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efulness of online review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5초

위성 DMB의 채택요인에 관한 연구 : 정보기술수용모형을 중심으로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S-DMB Adoption : Focu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남종훈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73-189
    • /
    • 2007
  • 본 논문은 방송과 통신 융합의 결정체인 위성 DMB의 채택요인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론적 논의의 출발점은 기술수용과 인간의 행위를 연구한 이론인 정보기술수용모형이며 이를 위성 DMB의 기술적 특성에 맞게 확장하였다. 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전국적으로 총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즉시접속성, 서비스 품질, 비용, 광고영향, 인지된 용이성과 같은 변인들이 인지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된 용이성에는 일치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위성 DMB의 이용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용이성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통해서 세워진 가설들을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 대부분은 선행 연구의 결과와 동일하게 채택되었다. 그러나 일부의 변인들은 기존의 연구 결과와 다르게 기각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자기효능감과 혁신성향은 인지된 용이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기존의 연구결과와 다른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는 위성 DMB가 갖는 기술적 특성과 위성 DMB에 대한 이용자들의 선입감과 심리적 기대감이 기존의 연구에서 적용되어진 IT 시스템이나 컴퓨터 그리고 모바일 인터넷과는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 PDF

Current status of dental caries diagnosis using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 Park, Young-Seok;Ahn, Jin-Soo;Kwon, Ho-Beom;Lee, Seung-Pyo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1권2호
    • /
    • pp.43-51
    • /
    • 2011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dental caries diagnosis using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Materials and Methods : An online PubMed search was performed to identify studies on caries research using CBCT. Results : Despite its usefulness, there were inherent limitations in the detection of caries lesions through conventional radiograph mainly due to the two-dimensional (2D) representation of caries lesions. Several efforts were made to investigate the three-dimensional (3D) image of lesion, only to gain little popularity. Recently, CBCT was introduced and has been used for diagnosis of caries in several reports. Some of them maintained the superiority of CBCT systems, however it is still under controversies. Conclusion : The CBCT systems are promising, however they should not be considered as a primary choice of caries diagnosis in everyday practice yet. Further studies under more standardized condition should be performed in the near future.

e-러닝 수용에 있어 신뢰의 역할: 신뢰 수준에 따른 비교 (The Role of Trust in Adoption of e-Learning in South Korea: Comparison of High and Low Trust Levels)

  • 임세헌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25-45
    • /
    • 2010
  • 오늘날 인터넷의 발전과 더불어, 대학 교육에 있어 e-러닝은 매우 중요한 교과목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다. 이에 따라 학교 당국에서는 보다 양질의 교육 컨텐츠 질 개발과 e-러닝을 수강하는 학생들의 e-러닝을 통한 만족도와 학습효과를 증대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해 학생들의 e-러닝 수용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온라인 환경에서의 신뢰는 기술수용에 있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데,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e-러닝 수용에 있어 신뢰 수준에 따른 e-러닝 수용 과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e-러닝에 대한 수용의 심도 깊은 이해를 통해 보다 좋은 e-러닝 시스템을 구현과 e-러닝 전략 개발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해 줄 것이다.

대학의 교실수업에서 이러닝시스템 이용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 사회적, 기술적, 개인적 특성 (A Study on the Factors to Increase the Usage of e-Learning Systems in Class-based Education: Social, Technological, and Personal Factors)

