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LLEYS

검색결과 263건 처리시간 0.028초

대구 혁신도시 개발예정지의 지형자원 조사 (Survey of Geomorphological Resources of 'Daegu Innovation Town' Development Plan Area)

  • 손명원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73-188
    • /
    • 2008
  • 본 보고서는 도시개발에 따른 지형변화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팔공산지 등단의 산록에 위치한 대구 혁신도시 개발예정지의 지형자원의 분포를 조사한 것이다. 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배후산지의 소규모 하곡 전면에는 소규모 선상지들이 분포하며, 하곡 측면에는 배후의 산지로부터 이어지는 구릉지가 분포한다. 둘째, 소규모 하곡이 구릉지를 측방침식 한 경우에는 수직의 하식애와 평탄한 기반암 하상이 잘 드러나며, 셰일 하상에는 건열과 연흔 화석이 나타나기도 한다. 일부 하곡에서는 절리를 따라 암괴가 제거되어 감입곡류가 형성되는 과정을 보여주기도 한다. 셋째, 신서지구의 선상지는 약 7m의 층후를 보인다. 선상지를 관류하는 신서천 하곡 내에는 2m 내외의 하안단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하안단구는 후빙기 선상지가 개석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것으로, 하안단구 형성과정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

  • PDF

경상좌도 동천구곡의 지형적 특성 (The Geomorphological Features of Dongcheon-gugok in the Eastern Part of Gyeongsang Province)

  • 기근도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5-109
    • /
    • 2008
  • 경상우도 동천구곡은 속리산과 덕유산 일대의 골짜기에 주로 분포하며, 화강암 지형 경관이 주축을 이룬다. 특히 하천의 암반 하상에 넓게 펼쳐진 너럭바위가 그 대표적 지형 경관이라 할 수 있다. 반면에 경상좌도 동천구곡은 경북 일대 태백 산지의 골짜기에 주로 분포하며, 퇴적암 지형 경관이 주축을 이룬다. 경북 일대 태백 산지의 골짜기에는 낙동강이 흐르는데, 동천구곡은 주로 낙동강의 지류를 따라 분포한다. 낙동강의 지류들은 태백 산지 내에서 곡류 하도를 이루며, 이에 따라 공격면 상에는 수직 절벽이 발달하고 그 아래에는 소가 나타난다. 보호면에 해당하는 포인트바는 주로 자갈 중심의 사력퇴가 발달하여 여울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경상우도 동천구곡은 수평적 경관미를 담고 있다면, 경상좌도 동천구곡은 수직적 경관미가 탁월하다고 할 수 있다. 선인들은 동천구곡의 지형경관을 절벽(絶壁), 봉(峯), 담(潭), 탄(灘),천사(川沙), 폭(瀑), 대(臺) 등으로 이름 지어 불렀다.

골프장내 수계의 환경친화적 복원 (Environmental Restoration of Water System in Golf Courses)

  • 최경영;주영규;김수정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53-264
    • /
    • 2006
  •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골프장은 법적, 경제적 이유로 건설부지가 계곡과 능선 또는 봉우리를 포함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계곡과 능선은 생태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이를 훼손하는 것은 생태환경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골프장 공사로 인해 발생하는 훼손을 최소화하고 기존의 계곡 또는 하천이 하던 생태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생태복원형 하천을 환경보상적 차원에서 설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골프장 내의 하천을 생태하천으로 복원하기 위해 고려해야할 사항과 적합한 공법 및 사례를 통하여 골프장건설로 인한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고 자연환경과 조화를 통하여 최적의 골프장을 조성할 수 있도록 설계도면 실례를 들어 제안하였다.

한국 하천 모래톱의 지형학적 의미와 효능 - 낙동강 하곡을 사례로 - (Geomorphological significance and role of the sand bars of major river valleys in the South Korea - case study on the Nakdong river valleys -)

  • 오경섭;양재혁;조헌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4
    • /
    • 2011
  • 모래톱이 잘 발달함은 한국하천지형의 주요 특징이다. 이는 한편으로는 한국의 기후지형 환경과 관련하여 전국에 널리 분포하는 화강암 풍화 및 풍화층에서 다량의 모래를 하곡으로 공급하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심하게 굽이치는 곳이 많고 곡폭의 변화가 커서 모래 이동의 병목구간이 많을 수 밖에 없는 하곡의 배열과 형상 때문이다. 그리고 하계 집중호우로 인해 하천의 유황 변동 폭이 크다는 점도 사력퇴를 잘 발달시키는 수리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 모래톱들은 수분수지 불균형을 조절해주는 역할을 하면서 우수한 수질정화필터 역할을 한다. 이와 함께 모래톱들은 하천 어패류의 서식 산란 공간이 되고, 내륙에 수서성, 반수서성 식생이 군락을 이룰 수 있는 터전 역할을 한다. 모래톱은 자연생태계는 물론 인간 생활에 매우 긍정적 역할을 하고 있다.

