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er privacy

검색결과 721건 처리시간 0.043초

A Deep Learning Approach for Identifying User Interest from Targeted Advertising

  • Kim, Wonkyung;Lee, Kukheon;Lee, Sangjin;Jeong, Doowon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8권2호
    • /
    • pp.245-257
    • /
    • 2022
  • In the Internet of Things (IoT) era, the types of devices used by one user are becoming more diverse and the number of devices is also increasing. However, a forensic investigator is restricted to exploit or collect all the user's devices; there are legal issues (e.g., privacy, jurisdiction) and technical issues (e.g., computing resources, the increase in storage capacity). Therefore, in the digital forensics field, it has been a challenge to acquire information that remains on the devices that could not be collected, by analyzing the seized devices. In this study, we focus on the fact that multiple devices share data through account synchronization of the online platform. We propose a novel way of identifying the user's interest through analyzing the remnants of targeted advertising which is provided based on the visited websites or search terms of logged-in users. We introduce a detailed methodology to pick out the targeted advertising from cache data and infer the user's interest using deep learning. In this process, an improved learning model consider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advertisement is implemented. The experimental result demonstrates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effectively identify the user interest even though only one device is examined.

인터넷 Identity 관리 시스템 환경에서 XACML을 이용한 프라이버시 컨트롤러 (Privacy Controller using XACML for Internet Identity Management System)

  • 노종혁;진승헌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7B호
    • /
    • pp.438-447
    • /
    • 2007
  • 인터넷 환경에서 유통되는 사용자 정보는 실소유자가 원하는 데로 제어되어야만 한다.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정보 유통 방식을 표현할 수 있는 프라이버시 정책이 필요하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정책을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요구된다. 또한 정보 유통이 발생할 때 사용자의 정책에 위배되는지 판단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Identity 관리 시스템 환경에서 운영되는 프라이버시 컨트롤러 시스템 모델을 제안하고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및 정책 설정 과정을 제안한다. 정책 구현을 위한 언어로는 OASIS의 XACML을 수정하여 적용하였고, 사용자 정책 외에 도메인 정책, 기본 정보 제공 정책, 정책 충돌 해결 정책을 제안한다.

Machine Learning-Based Reversible Chaotic Masking Method for User Privacy Protection in CCTV Environment

  • Jimin Ha;Jungho Kang;Jong Hyuk Park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9권6호
    • /
    • pp.767-777
    • /
    • 2023
  • In modern society, user privacy is emerging as an important issue as 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ncrease rapidly in various public and private spaces. If CCTV cameras monitor sensitive areas or personal spaces, they can infringe on personal privacy. Someone's behavior patterns, sensitive information, residence, etc. can be exposed, and if the image data collected from CCTV is not properly protected, there can be a risk of data leakage by hackers or illegal accessors. This paper presents an innovative approach to "machine learning based reversible chaotic masking method for user privacy protection in CCTV environment." The proposed method was developed to protect an individual's identity within CCTV images while maintaining the usefulness of the data for surveillance and analysis purposes. This method utilizes a two-step process for user privacy. First, machine learning models are trained to accurately detect and locate human subjects within the CCTV frame. This model is designed to identify individuals accurately and robustly by leveraging state-of-the-art object detection techniques. When an individual is detected, reversible chaos masking technology is applied. This masking technique uses chaos maps to create complex patterns to hide individual facial features and identifiable characteristics. Above all, the generated mask can be reversibly applied and removed, allowing authorized users to access the original unmasking image.

O2O 서비스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중국 스마트 오더 서비스를 중심으로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Consumer's Word-of-Mouth Intention of O2O service: Focused on Chinese Smart Order Service)

  • ;유재현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2권2호
    • /
    • pp.1-24
    • /
    • 2023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system quality, privacy concerns, and usefulness impact user satisfac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towards smart order services among Chinese consumers. The study also seeks to provide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on Chinese consumers through an online survey on 274 users of smart order service in China. To analyze the data,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6.0 and AMOS 26.0 statistical program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for hypothesis testing. Finding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ystem qualit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usefulness and user satisfaction. Second, privacy concern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user satisfaction, but not on usefulness. Third, user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s' word-of-mouth intention of the smart order service. Finally, mediating effects were found between system quality and user satisfaction through usefulness, as well as between system quality, perceived privacy concern, and usefulness through user satisfaction.

Development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Model using a Mobile Agent

  • Bae, Seong-Hee;Kim, Jae-Joon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6권2호
    • /
    • pp.185-196
    • /
    • 2010
  • This paper proposes a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model that allows a user to regulate his or her own personal information and privacy protection policies to receive services provided by a service provider without having to reveal personal information in a way that the user is opposed to. When the user needs to receive a service that requires personal information, the user will only reveal personal information that they find acceptable and for uses that they agree with. Users receive desired services from the service provider only when there is agreement between the user's and the service provider's security policies. Moreover, the proposed model utilizes a mobile agent that is transmitted from the user's personal space, providing the user with complete control over their privacy protection. In addition, the mobile agent is itself a self-destructing program that eliminates the possibility of personal information being leaked. The mobile agent described in this paper allows users to truly control access to their personal information.

