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ing SNS

검색결과 1,085건 처리시간 0.033초

패션을 콘텐츠로 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유형화와 네트워크 형성 방법을 활용한 패션디자인프로세스 (Stereotyping of Social Network Service with Contents of Fashion and Fashion Design Process Using a Method to Form Network)

  • 임민정;김영인
    • 복식
    • /
    • 제64권4호
    • /
    • pp.21-3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effective fashion design process using social network services(SNS) as a method to develop designs. Fashion design process was systemized through literatur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 and element and method of network formation were investigated, and then design processes using SNS were suggested through survey study. This was done by applying formation of network and its method in SNS with contents of fashion to stage of process to develop fashion desig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ashion design process using SNS is composed of 5 stages. Second, SNS types with contents of fashion were classified to five types: blog, community, connection of fashion web service and SNS, fashion SNS, and fashion SNS game. Among them, types where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and product distribution was done by formation of network are connected type of fashion web service and SNS, fashion SNS type. Fashion design development can be done by compiling, having contests, and cooperative work. A method that can be used for making assessments and decision is voting and predicting the market. Third, Fashion design process using SNS is composed of the stages such as planning, compiling, analysis, decision, implementation, and formation of network. It was analyzed that by connecting stages of collection and evaluation of information through participation of users, new contents were produced and there was a structure that was cycled continuously.

SNS 게시물에 대한 공공기록화 수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cceptance of Public Recording for SNS Post)

  • 윤승욱;장준갑;김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9호
    • /
    • pp.1-12
    • /
    • 2019
  • 본 연구는 SNS 게시물 기록화 수용의도에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였으며, SPSS 21.0 프로그램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경로분석 등을 통해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SNS 게시물 기록화에 대한 개인정보 유출 위험은 SNS 게시물 기록화에 대한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NS 게시물 기록화에 대한 보안은 SNS 게시물 기록화에 대한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SNS 게시물 기록화에 대한 프라이버시 염려는 SNS 게시물 기록화에 대한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SNS 게시물 기록화에 대한 태도는 SNS 게시물 기록화 수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SNS 게시물 기록화의 경우에 장기적인 관점에서 SNS 사용자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야 함을 시사한다.

Effects of SNS Characteristics on SNS Engagement and Consumer Brand Engagement

  • CHO, Byung-Kwan;SHIN, Hyang-Sook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11권2호
    • /
    • pp.23-39
    • /
    • 2020
  • Purpose: Social Network Sites(SNS) have been grown up as a public communication channel consumer frequently participate in. Most of food service brands are utilizing social media for advertising recently. As a result of SNS marketing, food service brands anticipate positive outputs from SNS engagement and consumer brand engagement so that we need to verify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NS characteristics, SNS engagement and consumer brand engagemen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identifies that SNS characteristics have effects on SNS engagement and examines relationship between SNS engagement and behavioral engagement. We conceptualize SNS characteristics as information quality, hedonic level and interaction. Furthermore, SNS engagement is composed of SNS participation, positive word of mouth(WOM). In order to verify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were developed. All constructs were measured with multiple items developed and tested in the previous studies. Sample data were collected from 433 online survey panels and analyzed by using SmartPLS 3.2.9. Result: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nformation quality is positively related with SNS participation. Hedonic level and interaction have impacts on SNS participation and positive WOM respectively. Second, SNS participation has positive effects on positive WOM. Third, both SNS participation and WOM influence behavioral engagement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implications demonstrate that SNS characteristics such as information quality and hedonic level and interaction exert effects for consumer to participate in SNS brand page. Meanwhile, hedonic level and interaction influence on positive WOM but information quality doesn't. SNS participation and positive WOM affect consumer to engage in specific brand behaviorally as well. Therefore, food service brand marketer is required to manage SNS information quality and hedonic level and interaction among members to encourage SNS participation and positive WOM. As SNS participation and positive WOM increases behavioral engagement of consumer, marketer needs to incentivize SNS participation and look after situation of positive WOM and respond swiftly.

공연장르별 SNS 이용특성에 따른 마케팅전략 연구 (A Study on Marketing Strategies based on SNS Usage Characteristics by Performing Genre)

  • 구은자;임재희;김춘근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281-290
    • /
    • 2017
  • 본 연구는 SNS를 이용하는 관람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SNS이용특성(SNS를 이용한 기간, SNS 평균접속 횟수, SNS 접속 시 평균 사용시간, SNS 활동유형, SNS 이용동기, 많이 사용하는 SNS 사이트, 연평균 총 공연 관람횟수, 공연관련 정보획득경로)이 선호 장르별(대중가요/콘서트, 뮤지컬, 연극, 무용/발레)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검정하고, SNS를 활용한 마케팅 전략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 번째 선호하는 공연 장르에 따라 관람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차이를 검정한 결과 성별, 연령, 결혼 여부, 가족형태, 학력수준, 근무직종, 월평균 소득수준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두번째. 선호하는 공연 장르에 따라 SNS 이용특성은 이용기간, 평균접속시간, 활동유형, 이용동기, 정보획득경로에 있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장르에 따라 공연관람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SNS이용 특성이 보다 세부적으로 구분될 필요가 있으며, 세분화된 타겟에 따라 SNS를 통하여 공연관련 정보나 콘텐츠 특성, 소비자들의 패턴을 이용한 참여 전략 등이 구체적으로 전개되어야 함을 다시 한번 확인 할 수 있었다.