대구 팔공산의 지형자원 (Geomorphic Resources of Mt. Palgong, in Daegu)

  • 전영권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47-259
    • /
    • 2011
  • 본 연구는 중요한 문화역사와 다양한 생태환경을 갖추고 있는 팔공산(주로 화강암 구역)을 대상으로 지형자원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남사면(화강암)은 북사면(화강암과 변성퇴적암)에 비해 지질적 경계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특히 단층선(남사면의 화강암 지대와 변성퇴적암 지대 사이)으로 인한 차별침식 결과 소규모 분지가 발달한다. 2) 국지적인 기후, 지형 및 지질적 차이로 인해 남사면보다 북사면의 계곡이 비교적 크게 발달한 것으로 판단된다. 3) 토르, 판상절리지형, 거터, 등은 남·북사면 모두에서 잘 발달한다. 그러나 다각형균열바위와 암괴류 등은 남사면상에서, 계곡 발달이 현저한 북사면상에서는 하식애, 소, 폭포 등의 지형발달이 상대적으로 우세하다. 4) 비교적 수려한 지형경관은 팔공산 남사면에 위치하는 동산계곡과 치산계곡에 주로 발달한다. 5) 팔공산지에 발달하는 지형자원 중에는 스토리텔링에 활용할만한 자원이 많아 활용을 위한 계획이 필요하다.

우리 나라 침식분지의 경관 -구릉지의 토지이용 변화를 중심으로- (Landscape of Erosional Basin in Korea -In case of land-use changes of hills-)

  • 손명원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83-96
    • /
    • 2000
  • 우리나라 대하천의 중 상류 구간에 분포하는 침식분지는 지방 중 소도시의 중요한 생활무대로 이용되고 있으나, 침식분지에 관한 연구는 주민들의 생활과 동떨어져 있어 인간과 자연환경의 관계를 이해하려는 노력이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취락입지 및 구릉지의 토지이용 변화를 근거로 1900년대 이후 침식분지 내 경관변화의 원인과 그 양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질 요소의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 기반암의 지질이 다른 분지들을 선택하였다(거창분지-화강암, 초계분지-변성암, 안계분지-사력퇴적암, 마성분지-석회암). 그리고 구릉지의 경사도와 토양의 영향을 분석하고자 구릉지의 종 평단면도 위에 토지이용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침식분지의 경관은 구릉지와 개석 곡지, 그리고 하천 주변의 범람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석 곡지와 범람원은 논으로 개간되었으나 구릉지는 최근까지 임야지로 이용되었다. 구릉지는 인구증가에 따른 개간압력과 '자연은 곧 생산재'라는 자본주의적 사고의 영향을 받아, 전통적인 신성한 공간인 '산'에서 생산재인 구릉지로 재인식되었다. 따라서 구릉지는 임야지에서 발, 과수원, 논, 주택지, 농공단지 부지 등으로 개발되었다. 자연적 조건에 따른 구릉지 경관의 변화 양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질구조선이 비교적 조밀한 화강암의 거창분지에서는 심하게 풍화된 물질이 쉽게 제거됨으로써 하계밀도가 높다. 완만한 구릉지에는 과수원이나 농공단지가 입지하고, 소하천의 측방침식으로 급경사를 유지하는 곳은 임야지로 남아 있다. 둘째, 지질구조선이 성긴 사력퇴적암의 안계분지에서는 소하천의 발달이 불량하다. 파랑상의 평탄한 구릉지는 밭이나 과수원, 논, 농공단지로 이용되고, 완만한 개석곡지는 논으로 이용된다. 셋째, 석회암의 마성분지에서는 넓고 평탄한 구릉지를 과수원이나 밭, 묘지, 농공단지로 이용한다. 그리고 폐쇄형 분지인 초계분지에서는 구릉지가 좁고 짧게 남아 있다. 선상지를 이루는 넓은 개석곡지는 일찍부터 논으로 개간되었고, 구릉지는 임야지로 남아있다.

