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tility tunnel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75초

지하공동구 터널내 풍속 변화에 따른 열특성에 관한 수치 해석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f the effects of the ventilation velocity on the thermal characteristics in underground utility tunnel)

  • 유지오;김진수;라광훈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29-3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3면이 지중과 접하는 형태의 전력구에서 온도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환기시스템 설계에 필요한 벽면에서 열전달계수 등 열설계 자료를 수치해석적인 방법으로 검토하였다. 수치해석 모델은 터널 벽체에서의 열전달을 고려하기 위해서 전력구의 터널의 라이닝을 포함하는 것으로 모델링하였으며, 전력구에 설치되는 전력케이블의 발열량(117~468 kW/km), 전력구내 풍속(0.5~4.0 m/s)에 따른 터널내 공기온도 및 벽체온도, 벽체를 통한 발열량을 CFD시뮬레이션에 의해서 구하였다. 또한 해석결과로부터 벽체열전달계수를 계산하고 환기구간의 터널내 공기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한계거리를 검토하였다. 벽체표면에서 대류열전달계수는 입구영역에서는 불안정한 변화를 보이나 약 100 m정도의 이후에는 일정한 값에 수렴한다. 터널벽체열전달계수는 풍속에 따라 $3.1{\sim}9.16W/m^2^{\circ}C$정도이며, 이를 무차원식으로 표현하면 $Nu=1.081Re^{0.4927}({\mu}/{\mu}_w)^{0.14}$이 된다. 열저항 해석기법에 의해서 터널내 온도 예측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약 3%이내의 편차로 예측이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해외 공동구의 방재성능분석을 통한 국내 공동구에 적합한 방재대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re Safety Measure for Korean Utility Tunnels Based on Analysis of Fire Safety Performance for Utility Tunnel in Advanced Countries)

  • 박형주;김상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71-77
    • /
    • 2001
  • 현재 국가기간망의 주요 핵심인프라시설로서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지하공동구의 화재발생에 따른 피해 및 그 영향이 심각함에 따라 국내외의 공동구 화재의 유형을 분석 후에 선진국의 공동구의 화재안전을 위한 성능기준을 국내의 성능과 비교하여 문제점을 발췌하였다. 발췌한 문제점에 나타난 핵심요소를 선진국과 비교하여 국내 공동구에 시급히 필요한 구비성능을 제시하되 국내의 공동구 관리운영 및 공동구에 수용되는 시설물의 설치기준에 적합한 방안을 연구하여 제시하였다.

  • PDF

도심지 유형별 공동구 설치 타당성 평가시스템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A fundament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easibility assessment system for utility tunnel by urban patterns)

  • 이성원;심영종;나귀태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11-27
    • /
    • 2017
  • 서울시 등의 국내 주요 도심은 지역적 팽창에 따라 도로망 체계가 급격하게 발전하였고 도시민이 안락하고 풍요로운 생활을 영위하도록 전력, 통신, 상수도, 하수도, 냉 난방관로, 가스관 등이 무분별하게 개별 매설되었으며 비효율적으로 개별 관리되고 있다. 국토계획법에서는 Life-Line을 공동 수용함으로써 도로의 반복 굴착을 줄이고 도시 미관의 개선, 포장 내구성 향상에 따른 주행성능 향상 그리고 원활한 교통소통 등을 기대하는 도시계획 시설물로 공동구를 정의하고 있다. 최근 기존 도심지의 재정비 측면에서 쾌적한 도시공간 조성, 지하공간 이용 효율과 도로관리 효율 향상, 지진 및 도로함몰에 대한 재난안전성, 스마트 그리드와 전기자동차 보급과 같은 미래 생활환경 변화에 대한 신속한 대응 등을 기대할 수 있는 기존 도심지의 공동구 설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에 설치된 모든 공동구는 신도시 개발에 따라 계획된 Life-Line을 모두 수용하도록 설치한 개착식 공동구 형태이다. 기존 도심지에서는 현재 가동중인 모든 Life-line을 모두 수용할 수 없으므로 도심지 유형별 공동구 설치 타당성 평가시스템을 활용한 설계용량 최적화 등의 새로운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신도시 공동구를 탈피하고 기존 도심지를 대상으로 평가지표에 의한 정량적 평가모델을 제시 하는 등 유형별 타당성 평가시스템을 세분화하며 정량적 평가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개발해 궁극적으로 도심지 공동구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선구조와 지하 투과 레이더를 이용한 지하공동구 위치 해석 (The Analysis of Underground Utility Tunnel Positions using Lineament and GPR)

  • 장호식;서동주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42-150
    • /
    • 2006
  • 최근 토목시공 현장에서는 사면안정 및 보강공사를 하기 위한 앵커 및 굴착작업 도중에 일부 구간에서 지하 공동구가 발견되어 현장애로 사항이 발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문제점을 사전에 미리 파악하고자 비파괴 물리검사인 지하 투과 레이다 탐사방법을 적용하여 지하공동구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또한 입지적인 환경인 지질상태를 이해하기 위해 선구조 분석을 병행하였다. 먼저 입지분석에 의하여 연구 대상 지역의 지질상태를 파악할 수 있었고, 이를 기초로 하여 지하 투과 레이다 탐사 결과, 소규모 및 대규모의 지하 공동구 및 이상대의 위치와 규모를 파악할 수 있었다. 향후, 이와 같은 방법을 적용하여 시공현장에서 조사 및 설계에 대한 효율적인 시공방법과 유지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접근 가능한 방법이라 판단된다.

