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2V

검색결과 29,162건 처리시간 0.059초

아쿠아옥소몰리브텐(V) 이합체 착물과 바나듐(V)과의 반응에 대한 속도와 메카니즘 (Rates and Mechanism of the Reactions of Aquaoxomolybdenum(V) Dimer with Vanadium(V))

  • 김창수;이문평
    • 대한화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532-537
    • /
    • 1986
  • $VO_2^+$$[Mo_2O_4(H_2O)_6]^{2+}$의 반응에 대한 속도론은 25$^{\circ}$C에서 분광광도법으로 연구하였다. $[Mo_2O_4(H_2O)_6]^{2+}$이 산화반응의 화학양론은$ Mo_2^V + 2V^V {\rightleftharpoons} 2Mo^{VI} + 2V^{IV}$이다. 관찰된 유사일차속도상수, $k_{obs}$는 수소이온과 $ VO^{2+}$에 의존한다. $[Mo_2O_4(H_2O)_6]^{2+}$$VO^{2+}$의 산화-환원반응에 대한 메카니즘이 제시되며 이에 대하여 논의된다.

  • PDF

질소산화물 환원과 N2O 생성에 있어서 V2O5-WO3/TiO2 촉매의 V2O5 함량 영향 (The Effect of Vanadium(V) Oxide Content of V2O5-WO3/TiO2 Catalyst on the Nitrogen Oxides Reduction and N2O Formation)

  • 김진형;최주홍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1권3호
    • /
    • pp.313-318
    • /
    • 2013
  • $V_2O_5-WO_3/TiO_2$ 촉매의 질소산화물 환원반응에 있어서 $V_2O_5$ 함량이 NO 환원 및 $N_2O$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분말촉매를 사용한 미분반응기에서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고정된 비율의 $WO_3$$TiO_2$$V_2O_5$ 함량을 1에서 8 wt%까지 변화시킨 촉매에서 NO 환원반응과 암모니아 산화반응 특성이 조사되었다. $V_2O_5-WO_3/TiO_2$ 촉매에서 NO 환원 반응은 $200^{\circ}C$ 이하에서도 상당량 진행되지만, $V_2O_5$ 함량을 1 wt% 촉매의 경우 700 ppm의 NO를 99.9%이상 전환시키는 최저 반응온도가 $340^{\circ}C$에서 아주 좁은 활성 온도창으로 일어났다. 그리고 이 활성온도는 촉매의 $V_2O_5$ 함량이 증가됨에 따라 점점 저온 쪽으로 이동하여, 6 wt% 촉매의 경우 $220{\sim}340^{\circ}C$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V_2O_5$ 함량이 8 wt% 촉매의 경우 전 온도 구간에서 6 wt% 촉매보다 낮은 NO 환원율을 보였다. 그러나 반응온도 $340^{\circ}C$ 이상에서는 촉매의 $V_2O_5$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NO 전환율이 감소하였다. 이는 $V_2O_5-WO_3/TiO_2$ 촉매의 NO 환원을 위한 촉매 활성점 상당 크기 이상의 $V_2O_5$ 입자와 관계되는 것으로 판단되며 촉매 입자가 클수록 $320^{\circ}C$ 이상에서 암모니아 산화에 의해 발생되는 $N_2O$ 생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V_2O_5-WO_3/TiO_2$ 촉매는 배기가스 중의 질소산화물 제거를 위하여 현재 통상적으로 $350{\sim}450^{\circ}C$의 영역에서 운전되고 있으나, 고온 영역에선 2차 오염물인 $N_2O$의 발생을 피할 수 없고 에너지 소비량이 많으므로, $250{\sim}320^{\circ}C$의 저온 영역에서 적합한 촉매로써 $V_2O_5$ 함량이 높은 $V_2O_5-WO_3/TiO_2$ 촉매의 사용이 권장되었다.