추적이 가능한 스마트카드 사용자 인증 기법 (Anonymity User Authentication Scheme with Smart Cards preserving Traceability)

  • 김세일;천지영;이동훈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31-39
    • /
    • 2008
  • 최근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원격 사용자 인증 기법은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에 대한 관심 및 요구가 증가됨에 따라 사용자 익명성을 제공하려는 방향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초기에 제안된 인증 기법에서는 사용자와 사용자가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서버를 제외한 제3자에 대한 사용자 익명성만을 고려하였으나 최근 서비스 제공자에 의한 개인정보유출 사고 등이 증가하면서 제3자뿐만 아니라 원격 서버에 대해서도 사용자의 익명성이 보장되는 기법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용자 익명 인증 기법은 원격 서버가 사용자의 악의적인 행동을 감지했을 때 신뢰기관의 협조를 얻어 악의적인 사용자를 추적할 수 있는 기능 또한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제3자뿐만 아니라 원격 서버에 대해서도 사용자의 신원에 대한 익명성을 보장하며, 악의적인 사용자의 행동에 따른 문제 발생 시에 이를 추적 가능한 익명 인증 기법을 제안한다.

An Appraoch for Preserving Loaction Privacy using Location Based Services in Mobile Cloud Computing

  • Abbas, Fizza;Hussain, Rasheed;Son, Junggab;Oh, Heekuck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21-624
    • /
    • 2013
  • Mobile Cloud Computing is today's emerging technology. Customers enjoy the services and application from this combination of mobile technology and cloud computing. Beside all these benefits it also increases the concerns regarding privacy of users, while interacting with this new paradigm One of the services is Location based services, but to get their required services user has to give his/her current location to the LBS provider that is violation of location privacy of mobile client. Many approaches are in literature for preserve location privacy but some has computation restriction and some suffer from lack of privacy. In this paper we proposed a novel idea that not only efficient in its protocol but also completely preserves the user's privacy. The result shows that by sharing just service name and a large enough geographic area (e.g. a city) user gets required information from the server by doing little client side processing We perform experiments at client side by developing and testing an android based mobile client application to support our argument.

SNS 이용자 시민행동, 불량행동, 사회적 유대감,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 및 이용자 만족도간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user citizenship behavior, aberrant user behavior, social connectedness, privacy concern, and user satisfaction)

  • 김유정;김재영;한재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4994-5004
    • /
    • 2012
  • 본 Web2.0의 대표적 서비스인 소셜네트워킹사이트(Social Networking Site, SNS)도 하나의 가상 커뮤니티에 해당된다. 이에 SNS에서 이용자의 역할 외 활동(Extra-role activity)인 이용자 시민행동과 이용자 불량행동은 SNS 이용자의 만족도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하고, 사회적 네트워크가 성공적으로 작동하는데 중요한 요인인 사회적 유대감과 사회적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에서 나타나는 이용자 스트레스 중 하나인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에도 영향을 주어 궁극적으로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NS 이용자의 시민행동과 불량행동, 사회적 유대감,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 및 이용자 만족도간의 구조적 관계를 고객행위관점에서 조사하였다. 본 연구모형에서 제시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143개의 유효 설문에 대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용자 시민행동이 이용자 만족도에 유의미한 수준에서 강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용자 불량행동은 이용자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용자 시민행동이 사회적 유대감에 매우 강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이용자 불량행동과 사회적 유대감은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유대감과 이용자 만족도간의 관련성도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용자 불량행동은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와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와 사회적 유대감이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도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데이터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태도와 보호의도에 관한 연구: 프라이버시 냉소주의의 영향 (A Study on Privacy Attitude and Protection Intent of MyData Users: The Effect of Privacy cynicism)

  • 정해진;이진혁
    • 정보화정책
    • /
    • 제29권2호
    • /
    • pp.37-65
    • /
    • 2022
  • 이 연구는 마이데이터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태도와 보호의도에 대한 프라이버시 냉소주의 4개 차원(불신, 불확실성, 무기력, 체념)의 영향 관계를 분석했다. 연구결과, 마이데이터 이용자의 인터넷 활용능력은 프라이버시 냉소주의 차원 중 '체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라이버시 위험은 프라이버시 냉소주의 차원 중 마이데이터 사업자에 대한 '불신', 프라이버시 통제에 대한 '불확실성' 및 '무기력'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셋째, 프라이버시 염려는 프라이버시 냉소주의 차원인 '불신', '불확실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 '체념'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넷째, 프라이버시 냉소주의 차원의 '체념'은 프라이버시 보호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마이데이터 이용자의 인터넷 활용능력은 프라이버시 냉소주의를 완화할 수 있는 변인이나, 프라이버시 위험과 프라이버시 염려는 프라이버시 냉소주의를 강화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프라이버시 냉소주의 중 '체념'은 프라이버시 염려를 상쇄시키고, 프라이버시 보호의도를 낮춘다. 이는 프라이버시 노출에 대한 위험 또는 염려의 상황에서 프라이버시 냉소주의가 이러한 상황을 벗어나게 하는 인지적 메커니즘으로 기능한다는 기존 연구 결과들을 뒷받침한다.

스마트 홈에서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사용자 동적 접근제어 (User Dynamic Access Control for Privacy Protection in Smart Home)

  • 조도은;김시정
    •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 /
    • 제6권3호
    • /
    • pp.17-22
    • /
    • 2018
  • 스마트 홈이란 집 안의 냉난방에서부터 조명, 주방, 보안에 이르기까지 가정에 있는 다양한 장치들을 네트워크에 연결해서 집안의 모든 정보를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 스마트 홈 기술의 발전으로 집안 기기의 사용은 편리 해졌지만 반면 정보보안 측면의 해저드가 공존한다. 권한이 없는 방문자가 집안의 기기에 임의로 접근해서 정보 조회나 기기를 제어하는 프라이버시 및 보안 문제는 스마트 홈에 있어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홈에서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사용자 동적 접근 제어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스마트 홈서비스 사용자의 상황정보를 자동 판별하여 사용자의 역할을 정의하고 서비스 접근 범위를 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고 스마트 디바이스 간의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안된 스마트 홈에서의 동적 접근 제어 방법은 스마트 홈 기기에 대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향상된 보안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