  • PDF

지하공동구의 체계적인 통제 및 이력관리를 위한 자동개폐시스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utomatic Switch Control System for Systematic Control and History Management of Underground Utility Tunnel Work)

  • 오암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443-1448
    • /
    • 2015
  • 현재 대부분의 지하공동구 출입관리시스템은 중앙시스템과 자동개폐기 간 네트워크가 유선 상으로 구축되어 있으며, 네트워크 인프라의 부재 그리고 리더기의 야외 노출 등 지하공동구의 특수한 환경에서의 문제점들이 노출되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하공동구의 출입관리에 대한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하공동구의 특수 환경에 적합하며, 체계적인 출입 및 점검 이력의 관리가 가능한 스마트 폰 인증키 기반 지하공동구 출입관리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출입관리시스템은 현장 네트워크의 별도 통신망 구축 없이 스마트폰에서 지원하는 블루투스를 사용하여 출입이 가능하며 아울러, 모든 개폐기의 제어 정보를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서버로 전송하여 서버에서의 체계적인 통제 및 이력관리가 가능하다.

지하 매설 공동구 내부 가스 폭발에 대한 위험성 평가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for Gas-explosion at Buried Common Utility Tunnel)

  • 장유리;정승호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89-95
    • /
    • 2016
  • 가스 배관을 공동구 내에 수용하는 것은 단순 매설하는 것보다 부식의 위험이 적고, 외부인의 출입이나 굴착공사 등으로부터 오는 물리적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편의성이 크다. 그러나 밀폐된 공간이라는 특성상 개방된 공간에서의 폭발보다 폭발 과압에 의한 피해가 크다. 그럼에도 공동구에 대한 연구는 화재 사고에 국한되어 진행되었고, 폭발로 인한 위험성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지하 공동구 내부의 가스배관으로부터 누출된 메탄가스가 원인모를 점화원에 의해 폭발을 일으켰을 경우를 가정하여 피해결과 관점에서 공동구 내부의 폭발이 상부 시설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안전설비의 작동상태에 따른 2가지의 시나리오를 선정하여 CFD tool인 FLACS를 사용하여 영향성 평가를 진행한 결과 대부분의 건축물을 전파 시킬 수 있을 정도의 폭발 과압이 예측되었다. 이 결과를 활용하여서 사고 발생 빈도를 감소시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추가 대책을 제시하였다.

성능중심의 공동구 평가 기준 개발 (Developments of performance-based evaluation criteria of utility tunnel)

  • 변요셉;성주현;조계춘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715-724
    • /
    • 2022
  • 최근 기반시설관리법('20.10) 시행으로 전기, 통신, 상수도, 난방 시설과 같은 필수적인 라이프라인(Life-Line)을 공동으로 수용하는 공동구의 중요성이 높아진 실정이다. 현행 공동구 유지관리 체계는 사고예방적인 안전성 위주의 평가방식으로 관리되고 있어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실시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동구 시설물에 대한 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제안하기 위해 델파이 기법을 통해 성능평가 항목이 도출되었고, 계층화 분석법(AHP)기법을 통해 각 항목들에 대한 가중치가 산정되었다. 향후, 현장적용을 통해 수정 및 보완을 한다면 보다 합리적인 공동구 성능평가 기준이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응답변위법과 응답이력해석법을 이용한 지중 공동구의 내진성능 평가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Underground Utility Tunnel by Response Displacement Method and Response History Analysis)

  • 권기용;이진선;김용규;윤준웅;정순용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6권11호
    • /
    • pp.119-133
    • /
    • 2020
  • 지중공동구는 대표적인 개착식 지중구조물로, 지진시 지반의 변위로 인한 지진력이 작용하는 구조물이다. 시설안전기술공단에서는 2020년에 기존 시설물(공동구) 내진성능 평가요령을 제정하여 배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내진성능평가요령에서 제시하고 있는 두 가지 성능평가방법인 응답변위법과 응답이력해석기법을 소개하고, 대표 공동구에 대해서 두 가지 내진성능평가방법을 적용하여 그 결과를 비교·검토 하였다. 평가에 사용된 공동구는 1988년 건설되어 내진설계가 적용되지 않은 공동구 이다. 응답변위법은 기반면 속도응답스펙트럼으로부터 단일코사인과 이중코사인 방법을 적용하여 내진성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응답이력해석은 지반과 구조재료 모두 비선형 거동을 나타낼 수 있는 유한차분해석프로그램을 사용하여 2차원 평면변형율 해석을 시행하였다. 붕괴방지 수준의 지진에 대한 성능평가 결과 응답변위법은 구조물이 탄성범위내 거동하는 것으로 평가되는 반면, 응답이력해석은 구조물 일부에서 소성힌지가 발생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지하공동구의 CCTV 영상 기반 AI 연기 감지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I Detection Model based on CCTV Image for Underground Utility Tunnel)

  • 김정수;박상미;홍창희;박승화;이재욱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364-373
    • /
    • 2022
  • 연구목적: 본 논문은 지하공동구의 초기 화재 감지를 위해 CCTV를 활용한 AI 연기 객체 감지 모델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비정형성이 높은 연기 객체의 감지 성능을 제고하기 위해 화재 감지에 특화된 딥러닝 객체 감지 모델을 지하공동구 연기 감지에 특화되도록 학습시켰고, 학습데이터셋의 정제 및 학습 중 Gradient explosion 완화 등 감지 성능 개선을 위한 방법들을 적용해 모델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결과는 제안된 방법을 통해 모델 성능을 향상시켰고 mAP 등의 지표를 평가를 통해 개발 모델이 우수한 성능을 보유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최종 모델은 지하공동구 환경의 연기에 대해 미탐이 낮은 반면 오탐이 다수 발견되는 성능을 보였다. 결론: 본 논문의 모델은 지하공동구 관리시스템과 연계를 통해 보완함으로써 지하공동구의 연기 객체 감지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