수입냉동 어패류에 오염되어 있는 Vibrio속 세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Vibrio Species Contaminated in Imported Frozen Seafoods)

  • 윤영준;김도연;이실한;이우윤;고영환;김승곤;김정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8-136
    • /
    • 2000
  • 수입 냉동어패류에서 24주의 Vibiro 균주를 순수 분리하여 그들의 생리, 생화학적 특성에 따라 동정한 결과 V. cholerae non-O1과 V. diazotrophicus가 각 2주, V. hollisae 1주, V. natriegens 5주, V. fluvialis 8주, V. nereis 4주인 것으로 밝혀졌고 2주는 Vibirio속 균주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 균주들을 API-2OE kit로 동정한 결과는 위의 결과와 매우 달라, V. cholerae로 동정된 2주와 fluvialis로 동정된 5균주의 경우에만 결과가 일치하였고 나머지는 Vibrio속이 아닌 것으로 분석되었다. 식품류에서 V. cholerae가 검출된 점에 주목하여 이 분리균들의 동정을 보다 정확히 하기 위하여 분리균들의 165 rRNA를 증폭시켜 이들의 RFLP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r cholerae로 동정된 두 균주는 동일한 RFLP양상을 갖고 있었으며, V. cholerae보다는 V. proteolyticus의 RFLP에 보다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식품류의 병원균 검색을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검색 방법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하겠다.

  • PDF

전분을 이용한 탄수화물 분해효소의 고 생산과 효소 안정성 증가를 위안 글리세롤 첨가 (Glycerol Addition for the Hyper-production and Stabilization of a Novel Carbohydrolase by Lipomyces starkeyi)

  • 이선옥;이진화;박준성;서은성;김창용;조동련;김도원;김도만
    • KSBB Journal
    • /
    • 제17권6호
    • /
    • pp.586-589
    • /
    • 2002
  • Lipomyces starkeyi KSM 22는 덱스트라나아제와 아밀라아제 활성을 동시에 갖는 덱사메이즈를 생산한다. 1% (w/v)의 전분을 포함한 배지에 0.02% (w/v) 2-deoxy-D-glucose를 첨가한 경우, 넣지 않았을 때보다 약 2.5배의 증대된 효소 생산성을 보였으며, 0.5% (v/v) 글리세롤을 첨가한 경우 2.4배의 효소생산성을 보여 1% (w/v)의 덱스트란을 사용한 경우에 생산되는 덱사메이즈 양만큼의 생산성을 얻을 수 있었다. 정제된 효소와 효소 안정제로 사용이 가능한 혼합액을 4$0^{\circ}C$에서 3주간 방치 후 초기 활성과 비교하여 잔존하는 효소의 활성을 확인한 결과 25% (v/v) 글리세롤을 첨가했을 때 3주 후 덱스트라나아제의 활성으로 확인된 덱사메이즈의 활성은 초기의 90.9%가 유지되었고, 1% (v/v) 글리세롤에 50 mM CaCl$_2$와 KH$_2$PO$_4$를 첨가한 경우는 초기 활성의 73.4%가 유지되어 덱사메이즈 안정성에 효과가 있었다.

Effect of V2O5 Modification in V2O5/TiO2-ZrO2 Catalysts on Their Surface Properties and Catalytic Activities for Acid Catalysis

  • Sohn, Jong-Rack;Lee, Cheul-Kyu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8권12호
    • /
    • pp.2459-2465
    • /
    • 2007
  • V2O5/TiO2-ZrO2 catalyst modified with V2O5 was prepared by adding Ti(OH)4-Zr(OH)4 powder into an aqueous solution of ammonium metavanadate followed by drying and calcining at high temperatures. The characterization of prepared catalysts was performed using XRD, DSC, solid-state 51V NMR, and FTIR. In the case of calcination temperature of 500 oC, for the catalysts containing low loading V2O5 below 25 wt % vanadium oxide was in a highly dispersed state, while for catalysts containing high loading V2O5 equal to or above 25 wt % vanadium oxide was well crystallized due to the V2O5 loading exceeding the formation of monolayer on the surface of TiO2-ZrO2. The strong acid sites were formed through the bonding between dispersed V2O5 and TiO2-ZrO2. The larger the dispersed V2O5 amount, the higher both the acidity and catalytic activities for acid catalysis.