  • 최수정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7권4호
    • /
    • pp.233-260
    • /
    • 2008
  • Universities have recognized e-Learning Systems as the critical IT resources which contribute to improv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universities as well as the quality of the traditional class-based lectures. Instructors deliver the main contents in the class. Other supplementary activities like online discussions, sharing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submission of homeworks, communication among the learners and between the instructors and the learners, and so on can be efficiently facilitated using e-Learning Systems. In other words, e-Learning Systems enable a blended learning combined class-based lectures and e-learning in a variety of ways. Nonetheless, compared to the level of implementation of e-Learning Systems, the usage of both the instructors and the learners is not high.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the determinants to affect on the usage of e-Learning Systems from the learners perspective. To draw the key determinants, we review the IS literatures related to adoption or use of the IS like Media Richness Theory (MRT),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Social Influence Model (SIM), and Self-efficacy Model. The variables are drawn out to be expected on the usage of e-Learning like Media Richness, Ease of Use from MRT, TAM and Instructor's Influence, Co-learner's Influence from SIM, and Self-efficacy. To test our model and hypotheses, we have collected data in the class-based lectures using e-Learning System complementary. The results of the test with 192 data are as follows: Firstly, it shows that the Instructor's Influence and the Media Richness are the influential determinants to affect on the Perception of Usefulness of e-Learning Systems. Additionally, the Co-learner's Influence and Ease of Use in order is significant to the Perception of Usefulness. Secondly, as to the degree of use of the e-Learning Systems, the Co-leaner's Influence, the Media Richness, and the Ease of Use are, in that order, the significant determinants. The Perception of Usefulness, also, founded a key factor on increasing the use of e-Learning Systems. On the other hand, the Instructor's Influence is not significant to the use of e-Learning Systems. Finally, it has been found that Self-efficacy is significant to the Perception of Media Richness, Ease of Use, but not significant to the Perception of Usefulness.

음원 추천시스템이 온라인 디지털 음원차트에 미치는 파급효과에 대한 연구 (A Study about The Impact of Music Recommender Systems on Online Digital Music Rankings)

  • 김현모;김민용;박재홍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49-68
    • /
    • 2014
  • 대다수의 국내외 온라인 디지털 음원 유통 사이트들은 음원 판매 활성화 방책의 일환으로 음원 추천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국외의 경우와 다르게, 우리나라의 시장점유율이 가장 높은 온라인 디지털음원 유통 사이트 5곳은 독자적인 기준으로 추천 음원을 선정하고 있으며, 추전 음원의 선정 기준 및 절차를 소비자에게 공개하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국내 온라인 디지털 음원 유통 사이트가 보유한 음원 추천시스템의 공정성 여부를 확인하고, 이러한 음원 추천시스템으로부터 선정된 추천 음원이 음원차트에서 어떠한 영향력을 갖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2년 11월부터 약 한달 간 온라인 디지털 음원 유통 사이트의 일간 음원차트에 등록되어 있는 1위부터 100위까지의 음원과 추천 음원을 수집하였다. 먼저, 수집된 음원 데이터를 기반으로 음원 추천시스템의 공정성 여부를 실증적인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첫째, 추천 음원의 노출 위치를 분석하였으며 둘째, 추천 음원이 제공되는 서비스 구조를 확인하였다. 셋째, 기획사에 따른 추천 음원 분포를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이러한 음원 추천시스템으로부터 선정된 추천 음원이 음원차트 내에서 어떠한 영향력을 갖는지 실증적인 분석 방법으로 확인 하였다. 첫째, 음원차트의 동일 비동일 진입 시기에 따라 추천 음원과 미추천 음원의 순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둘째, 모든 사이트에서 동시에 중복 추천된 음원과 단일 추천된 음원의 순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셋째, 추천 받은 음원이 음원차트에 처음으로 진입하는 시기 및 순위를 확인하였다. 넷째, 음원차트 상위권 순위에 분포되어 있는 추천 음원의 비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온라인 디지털 음원 유통 사이트가 보유한 음원 추천시스템의 현행 및 현상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공정성 문제를 제기하였으며, 음원 추천시스템이 음원차트에 미치는 파급력을 확인하였다는 것에 학술적 의의를 가진다. 또한 온라인 디지털 음원 유통 사이트의 내 외부 이해관계자에게 음원 추천시스템 악용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시켜 음원차트의 공정성을 확보하고자하는 것에 산업적 의의를 가진다.

