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ing SNS

검색결과 1,092건 처리시간 0.032초

청소년기의 SNS사용시간과 수면패턴이 폭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NS using time and sleep pattern on Adolescent's violence)

  • 최은영;최훈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89-190
    • /
    • 2017
  • 과도한 SNS활동과 스마트폰 사용은 중독과 함께 수면장애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침대 이동 후 잠들기 전까지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수면 부족, 장애 현상이 나타났으며, 이는 청소년 언어, 행동 폭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관광지 스토리텔링이 SNS 관광 가치와 여행사 관계 몰입에 미치는 연구: SNS 신뢰의 조절효과 (A Study of Tourism Destination Storytelling on the Tourism Value and Relationship Immersion of Travel Agency: Moderating Effect of SNS Trust)

  • 김대석;이은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503-517
    • /
    • 2021
  • 본 연구는 관광산업에서 중요하게 논의되고 있는 관광지 스토리텔링(교육성, 흥미성, 감성, 고유성)과 SNS 관광 가치(기능적, 사회적), 여행사 관계 몰입, SNS 신뢰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연구 대상은 SNS를 활용하여 숙박 관광 경험이 있는 390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검증하였으며,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SPSS 25.0과 Smart PLS 3.0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지 스토리텔링의 교육성, 흥미성 요인은 기능적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감성과 고유성 요인은 영향 관계가 성립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육성, 흥미성, 고유성 요인은 사회적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감성 요인은 영향 관계가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NS 관광 가치의 하위요인 중 기능적 가치는 여행사 관계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 관계가 성립되었으나 사회적 가치는 영향 관계가 성립되지 않았다. 셋째, SNS 관광 가치와 여행사 관계 몰입 간의 관계에서 SNS 신뢰는 조절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와 시사점을 통해 관광산업 실무자에게 종합적인 제언을 제시하였다.

SNS(social network service)활용에 대한 세대별 차이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Young and Old Generation of SNS Behavior)

  • 황윤용;이기상;최수아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63-77
    • /
    • 2015
  • SNS(social network service) 이용환경의 변화 및 증가에 따라 소비자들은 SNS를 일상의 일부로 받아들이고 있으며, 인터넷을 기반으로 상호소통하는 활동과 영향력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SNS를 통해서 형성될 수 있는 사회자본과 소비자들의 정서적 웰빙 수준의 차이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SNS 이용 이유 및 활용도는 소비자들마다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세대별 차이를 살펴보았다. 즉, SNS를 통해 나타날 수 있는 사회적 자본과 정서적 웰빙의 형태는 세대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SNS사용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83부의 표본을 활용하여 세대 간 사회자본 및 정서적웰빙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SNS를 통해 형성된 사회적 자본의 크기 및 유형에 따른 효과는 세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적 자본의 크기는 고령세대보다 젊은세대가 크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자본의 유형 중 연결적(bridging) 사회자본도 고령세대보다 젊은세대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전반적인 정서적 웰빙은 세대에 따라 차이가 없었지만, 정서적 웰빙의 유형 중 부정적 웰빙은 고령세대가 젊은세대 보다 더욱 민감하게 나타나 세대별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SNS관리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세대별 세분화된 SNS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SNS 활용 요인이 학습자의 태도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대학 수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Affecting Factors of SNS on Learner's Attitude and Performance: Focused on University Class)

  • 전병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27-36
    • /
    • 2017
  • SNS는 의사소통의 도구 뿐 아니라 대학 교육에까지 스며들고 있으며, SNS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 다양한 교수학습 모형과 방법에 대한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대학 수업에서의 SNS 활용이 학습자의 태도, 지속적 이용 의도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기존 연구를 토대로 매체활용 효능감, 교육적 기대가치, 주관적 규범, 습관, 즐거움을 학습자의 SNS 활용 요인으로 도출하였다. 수도권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Smart PLS를 이용한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에 따르면 교육적 기대가치, 주관적 규범, 즐거움은 SNS 활용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매체활용 효능감과 습관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태도는 향후 지속적인 이용 의도와 학습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수업에서의 SNS의 활용은 학습자의 긍정적 태도를 야기하고 나아가 성적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대학 교육 환경에서 SNS 활용에 대한 지침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학생의 SNS 이용시간과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Use Time and Acculturation Stress of International Students)

  • 딩메이쥔;남인용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201-208
    • /
    • 2023
  • 본 연구는 중국 유학생을 대상으로 SNS 이용시간과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탐색하기 위한 실증연구이다. 온라인 전문 설문조사 업체인 '문지위안썽(問卷星)'에 설문을 통하여 2022년 4월 1일에서 4월 12일까지 총 239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6.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및 Baron과 Kenny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SNS 이용시간은 사회적 지지와 지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SNS 이용시간,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SNS 이용시간은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를 통한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연구결과의 시사점으로, SNS를 이용한 유학생의 문화적응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용이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SNS와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대한 후속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SNS에서의 사회적 자본이 외식상품 구매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 외식상품 신뢰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on Food Product Purchase Intention and SNS-WOM - Mediating Role of Trust -)

