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5.2

검색결과 14,714건 처리시간 0.047초

정극 재료용 $LiO_2-P_2O_5-Bi_2O_3-V_2O_5$ 유리의 결정화 특성 (Crystallization properties of $LiO_2-P_2O_5-Bi_2O_3-V_2O_5$ Glass for cathod material)

  • 손명모;이헌수;구할본;정인성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0년도 영호남학술대회 논문집
    • /
    • pp.311-315
    • /
    • 2000
  • Vanadate glass in the $LiO_2-P_2O_5-Bi_2O_3-V_2O_5$ system containing 10mol% glass fonner, $P_2O_5$ and $Bi_2O_3$ was prepared by melting the batch in pt. crucible followed by Quenching on the copper plate. We found that $LiO_2-P_2O_5-Bi_2O_3-V_2O_5$ glass-ceramics obtained from nucleation of glass showed signifieantly higher capacity and longer cycle life than conventionally made crystalline $LiV_3O_{8}$. In the present paper, we describe the charge / discharge properties during crystallization process and find the best crystallization condition of $LiO_2-P_2O_5-Bi_2O_3-V_2O_5$ glass as cathod material.

  • PDF

마이크로파 발열된 $V_2$$O_5$-PbO-$TeO_2$ 유리의 특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for the Characteristics of Microwave Coupled $V_2$$O_5$-PbO-$TeO_2$Glass System)

  • 박희찬;이상은;김병우;박성수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438-445
    • /
    • 2001
  • 600 W의 마이크로파 출력 하에서 PbO, V$_2$O$_{5}$, TeO$_2$ 및 V$_2$O$_{5}$-PbO-TeO$_2$성분들의 마이크로파 발열 특성을 조사하였다. V$_2$O$_{5}$ 성분의 높은 마이크로파 흡수능에 기인하여 V$_2$O$_{5}$-PbO-TeO$_2$유리상 시편들은 마이크로파를 흡수하여 주어진 온도까지 직접 가열되었다. XRD, OM, SEM 및 고전압 발생 측정기를 통하여 재래식 열 및 마이크로파 공정에서 열처리된 시편들의 결정화 및 전기 전도도의 특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PbV$_2$O$_{6}$ 및 Pb$_4$V$_2$O$_{9}$ 결정상들이 마이크로파 열처리된 시편에서는 존재하였다. 그러나, 재래식 열처리된 시편들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재래식 열처리된 시편들에 비하여 마이크로파 열처리된 시편들의 전기 전도도 값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 PDF

간흡충 세르카리아의 Chaetotaxy에 관한 연구 (Cercarial Chaetotaxy of Clonoychis sinensis)

  • 민득영;김재진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2호
    • /
    • pp.113-116
    • /
    • 1988
  • 간흡충 세르카리아의 감각유두 분포양상 즉 chaetotaxy를 관찰하였다. 이 세르카리아의 chaetotaxy는 두부(cephalic region)에서 제1열에 5∼6 Ci 1, 4∼5 Ci 2, 5∼6 Ci 3, 제2열에 4 Cii 1, 2 Cii 2, 4 Cii 3, 5∼6 Cii 4, 제3열에 3∼4 Ciii 1, 2∼3 Ciii 2, 및 제 4열에 2 Civ 1, 2∼3 Civ 2, 2∼3 Civ 3의 분포를 보였으며, 몸통 부위 (body region)의 각측(V) 및 때측(D)에서 2 AiV, 1 AiD, 2 AiiV, 1 AiiB,2 kiiiv,2 AiiiD, 1 AivV, 1 AivD, 1 PiiD, 1 PiiiD, 그리고 꼬리 부위(caudal region)에서 2-2-2-2의 분포양상을 보였다. 이 결과를Opisthorchis chabaudi 및 Metagonimus yokugawai에서 보고된 chaetotaxy와 비교하였다.

  • PDF

$V_2O_5$ 첨가가 $TiO_2$ 세라믹스의 물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n Properties of $V_2O_5$-added $TiO_2$ Ceramics)

  • 유도현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전문대학교육위원
    • /
    • pp.138-140
    • /
    • 2007
  • $TiO_2-V_2O_5$ sol was fabricated using sol-gel method and $TiO_2-V_2O_5$ thin films were fabricated using dip-coating method. $V_2O_5$ sol was added 0.01mo1e, 0.03mo1e, 0.05mo1e into $TiO_2$ sol. Viscosity of sol increased fast from about 1,000 minutes and sol began gelation from about 10,000 minutes. As a results of crystalline properties, $V_2O_5$ peaks were not found despite of $V_2O_5$ addition. Endothermic reaction occurred due to evaporation of solvent and dissociation of OH at $80^{\circ}C$. Exothermic reaction occurred due to combustion and oxidation of solvent at $230^{\circ}C$, occurred to combustion and oxidation of alkyl group at $350^{\circ}C$. Thickness of thin films increased $0.1{\sim}0.25{\mu}m$ every a dipping.

