicola는 외부형태적(外部形態的)으로 벼와 유사(類似)하여 초장(草長)이 비교적 작고 직립형(直立型)으로 까락이 없으며 출수기(出穗期)가 대체로 늦은 편이었고 종내변이(種內變異)가 적었다. 그러나 E. crus-galli var. crus-galli 와 var. praticola는 외부형태적(外部形態的)으로 다양(多樣)한 차이(差異)를 보이고 있어서 외부형태(外部形態)만으로 분류(分類)가 어려웠다. E. crus-galli var. crus-galli의 초장(草長), 분얼수(分蘖數), 수수장(穗穗長) 등(等)의 변이폭(燮異幅)이 매우 컸고 E. crus-galli var. praticola 도 비슷한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우리나라에 분포(分布)하는 피는 외형(外形)의 차이(差異)가 다양(多樣)함에도 불구하고 3정내외(種內外)로 분류(分類)되고 있으며 금후 세포학적(細胞學的)또는 생화학적(生化學的) 관찰(觀察)을 통(通)해 확정(確定)될 수 있을 것이다. 피 3종(種)의 제초제(除草劑)에 대(對)한 반응(反應)은 종내(種內)또는 종간(種間)에서 공(共)히 조사(調査)되었으며 상대적(相對的) 내성(耐性)과 감수성(感受性)의 차이(差異)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한국 미기록 식물: 삼잎구와가막사리 (Bidens radiata var. radiata) (The first record of Bidens radiates var. radiates in Korea)

  • 홍석표;김선유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03-507
    • /
    • 2008
  • 국내산 가막사리속(Bidens L., 국화과)의 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던 중, 함경남도 부전고원에서 채집된 두 장의 표본에서 한반도 식물지에 새로운 분류군인 Bidens radiata Thill. var. radiata가 발견되었다. 한국명은 '삼잎구와가막사리'로 신칭하였다. 삼잎구와가막사리는 근연분류군인 구와가막사리 [Bidens radiata Thill. var. pinnatifida (Turcz. ex DC.) Kitam.]와 비교하여 잎이 대부분 3갈래로 갈라지고, 열편은 피침형인 특징으로 구별된다. 이들 B. radiata의 변종들에 대한 검색표가 제시되었다.

식중독 유발 세균의 증식에 미치는 느릅나무 뿌리껍질 추출물의 영향 (Antimicrobial Effect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Extracts on Food-Borne Pathogens)

  • 배재현;손정남;곽은정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13-218
    • /
    • 200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effect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extracts against food-borne pathogens. First,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was extracted with methanol at room temperature and the fractionation of the methanol extracts was carried out by using petroleum ether, chloroform, and ethyl acetate, and methanol respectively.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extracts was determined by using a paper disc method against food-borne pathogens and food spoilage bacteria. The methanol extracts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showed the highes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epidermidis and Escherichia coli. Finally, the growth inhibition curves were determined by using methanol extracts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against Staphylococcus epidermidis and Salmonella typhimurium. The methanol extract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ha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epidermidis at the concentration of 4,000 ppm. At this concentration, the growth of Salmonella typhimurium was retarded more than 48 hours and up to 12 hours for Staphylococcus epidermidis. In conclusion, the methanol extracts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inhibit efficiently Staphylococcus epidermidis and Salmonella typhimurium.

  • PDF

지리산의 균류의 발생분포에 관한 연구(I) (1. 균류의 미기록종을 중심으로) (Developmental Distribution on Fungi in Mt.Jiri Areas (1. On unrecorded species in Fungi))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2-68
    • /
    • 1999
  • 1996년 4월 1일부터 1998년 3월 30일 까지 지리산 국립공원에서 많은 균류를 채집하여 동정하였다. 그 결과 한국산 미기록종으로 확인된 것은 진균문에서는 줄솔밭버섯(Omphalina ericetorum, 라일락끈적버섯(Cortinarius traganus), 이파리무당버섯(Russula polyphylla), 계단겨우살이버섯아재비(Coltricia montagnei var. montagnei), 적갈색꾀꼬리버섯(Cantharellus ferruginascens), 머리붉은목이(Dacrymyces capitate), 원시주발버섯(Arachnopeziza nivea), 꼬마털컵버섯(Dasyschyphus pygmeaus.), 가는털컵버섯(Dasyschyphus tenuissimus), 과립알보리수버섯아재비(Nectria punicea var. punicea)을 비롯하여 10종을 확인하였고 변형균문에서 아재비털먼지(Trichia affinis), 청황색자루먼지 (Physarum viride var. aurantium)을 비롯하여 2종을 확인하였으며 총 12종이 한국산 미기록 종으로 확인되었다.