SNS의 이용 동기에 관한 연구: 개방형 SNS와 폐쇄형 SNS의 비교 (The usage motivation of SNS: A Comparison of Open type and Closed type SNS)

  • 전병호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81-192
    • /
    • 2015
  • A new communication revolution such as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has been transforming the way of interaction between people in both of individual level and organizational level. Recently many people have switched to closed type SNS such as Naver Band and Kakao group due to the several reas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ag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SNS based on use and gratifications perspectives. Based on prior studies on use and gratifications of Internet-related media and SNS, information motivation, relationship motivation, pleasure/entertainment motivation, self-expression motivation, work motivation were identified as usage motivation of SNS. This empirical study explores how these motivations vary between open type SNS(facebook and twitter) and closed type SNS(band and kakao group). This study contributes to provide the base of activation strategie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companies using SNS as a marketing tool.

직장인의 SNS 사용 분석을 통한 SNS 기획 (SNS planning through analysis of office workers SNS use)

  • 김은주;홍순근;황찬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1359-1364
    • /
    • 2013
  • PC기반의 인터넷에서 모바일로 플랫폼의 변화가 일어난 후 SNS가 대면 교류를 대체하는 새로운 대화 매체로 자리를 잡았다. 사용자들은 이미 SNS를 생필품으로 인식하기 시작했으며 나아가 SNS시장은 세분화 되고 있다. 즉, 특정 대상과 컨텐츠에 집중한 수직적(Vertical) SNS의 시대로 접어들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SNS기획에서 명확한 사용자 분석이 필요하며 이러한 시점에서 가장 구매력이 있는 직장인들이 SNS사용 이유를 살펴보는 것은 SNS사업자 입장에서는 의미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NS사용과 자기표현 및 사회적 지지와 직장인의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직장인의 SNS사용 이유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SNS 사용은 자기표현 및 사회적 지지와 관련 있었다. SNS에서의 자기표현은 직장인의 특성상 스트레스와 관련이 없었으나 SNS에서의 사회적 지지는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SOCKET기반 모바일SNS 연동시스템 설계 및 구현 (SOCKET-based mobile SNS interlocking System Design and Implementation)

  • 고완기;고석용;김제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8호
    • /
    • pp.367-373
    • /
    • 2013
  • 모바일SNS 소통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최근, 모바일 환경에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서버와 통신을 한다. TALK나 PUSH는 메시지나 데이터 소켓을 거쳐 운영체제 상에 존재하는 TCP/IP 소프트웨어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듯 SNS와 모바일 융합은 필연적이며 SNS의 플랫폼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를 구축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켓방식을 이용한 위치기반 SNS을 연동하여 클라이언트간의 TALK 및 PUSH 서비스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SNS의 이용동기가 SNS의 사회적 자본과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Empirical Study of the Influences of Motives for Using SNS on Relational Capital of SNS and Continuous Usage of SNS)

  • 오은해;이정화;이정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38-149
    • /
    • 2019
  •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이용 충족이론에 근거하여 SNS의 주요한 이용 동기를 사회형, 정보형, 유희형으로 구분하고, 사회적 관계 자본 이론의 개념을 적용하여 SNS의 이용동기가 SNS에서의 관계 연결과 관계 결속 그리고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정하였다. 연구 결과 SNS의 사회형, 정보형, 유희형 동기 모두 SNS의 관계 연결과 관계 결속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NS의 관계 연결과 관계 결속 역시 지속적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가설은 모두 채택되었다. SNS의 사회형, 정보형, 유희형 동기 모두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고 관계를 맺고, 흥미 있는 분야가 비슷한 타 이용자들과 새로운 그룹을 생성하거나, 관계를 확대하는 중요한 요인임이 입증되었다. 또한, SNS를 통해 상호간 강한 유대감을 형성하는 관계를 형성하고 필요시 정서적 지지를 받을 수 있는 가치 있는 관계를 형성해 나가기 위해 그리고, SNS를 하는 과정에서 다른 사용자들과의 새로운 관계 형성을 통해 자신의 네트워크를 확장시킴으로써 SNS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SNS의 관계적 혜택이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Relationship Benefits of SNS on Brand Attitude)

  • 이상원;백승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년도 제48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1권2호
    • /
    • pp.321-323
    • /
    • 2013
  • Supporting communications among users, Social Network has encouraged various information flows through relationships among them. This paper studies on mentality or attitude of Social Network Services (SNS for short) users, on the basis of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for short) and then proposes so-called TAMS,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r Social Network Services. SNS users make full use of SNS as channels in order to create, expand, and obtain some information related to personal concerns. We will research on how the benefits that users get by using SNS exert influence on user-perceived usability. The SNS-using benefits focus on relationship benefits that are formed by interactions among users. Provided that perceived usability affects mental or informational benefits according to involvement of SNS users, we will check how perceived usability or ease of use is connected to brand attitude.

  • PDF

대학생들의 SNS중독경향성과 대인관계 만족도의 상관관계 (Relationship between SNS addiction proneness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 김소연;박미지;박부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454-46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SNS중독경향성과 대인관계 만족도를 파악하고, 두 변수간의 상간관계를 파악하여, 대학생의 대인관계 향상 및 SNS 중독 예방을 위한 중재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D시와 K 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316명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6월 30일부터 7월 30일까지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온라인 설문을 이용하여 자가 보고식으로 수집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SNS중독경향성과 대인관계만족도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57, p<.01)를 보여주어 SNS중독경향성이 높을수록 대인관계 만족도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성별(t=.05, p=.963), SNS인맥수(t=.66, p=.513), SNS에서만 유지하는 인맥정도(t=-1.24, p=.216)에 따른 SNS중독경향성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SNS사용목적 중 정보수집을 위해 SNS이용하는 경우 대인관계 만족도가 더 높았지만(t=3.02, p=.030), SNS사용목적에 따른 SNS중독경향성의 유이한 차이는 없었다(t=0.39, p=.759). 따라서 대학생의 대인관계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 시 본 연구에서 규명된 자료를 기초로 하여 대학생의 SNS중독을 예방하고 대인관계를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