Comparative genetic analyses of Korean bat coronaviruses with SARS-CoV and the newly emerged SARS-CoV-2

  • Na, Eun-Jee;Lee, Sook-Young;Kim, Hak Jun;Oem, Jae-Ku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2권1호
    • /
    • pp.12.1-12.11
    • /
    • 2021
  • Background: Bats have been considered natural reservoirs for several pathogenic human coronaviruses (CoVs) in the last two decades. Recently, a bat CoV was detected in the Republic of Korea; its entire genome was sequenced and reported to be genetically similar to that of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V (SARS-CoV).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genetic sequences of SARS-CoV, SARS-CoV-2, and the two Korean bat CoV strains 16BO133 and B15-21, to estimate the likelihood of an interaction between the Korean bat CoVs and the human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2 (ACE2) receptor. Methods: The phylogenetic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maximum-likelihood (ML) method using MEGA 7 software. The Korean bat CoVs receptor binding domain (RBD) of the spike protein was analyzed by comparative homology modeling using the SWISS-MODEL server. The binding energies of the complexes were calculated using PRODIGY and MM/GBGA. Results: Phylogenetic analyses of the entire RNA-dependent RNA polymerase, spike regions, and the complete genome revealed that the Korean CoVs, along with SARS-CoV and SARS-CoV-2, belong to the subgenus Sarbecovirus, within BetaCoVs. However, the two Korean CoVs were distinct from SARS-CoV-2. Specifically, the spike gene of the Korean CoVs, which is involved in host infection, differed from that of SARS-CoV-2, showing only 66.8%-67.0% nucleotide homology and presented deletions within the RBD, particularly within regions critical for cross-species transmission and that mediate interaction with ACE2. Binding free energy calculation revealed that the binding affinity of Korean bat CoV RBD to hACE2 was drastically lower than that of SARS-CoV and SARS-CoV-2.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Korean bat CoVs are unlikely to bind to the human ACE2 receptor.

황이 포함된 중형기공성 탄소에 화학적으로 고정화된 H5PMo10V2O40 촉매 상에서 Benzyl Alcohol 산화반응 (Benzyl Alcohol Oxidation over H5PMo10V2O40 Catalyst Chemically Immobilized on Sulfur-containing Mesoporous Carbon)

  • 김민영;강태훈;최정호;송인규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4권3호
    • /
    • pp.419-424
    • /
    • 2016
  • 황이 포함된 중형기공성 탄소 담체(S-MC)에 화학적으로 고정화된 $H_5PMo_{10}V_2O_{40}$ ($PMo_{10}V_2$) 촉매를 제조하고, 이를 Benzyl alcohol 산화반응에 적용해보았다. 먼저 주형물질로 SBA-15, 탄소 전구체로 p-Toluenesulfonic acid를 이용하여 S-MC 지지체를 제조하였다. 이후, $PMo_{10}V_2$ 촉매가 화학적으로 고정화될 수 있는 위치를 제공하기 위해 S-MC 지지체의 표면이 양전하를 띠도록 개질시켰다. 전체적으로 음전하를 띠는 $[PMo_{10}V_2O4_{40}]^{5-}$를 이용함으로써 $PMo_{10}V_2$를 양이온을 띠는 S-MC 표면에 화학적으로 고정화하였다. 화학적 고정화를 통해 $PMo_{10}V_2$가 분자수준으로 균일하게 분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Benzyl alcohol의 기상 산화반응에서 $PMo_{10}V_2$/S-MC 촉매는 무담지 상태의 $PMo_{10}V_2$보다 높은 전화율 및 수율을 나타냈다. $PMo_{10}V_2$/S-MC 촉매의 반응 활성이 향상된 이유는 화학적 고정화를 통해 $PMo_{10}V_2$이 S-MC 지지체에 고르게 분산되었기 때문이다.