  • PDF

개선된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산형 골조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Gable Frame Using the Modified Genetic Algorithm)

  • 이홍우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3권4호
    • /
    • pp.59-67
    • /
    • 2003
  • Genetic algorithm is one of the best ways to solve a discrete variable optimization problem. Genetic algorithm tends to thrive in an environment in which the search space is uneven and has many hills and valleys. In this study, genetic algorithm is used for solving the design problem of gable structure. The design problem of frame structure has some special features(complicate design space, many nonlinear constrants, integer design variables, termination conditions, special information for frame members, etc.), and these features must be considered in the formulation of optimization problem and the application of genetic algorithm. So, 'FRAME operator', a new genetic operator for solving the frame optimization problem effectively, is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design problem of gable structure. This example shows that the new opreator has the possibility to be an effective frame design operator and genetic algorithm is suitable for the frame optimization problem.

  • PDF

Noise Spectrum Estimation Using Line Spectral Frequencies for Robust Speech Recognition

  • Jang, Gil-Jin;Park, Jeong-Sik;Kim, Sang-Hun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79-187
    • /
    • 2012
  • This paper presents a novel method for estimating reliable noise spectral magnitude for acoustic background noise suppression where only a single microphone recording is available. The proposed method finds noise estimates from spectral magnitudes measured at line spectral frequencies (LSFs), under the observation that adjacent LSFs are near the peak frequencies and isolated LSFs are close to the relatively flattened valleys of LPC spectra. The parameters used in the proposed method are LPC coefficients, their corresponding LSFs, and the gain of LPC residual signals, so it suits well to LPC-based speech coders.

Comparative Height Growth and Forest Structure of Fraxinus Spaethiana and Pterocarya Rhoifolia in Natural Reforestation Stands in Steep Valleys of Central Japan

  • Ann, Seoung-Won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12호
    • /
    • pp.1119-1124
    • /
    • 2006
  • Height-growth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forest structure and compare Pterocarya rhoifolia and Fraxinus spaethiana growth characteristics within and between each species in two P. rhoifolia-dominant and two F. spaethiana established contemporaneously in the sere, species vertical stratification 25 years after stand initiation was such that P. rhoifolia dominated the overstory but F. spaethiana the understory, including that P. rhoifolia grew about 4 times more rapidly Similarly, F. spaethiana dominated the overstory but not the understory, in a stand where it established mainly by itself, 25 years after Initiation. However, comparing the two different stands, P. rhoifolia overstory heights were about two times greater than F. spaethiana. This suggests that in a disturbance regime, forest regeneration is affected by height-growth patterns such that P. rhoifolia's ability to achieverapid height growth allows it to dominate where lights growth allows it to dominate where light resources are continuously abundant.

대흑산도 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Vegetation of Daehuksan Island)

  • Kim, Chul-Soo;Jang, Yoon-Seo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2권3호
    • /
    • pp.145-160
    • /
    • 1989
  • Daehuksan Island (125°23'-125° 28' E and 34°37'-34°42' N, ca 19.7㎢) in the southwestern part of Mokpo, Korea, is a part of the Dadohae National Marine Park. Most of the actual vegetation of the island is substitutional vegetation under various human impact such as grazing, cutting for firewood. And natural vegetation is partially distributed in the tutelary shrine forests, deep valleys, etc. During 1987, phytosociological investigation of this was carried out on the basis of Braum-Blanguet's method.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1 association and 7 communities, Camellia japonica, Machilus thunbergii, Ardisio-Castanopsietum sieboldii, Daphniphyllum macropodum-Quercus acuta, Pyrrosia lingua-Pinus densiflora. Rhododendron mucronulatum-Pinus thunbergii, Carpinus coreana, and Psedosasa japonica community. Grassland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Gleichenia japonica, Gleichenia dichotoma, Arundinella hirta-Miscanthus sinensis,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i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Pennisetum alpecuroides, Carex boottiana, and salt marsh vegetation. Thypa orientalis, Spergularia marina, Phragmites communis, Carex scabrifolia, and Triglochin maritimum community. Based on them, the actual vegetation map was made in 1:50,000 sca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