A Case Study of Improving Instruction by Utilizing Online Instruction Diagnosis Item Pool

  • SHIM, Mi-Ja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6권2호
    • /
    • pp.23-41
    • /
    • 2005
  • One of the main factors that determine the quality of instruction is the teaching ability of the instructor administering the class. To evaluate teaching ability, methods such as peer review, student feedback, and teaching portfolio can be used. Among these, because feedback from the students is directly associated with how well the students feel they have learned, it is essential to improving instruction and teaching ability. The principal aim of instruction evaluation lies in the evaluation of instructor's qualification and the improvement of instruction quality by enhancing professionalism. However, the mandatory instruction evaluations currently being carried out at the term's end in universities today have limitations in improving instruction in terms of its evaluation items and times. To improve the quality of instruction and raise teaching abilities, instruction evaluations should not stop at simply being carried out but also be utilized as useful data for students and teachers. In other words, they need to be used to develop teaching and improve instruction for teachers, and consequently, should also exert a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scholastic achievements and learning ability. The most important thing in evaluation is the acquisition of accurate information and how to utilize it to improve instruction. The online instruction diagnosis item pool is a more realistic feedback device developed to improve instruction quality. The instruction diagnosis item pool is a cafeteria-like collection of hundreds of feedback questions provided to enable instructors to diagnose their instruction through self-diagnosis or students' feedback, and the instructors can directly select the questions that are appropriate to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ir instruction voluntarily make use of them whenever they are needed. The current study, in order to find out if the online instruction diagnosis item pool is truly useful in reforming and improving instruction, conducted pre and post tests using 256 undergraduate students from Y university as subjects, and studied the effects of student feedback on instructions. Results show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instruction diagnosis improved students' responsibility regarding their classes, and students had positive opinions regarding the usefulness of online instruction diagnosis item pool in instruction evaluation. Also, after instruction diagnosis, analyzing the results through consultations with education development specialists, and then establishing and carrying out instruction reforms were shown to be more effective. In order to utilize the instruction diagnostic system more effectively, from planning the execution of instruction diagnosis to analyzing the results, consulting, and deciding how those results could be utilized to instruction, a systematic strategy is needed. In addition, professors and students need to develop a more active sense of ownership in order to elevate the level of their instruction.

전자정부 G2B 시스템의 성과평가 분석을 위한 새로운 평가 모델 및 방법론 개발 (Development of a new Model and Methodology for the Analysi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G2B Systems in e-government: EEM)

  • 임규건;이재규;이대철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0권2호
    • /
    • pp.269-289
    • /
    • 2008
  • 전자정부 정보화 사업과 같은 규모와 그 범위가 거대하며, 한번에 모든 기존의 오프라인 프로세스가 온라인화 되지 않고 수년간에 걸쳐 그 효과가 나타나는 시스템의 파급효과에 대한 예측은 무척 난해한 문제이다. 이러한 e-transformation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모델의 수정 및 보완작업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자정부 정보화사업 중 하나인 G2B 시스템의 효과평가를 위해 EEM (E-transformation Evaluation Model)으로 명명한 새로운 모델과 평가방법론을 제시하고자한다. EEM 모델은 G2B 시스템으로 인해 e-transformation화된 업무프로세스 영역(온라인 영역)의 효과를 화폐가치로 산출하는 정량평가 모델이다. 또한 아직 G2B 시스템이 적응되지 않은 업무프로세스 영역(오프라인 영역)을 정보화시켰을 때 예상되는 효과를 함께 추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 EEM 모델에서는 기준모델, 검증모델, 예측모델을 설정하고, 평가년도, 측정영역, 데이터종류에 따라 설문데이터와 DB 데이터를 함께 활용하여 모델을 검증하며 효과를 예측한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효과를 효과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5단계와 10개의 세부절차로 구성된 EEM평가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또한 제시된 방법론을 활용하여 대한민국 전자조달 G2B 시스템에 대해서 평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EEM 모델과 평가방볍론은 평가대상에 따라 다각적인 적응이 가능하므로 향후 전자정부 정보화사업의 효과평가와 정책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민간기업의 대형시스템 도입 효과평가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상용화된 스마트 의류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수용도 (A Study on Consumer Acceptance toward the Commercialized Smart Clothing)