  • PDF

RAPD 자료에 근거한 태백제비꽃군의 분류학적 연구 (Taxonomic study of Viola albida complex based on RAPD data)

  • 구자춘;탁효진;황성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18-129
    • /
    • 2010
  • 태백제비꽃군내 태백제비꽃, 단풍제비꽃 그리고 남산제비꽃의 대표적인 개체들을 대상으로 RAPD 방법을 사용하여 분류학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7개의 OTU와 68개의 primers를 사용하여 얻은 증폭된 자위(amplified loci)의 숫자는 모두 476개 이었다. Nei의 유전적 비유사도 지수가 남산제비꽃 개체들에서는 0.051로, 태백제비꽃 개체들은 0.118-0.171로 비교적 낮게 나타난 반면, 단풍제비꽃 개체들은 0.348로 나타나서 상기의 두 종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편, 태백제비꽃 개체들과 단풍제비꽃 개체들, 태백제비꽃 개체들과 남산제비꽃개체들 그리고 단풍제비꽃 개체들과 남산제비꽃 개체들 사이의 유전적 비유사성은 전체적으로 0.214-0.463의 범주로 나타나서 분류군간 뚜렷한 특징을 나타내지 않았다. 유집분석에서 조사된 개체들의 유사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나서 종내 복합체 설정을 지지하였으며, 두 개의 집단으로 유집되었다. 그러나 단풍제비꽃 개체들은 태백제비꽃 또는 남산제비꽃 집단에 각각 유집되어 형태적 변이와 함께 유전적 다양성도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록싸리 종내분류군과 잡종의 분류학적 연구 (Taxonomic study on infraspecific taxa of Lespedeza maximowiczii and hybrids with related species)

  • 진동필;박종원;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00-318
    • /
    • 2019
  • 조록싸리(Lespedeza maximowiczii) 내에 많은 종내분류군들 및 근연분류군과의 잡종들이 기록되었지만, 이들의 분류학적 실체에 대해서는 학자들간에 이견이 있다. 본 연구는 조록싸리와 근연분류군간 잡종인 지리산싸리(L. chiisanensis), 진도싸리(L. patentibicolor) 및 조록싸리의 종내분류군인 털조록싸리(var. tomentella), 늦싸리(var. elongata), 삼색싸리(var. tricolor)의 실체를 규명하기 위해, 외부형태를 관찰하고 microsatellite를 이용하여 유전적 구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털조록싸리와 늦싸리의 꽃과 잎의 형태는 조록싸리의 변이폭에 속했고, 유전적으로도 두 분류군이 조록싸리와 같이 묶였다. 삼색싸리는 꽃의 구조와 색에서 근연종인 L. buergeri와 유사한 반면 소엽 정단부와 소포엽의 형태는 조록싸리와 가까웠다. 유전적 구조에서도 삼색싸리의 개체들은 조록싸리와 L. buergeri의 계통이 혼합된 형태를 보이거나(K = 3), 독립되었다(K = 5). 잡종들의 경우, 지리산싸리의 꽃과 잎의 형태는 조록싸리와 구별되지 않는 반면, 진도싸리의 꽃 형질은 싸리(L. bicolor)의 변이폭에 속했는데, 유전적 계통도 각각 조록싸리와 싸리로 지정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저자들은 털조록싸리와 늦싸리를 조록싸리의 품종, f. friebeana (Schindl.) D. P. Jin, J. W. Park & B. H. Choi로 처리하였는데, 이는 L. friebeana가 var. tomentella 보다 먼저 발표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삼색싸리는 독립종, L. tricolor (Nakai) D. P. Jin, J. W. Park & B. H. Choi 로 처리하였고, 지리산싸리는 조록싸리의 이명으로 처리하였다. 한편 진도싸리는 싸리의 이명으로 판단된다.

지리산오가피와 흰털오가피 열수추출물의 라디칼 제거 활성 및 대식세포에서의 산화질소 생성능 비교 (Comparative Radical Scavenging and Nitric Oxide Production Capacity of Water Extracts of Acanthopanax divaricatus var, Albeofructus and Eleutherococcus divaricatus var. Chiisanensis)

  • 김동민;진보라;김지연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4호
    • /
    • pp.337-34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지리산오가피와 흰털오가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능, FRAP assay를 이용한 환원력을 비교 조사하였고, mouse의 대식세포인 Raw 264.7 cell에 LPS를 이용하여 자극시킨 후 생성되는 NO의 함량을 비교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흰털오가피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차이가 크지 않으며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능과 FRAP 방법을 이용한 환원력에서는 두 오가피 종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염증 활성을 비교하기 위해 확인한 NO 생성양은 지리산오가피가 고농도 처리시 유의하게 항염증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Ⅵ. 단풍나무과의 분포도 (Distribution Atlas of Plants in Korea Ⅵ. Atlas of Aceraceae)

  • 김윤식;고성철;심정기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4권4호
    • /
    • pp.191-216
    • /
    • 1981
  • 단풍나무과의 16종, 14변종, 1품종의 분포도를 UTM grid map에 작성하였다. A. okamotoanum과 A. takesimense는 특산종으로 울릉도에 분포하나 A. takesimense만은 제주도, 완도, 흑산도 등에도 분포한다. A. palmatum var. nakaii는 난대 중북부에 분포하고 A. micro-sieboldianum과 A. nudicarpum은 중부에만 분포하는 특산종이다. A. barbinerve와 A. tegmentosum은 북방분자로서 분포 남한선이 지리산 산정이고 북부에는 낭림산, 백두산 등에 분포한다. A. ginnala와 A. mono는 중국의 요동반도와 산도반도 및 남만주 등에 공통 분포하고 A. barbinerve, A. lobulatum, A. mandshuricum, A. pseudo-sieboldianum, A. tegmentosum, A. triflorum, A. tschonoskii var. rubripes, A. ukurunduense 중은 남만주 및 북만주와 공통 분포하는 만주계 식물이다. A. japonicum, A. mono var. ambiguum, A. mono var. savatieri, A. palmatum var. matsumurae, A. ukurunduense var. pilosum 등은 한일분자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