V5.2 프로토콜의 성능 및 구조분석 (The research of 5.2 protocol performance and structure)

  • 이성우;이병란;이종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3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226-230
    • /
    • 2003
  • V5.2는 ETSI/ITU-T표준으로써 로컬 교환기와 가입자망간의 개방형(Open) 인터페이스(SNI=Service Node Interface) 통합 액세스 네트웍 구조를 제공하는 프로토콜로 2Mbps 이하의 교환/전용회선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통신망에 필수적인 V5.2 인터페이스 시스템이 U에 시설되면서 V5.2 프로토콜의 성능이 기존의 로컬 교환기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모두 가능한지 검증하였다. V5.2 프로토콜 검증을 위하여 ETSI에서 발표한 권고 안을 기준으로 실험하였다. V5.2 표준 권고 안에서는 V5.2 프로토콜 Start-up과 각 서브 프로토콜 속성별로 구분하여 검증할 수 있는 세부 실험 절차가 제시되어 있다. 실험에서 V5.2 프로토콜 스택은 TDX-100교환기에 적합하도록 구성되었으며 여러가지 측면에서 시스템 구조의 안정성을 검증하고 실험이 진행되면서 발생한 문제점 및 대책을 기술하였다.

  • PDF

저관리 옥상녹화의 식재기반 시스템 차이에 따른 순비기나무의 활용성 평가 (Application Analysis of Vitex rotundifolia by Difference of the Shallow-Extensive Green Roof System)

  • 박준석;주진희;김원태;윤용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0-17
    • /
    • 2010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growth of Vitex rotundifolia as affected by the difference of soil depth and mixture ratio in a shallow-extensive green roof module system, and to identify the level of soil thickness and mixture ratio as suitable growing condition to achieve the desired plant growth in green roof. Different soil thickness levels were achieved under 7cm, 15cm and 25cm of shallow-extensive green roof module systems made by woody frame of $500{\times}500{\times}300mm$. Soil mixture ratio were eight types for perlite : peatmoss : leafmold = 7 : 1 : 2 (v/v/v, $P_7P_1L_2$), perlite : peatmoss : leafmold = 6 : 2 : 2 (v/v/v, $P_6P_2L_2$), perlite : peatmoss : leafmold = 5 : 3 : 2 (v/v/v, $P_5P_3L_2$), perlite : peatmoss : leafmold = 4 : 4 : 2 (v/v/v, $P_4P_4L_2$), only sand ($S_{10}$), sand : leafmold = 7 : 3 (v/v, $S_7L_3$), sand : leafmold = 5 : 5 (v/v, $S_5L_5$) and only leafmold ($L_{10}$). The growth response of Vitex rotundifolia had fine and sustain condition in $P_6P_2L_2$, $P_5P_3L_2$ and $P_4P_4L_2$., Especially, in case of $P_6P_2L_2$, growth response appeared to be good even in soil thickness 7cm, which showed low survival rates of Vitex rotundifolia in other soil mixtures. Tree height, root diameter, photosynthesis and chlorophyll contents tended to increase with increased soil thickness.

자동차 V2X 통신성능 평가를 위한 제어 보드 프로토타입 구현 (Prototype Implementation of Control Board for Vehicle V2X Communication Performance Evaluation)

  • 김유원;조병찬;정혁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8-34
    • /
    • 2023
  • The Republic of Korea aims to complete the commercialisation of Level 4+ cooperative autonomous driving in 2027. It also plans to include V2X OBU in the K-NCAP evaluation items. Therefore, communication performance safety evaluation criteria for V2X OBU need to be established, and an OBU with necessary functions is needed to develop V2X communication performance safety evaluation technology for vehicles. In this study, we implemented a V2X OBU control board prototype that can be used to develop a V2X communication performance safety evaluation technology for Level 4+ autonomous vehicles, and confirmed that the control board prototype works norm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