  • PDF

$Nb_2O_5$$V_2O_5$의 첨가가 Lithium Ferrite의 소결현상과 B-H Loop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b_2O_5$ and $V_2O_5$ Additions on the Sintering Behavior and B-H Loop Properties of Lithium Ferrite)

  • 김현태;임호빈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67-274
    • /
    • 1982
  • The sintering behavior and B-H loop properties of $Li_{0.5O4}$ with the addition of $Nb_2O_5$ and $V_2O_5$ have been investigated by observation of microstructures and measurement of semi-static hysteresis loops. The sintering temperature was lowered by the additions of $Nb_2O_5$ and $V_2O_5$ and the effect of $V_2O_5$ addition was greater than that of $Nb_2O_5$. The abnormal grain growth was observed at about 100$0^{\circ}C$(d:4.6g/㎤) and 85$0^{\circ}C$(d:4.5g/㎤) in the specimens with the addition of $Nb_2O_5$ and $V_2O_5$ respectively. The addition of $Nb_2O_5$ retulted in a large and uniform grain size, and the addition of $V_2O_5$ resulted in a uniform grain size but the final density was lower than that of the pure specimen. The squareness was increased and the coercive force was decreased by the addition of $Nb_2O_5$, and the squareness was decreased and the coercive force was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V_2O_5$. These effects could be explained by a large and uniform grain size, and by a lower final density of specimens with the addition of $Nb_2O_5$ and $V_2O_5$ respectively.

  • PDF

Aspergillus Terreus에 의한 이타콘산 생산을 위한 최적배양조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Optimal Culture Conditions for Itaconic Acid Production by Aspergilus Terreus)

  • 박승원;김승욱
    • KSBB Journal
    • /
    • 제9권4호
    • /
    • pp.436-442
    • /
    • 1994
  • Aspergillus terreus NRRL 1960에 의한 이다콘산의 생산에 관해 연구하였다. pH, 접종량, 배지조성 등의 최적조건을 확립하였다. 이타콘산의 최대생산 량은 37°C, pH 2.5의 조건에셔, 5% (w/v) glu­c cose, 0.5 % (w/v) $NH_4Cl$, 0.2 % (w/v) yeast ex­tract, 0.1 % (w/v) $MgSO_4$, 0.2 % (w/v) NaCI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7일만에 $19.18g/\ell$를 얻을 수 있었다. 종균배양 배지로서 2 % malt extract가 적합하였다. 교반식 반응기에서 유리균체에 의한 이타콘 산의 회분식 생산은 플라스크 배양에 비해 비효율적 이었다.

  • PDF

$B_{10}H_{14}$ 이온 주입을 통한 ultra-shallow $p^+-n$ junction 형성 및 전기적 특성 (Electrical Properties of Ultra-shallow$p^+-n$ Junctions using $B_{10}H_{14}$ ion Implantation)

  • 송재훈;김지수;임성일;전기영;최덕균;최원국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51-158
    • /
    • 2002
  • Decaborane ($B_{10}H_{14}$) 이온 주입법으로 n-type Si (100) 기판에 ultra-shallow $p^{+}-n$ 접합을 형성시켰다. 이온 주입에너지는 5kV와 10kV, 이온 선량은 $1\times10^{12}\textrm{cm}^2$$1\times10^{13}\textrm{cm}^2$로 decaborane을 이온 주입시켰다. 이온 주입된 시료들은 $N_2$ 분위기에서 $800^\{\circ}C$, $900^{\circ}C$, $1000^{\circ}C$에서 10초 동안 RTA(Rapid Thermal Annealing) 처리를 하였다. 또한 가속에너지에 따른 결함을 확인하기 위해서 15 kV의 이온 주입 에너지에서 $1\times10^{14}\textrm{cm}^2$만큼 이온 주입하였다. 2 MeV $^4He^{2+}$ channeling spectra에서 15 kV로 주입된 시료가 bare n-type Si와 5 kV, 10 kV의 에너지로 주입된 시료보다 주입시 생긴 결함에 의해 backscattering yield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spectra로부터 얻은 이온 주입으로 인한 비정질층의 두께는 표면으로부터 가속전압이 5kV, 10kV, 15kV일 때 각각 1.9nm, 2.5nm, 4.3nm였다. 10 kV에서 이온 주입된 시료를 $800^{\circ}C$ 열처리 한 결과 결함의 회복으로 인해 bare Si와 비슷한 backscattering yield를 보였으며 이때의 계산된 비정질 층의 두께는 0.98 nm이었다. 홀 측정과 면저항 측정은 dopant의 활성화가 주입된 에너지, 이온 선량, 열처리 온도에 따라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I-V 측정 결과 누설 전류 밀도는 열처리 온도가 $800^{\circ}C$에서 $1000^{\circ}C$까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주입에너지가 5kV에서 10kV까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고체전해질용 CuO-$P_{2}O_{5}$-$Nb_{2}O_{5}$-$V_{2}O_{5}$계 유리의 결정화와 전기전도도 (Crystallization and conductivity of CuO--$P_{2}O_{5}$-$Nb_{2}O_{5}$-$V_{2}O_{5}$Glasses for Solid State Eletrolyte)