  • 한지수;이형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54-268
    • /
    • 2016
  • 본 연구는 SNS 상에서 사회적 자본이 외식 상품 구매 시 구매의도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사회적 자본과 구매의도 및 구전의도 간에 외식 상품에 대한 신뢰가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실증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6년 2월 15일부터 2월 29일까지 실시하였으며,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해 SNS를 통해 외식상품을 구매해 본 경험이 있는 3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유효한 자료 291부를 최종자료로 분석에 사용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과 계층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SNS 상에서의 사회적 자본 중 연결적 자본이 결속적 자본에 비해 외식상품 신뢰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NS 상에서의 외식상품 신뢰는 구매의도와 구전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SNS 상에서의 외식상품 신뢰는 연결적 사회자본과 구매의도 및 구전의도 간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션 브랜드 이미지 기반 SNS가 플로우,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 감정의 매개변수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Image Based Fashion Brands' SNS Toward Flow and Brand Attitude : Focus on Pleasure Emotion as Mediator)

  • 고전미;신지예;고은주;채희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908-920
    • /
    • 2014
  • As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users' needs and wants have become more diverse, SNS is designed to provide various services and functions. As a result, an image based SNS with the purpose of sharing various interests has emerged. More and more fashion companies are using image based SNS to use it as a medium to better communicate with their customer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usage motivation of image based SNS with the emotion of pleasure as the mediator and its impact towards flow and brand attitude.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and to test the proposed hypotheses, we conducted a pilot test on 8 image based SNS heavy users, and followed through with 215 questionnaires which were collected via online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Each usage motivation of image based SNS had significant effect on each pleasure. The visual impact had a positive effect on sensory pleasure and the common interest significantly influenced on user's affective preference. Curating, simplicity and interconnecting had a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pleasure. Affective and cognitive pleasures except sensory pleasure positively impacted the user on flow. The cognitive pleasur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brand attitude. Lastly, flow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brand attitude. This study is the foundation of the image based SNS academically in the new media research. Furthermore, it suggests managerial implications of a company to provide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to make the best use of image based SNS.

An Empirical Study of Knowledge Sharing Behavior of the SNS: A Case Study of "Sina Weibo"

  • Lu, Jinku;Kim, Jongki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6권3호
    • /
    • pp.367-384
    • /
    • 2016
  •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 have become a significant platform for Internet users to obtain knowledge and information. Users can share messages mutually via this platform. This kind of sharing enables users to exchange and gain useful information. However, in recent years, the crisis of stickiness has appeared in SNS, calling attention to the social network industry. Relevant professionals explain that the interest of users in sharing knowledge on SNS websites and applications may gradually decrease, eventually leading to users giving it because the platforms utilize simple and uninteresting methods to attract active participation from users. However, factors affecting the knowledge sharing on SNS websites and applications should be identified clearly through studies. Sina Weibo is one of the largest SNS platforms in the world, and studies on the factors affecting knowledge sharing of users could be valuable in addressing this issue. This paper establishes the theoretical analysis model of knowledge sharing in SNS sites and applications, analyzes the factors affecting knowledge sharing on these sites, and proposes the corresponding strategies to address the issues. Using questionnaire surveys on Sina Weibo users, this article will discuss the factors affecting knowledge sharing, and analyze these factors on SNS as well as improve the stickiness of users to achieve the aim of SNS platforms enabling the expansion of the range of users. The study will discuss theoretical foundations and the hypotheses that arise. The method of study will also be discussed. The study concludes with theoretical implications, pract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opportun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aid researchers in understanding the underlying reasons for social network activities as well as for SNS developers in improving SNS services.

모바일 SNS 지속 사용의도에 있어 지각된 가치의 역할 (The Role of Perceived Value on the Continuance Intention in Mobile Social Network Service)

  • 김지윤;주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0호
    • /
    • pp.211-222
    • /
    • 2014
  • 본 연구는 모바일 SNS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매개역할을 검증함으로써 지각된 가치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았다. 모바일 SNS 지속사용의도에 주요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사회적 영향,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개인사생활 우려, 지각된 사용노력을 제시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지각된 가치에 영향을 미치고 궁극적으로 지속적인 SNS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침을 검증하였다. PLS분석 결과 지각된 혜택으로 여겨지는 모바일 SNS의 지각된 유용성과 사회적 영향, 그리고 지각된 개인사생활 우려, 이용에 대한 노력 및 수고를 의미하는 지각된 비용의 네 가지 선행 변수들이 지각된 가치를 통해 SNS지속사용 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에서 간과되었던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를 중심으로 하여 소비자의 인지적 측면에 중점을 두고 소비자 입장에서의 신기술에 대한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탐색적으로 제시함으로써 기업의 관리자들에게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시사점을 지닌다.

SNS상의 스포츠브랜드 광고속성, 광고태도, 브랜드이미지, 구매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port Brand's Advertisement Attributes, Ad Attitudes, Brand Images, and Purchase Intentions on Social Networking Site(SNS))

  • 김세윤;노용구;이경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345-35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SNS상의 스포츠브랜드의 광고속성, 광고태도, 브랜드이미지 및 구매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 얻어진 유효표본 250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광고속성 중 오락성, 정보성, 그리고 신뢰성은 SNS 이용자의 스포츠브랜드 광고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불편성은 광고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속성에 의해 형성된 광고 태도는 스포츠브랜드의 이미지와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이미지는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SNS를 이용하여 스포츠브랜드를 홍보하는 회사들의 표적집단 가운데 하나인 체육전공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스포츠브랜드의 SNS 광고효과를 극대화하고 SNS 광고를 통해 체육전공 대학생 소비자의 직접적인 구매행동을 끌어내는데 필요한 주요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해 규명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