  • 채진미;조현승;이주현
    • 감성과학
    • /
    • 제12권2호
    • /
    • pp.181-19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TAM을 적용하여 혁신적인 의류 제품인 스마트 의류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와 수용의도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용화된 스마트 의류 제품을 대상으로 소비자들의 수용도에 대한 연구모형을 수립하였고, 선행연구들을 근거로 각 구성 요인 간의 관계에 대해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그 경로가설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과 스마트 의류 수용과정의 경로를 검증하기 위한 공분산 구조모형을 구성하였고, AMOS 5.0 package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을 통해 얻은 557부의 유효 표본을 분석하였다. Davis(1989)가 제안한 TAM에, 스마트 의류 제품들의 판매 가격을 고려한 지각된 가치 변수를 적용하여 스마트 의류의 수용과정을 설명한 결과 모형의 적합성을 입증하였으며, 8개의 경로가설 중 6개의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이 밝혀져 채택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유용성을 거쳐 태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고, 태도는 다시 수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유용성은 지각된 가치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스마트 의류의 수용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지각된 가치가 스마트 의류에 대한 태도와 수용의도에 둘 다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마트 의류에 대한 태도는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사용자 리뷰를 이용한 상품 특징 추출 및 평점 분배 (Product Feature Extraction and Rating Distribution Using User Reviews)

  • 손수빈;전종훈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5-87
    • /
    • 2017
  •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에 대한 사용자 리뷰와 평점을 분석하여 상품의 특징을 자동으로 추출하고 평점이 어떤 특징에 의해 부여된 것인지 판단하여 각 특징에 분배하여 점수화함으로써 상품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 방식은 상품 구매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 많은 리뷰와 평점을 읽는데 시간을 허비하거나, 상품의 장단점을 파악하기 어려울 뿐더러 상품에 부여된 평점이 어떠한 특징에 의해서 부여되었는지 알 수 없는 구조로 되어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사용자 리뷰에서 상품의 특징을 자동으로 추출하고 각 특징별 평점을 전체 평점에서 자동으로 분배 계산하여 보여주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상품별 리뷰와 평점을 수집하여 형태소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상품의 특징과 이에 대한 감성어를 추출한다. 또한, 상품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도록 각 특징에 대한 가중치를 특징이 출현한 문장의 극성을 판단하여 부여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실험을 통하여 얻은 결과와 기존 방법을 비교하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제안하는 방법의 유용성을 입증하였고, 상품 리뷰 전문가의 분석과 실험의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오픈마켓에서 개인특성이 신뢰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The Impact of Consumer Characteristics Upon Trust and Purchase Intentions in B2C E-marketplaces)

  • 조휘형;홍일유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2권3호
    • /
    • pp.49-73
    • /
    • 2010
  • 고객만족과 신뢰에 관한 문제는 인터넷쇼핑몰의 발전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불확실성과 리스크가 존재하는 B2C 전자상거래에서 불안 요소를 불식시키거나 감소시켜 고객만족과 소비자의 신뢰를 구축하는 것이 인터넷쇼핑몰의 성공을 위해 필수적 요소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효율적인 웹사이트 구축을 위해 오픈마켓에서 고객만족과 중개자의 신뢰가치성 요인 간의 영향관계를 조명한다. 또한 오픈마켓 이용자의 개인적 특성으로서 신뢰성향과 자기효능감이 신뢰와 구매의도 형성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조명하고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오픈마켓에서 고객만족은 신뢰가치성으로 능력, 배려, 무결성 요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배려와 강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오픈마켓에서 신뢰성향은 신뢰나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지 못하며, 신뢰가치성 요소로서 배려와 무결성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기효능감은 신뢰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자기효능감이 높은 고객에게는 이탈 방지를 위해 고객충성도를 높일 수 있는 전략이 요구되며, 반면에 자기효능감이 낮은 고객을 유인하기 위해 웹사이트의 사용성 및 유용성을 고려한 기술적 측면과 마케팅적 측면에 초점을 두는 전략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