  • 손명모;이헌수;김종욱;김윤선;구할본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475-480
    • /
    • 2001
  • Glasses in he system CuO-P$_2$O$_{5}$ -Nb$_2$O$_{5}$ -Nb$_2$O$_{5}$ -V$_2$O$_{5}$ were prepared by a press-quenching method on the copper plate. the glass-ceramics from these glasses were obtained by post-heat treatment, and the crystallization behavior and DC conductivities were determined. The conductivities of the glasses were range from 10$^{-6}$ s.$cm^{-1}$ / at room temperature ,but the conductivities of the glass-ceramics were 10$^{-3}$ s.$cm^{-1}$ / increased by 10$^3$ order. The crystalline product in the glass-ceramics was CuV$_2$O$_{6}$ . the crystal growth of CuV$_2$O$_{6}$ phase increased with heat-treatment conditions. Th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il($\sigma$T) and T$^{-1}$ suggested that the electrical conduction in the present glass-ceramics would be due to a small polaron hopping(SPH) mechanism.

  • PDF

우레아 및 포름산을 이용한 바나듐 산화물 나노소재의 합성 및 전기화학적 특성 (Vanadium Oxide Nanomaterials Prepared Using Urea and Formic Acid as Cathodes for Lithium Batteries)

  • 박수진;이만호;박희구
    • 공업화학
    • /
    • 제21권2호
    • /
    • pp.211-216
    • /
    • 2010
  • 우레아와 포름산을 이용한 균일침전법으로 $(NH_4)_{0.3}V_2O_5$$V_2O_5$ 나노소재를 합성한 후 TGA, SEM, FT-IR, XRD, 선형 전압전류법 등을 이용하여 물성과 전기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평균 층간 거리는 우레아 첨가 유무에 따라 $10.7{\AA}$, $14.2{\AA}$로 각각 나타났다. 또한 표면구조는 합성 시 우레아가 첨가된 소재는 나노로드, 포름산만 첨가된 시료는 나노쉬트 모양의 단위체가 형성되었다. $95^{\circ}C$에서 우레아를 첨가하여 제조한 $(NH_4)_{0.3}V_2O_5$ 나노소재의 전지용량은 평균 280 mAh/g 이상이었다.

GENERALIZED LUCAS NUMBERS OF THE FORM 5kx2 AND 7kx2

  • KARAATLI, OLCAY;KESKIN, REFIK
    • 대한수학회보
    • /
    • 제52권5호
    • /
    • pp.1467-1480
    • /
    • 2015
  • Generalized Fibonacci and Lucas sequences ($U_n$) and ($V_n$) are defined by the recurrence relations $U_{n+1}=PU_n+QU_{n-1}$ and $V_{n+1}=PV_n+QV_{n-1}$, $n{\geq}1$, with initial conditions $U_0=0$, $U_1=1$ and $V_0=2$, $V_1=P$. This paper deals with Fibonacci and Lucas numbers of the form $U_n$(P, Q) and $V_n$(P, Q) with the special consideration that $P{\geq}3$ is odd and Q = -1. Under these consideration, we solve the equations $V_n=5kx^2$, $V_n=7kx^2$, $V_n=5kx^2{\pm}1$, and $V_n=7kx^2{\pm}1$ when $k{\mid}P$ with k > 1. Moreover, we solve the equations $V_n=5x^2{\pm}1$ and $V_n=7x^2{\pm}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