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e of Communication Media

검색결과 816건 처리시간 0.027초

포스트 TV 시대의 텔레비전 시청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20대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Television Viewing in the Post-TV Era: An In-depth Interview Study of Young People's Television Experiences)

  • 이동후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60권
    • /
    • pp.172-192
    • /
    • 2012
  • 지난 십수 년 동안 텔레비전을 시청할 수 있는 플랫폼이 다양해지고 다양한 미디어 형식을 결합시킨 소비가 손쉽게 일어나며 국내 지상파 방송 프로그램 이외의 프로그램 자원이 풍부해지는 포스트 TV 시대가 전개된다. 이 연구는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라 텔레비전 시청 경험의 성격과 의미가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지를 주목해보고자 한다. 특히 월터 옹(Walter Ong)의 관계주의적 시각에서 현재의 텔레비전 시청 환경, 시공간 경험, 사회적 장소로서의 텔레비전, 텔레비전 시청의 의미와 위상 등을 구체적으로 관찰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9명의 20대에 대한 심층 인터뷰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러한 인터뷰 사례를 기초로 일상 속에 이용하는 커뮤니케이션 체계가 변화하면서 텔레비전의 의미와 적절성이 어떻게 바뀌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이들의 사례는 텔레비전 시청 경로가 다변화되고 소셜 미디어 이용과 연결되면서 텔레비전 시청 개념이 확장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물리적, 상징적 '모이는' 장소로서의 텔레비전의 의미가 여전히 '잔존'하지만, '집단적인 개인화'와 '개인적 집단화' 라는 다양한 층위의 시청 경험이 만들어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PDF

建築 協業設計 시스템 구축을 위한 프로세스와 環境 試險에 관한 연구 (A Collaborative Design System in Architecture: defining the process and testing its system environment)

  • 김억;강명희;최진원;김성아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57-65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collaborative architectural design system. Design collaboration requires an extensive use of communication methods as well as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experts from different domains. Such facts address several issues when the Internet and digital media are able to create a completely new work environment. The building design process was studied, and possible modes of design collaboration were defined. A prototype system is being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defined collaboration model. The system integrates a set of communication tools and web-based design media. Such media include a synchronous multi-user web CAD tool, a schematic 3D design tool, and a electronic whiteboard. A project database was designed in order to coordinate the project-wide communication which elaborates technologies such as web-based data access.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a usability test was performed both i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anner. The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world-wide design and construction collaboration through the Internet, which is becoming a mainstream building process model.

건축공간요소를 활용한 인터페이스 사례 분석 - 2011년 이후 디지털아트 작품 사례의 인터페이스 특성 분석 - (Properties of the Interface using Elements of the Architectural Space - Analyzing Properties of the Interface on the Digital Artwork Practices since 2011 -)

  • 김미연;서동조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1511-1520
    • /
    • 2014
  • After 2011, with the spread of smart devices, large interfaces using the architectural space elements here and there in the cities. Recently the desire for the data has increased, and, following the increase of the range of use by the users, the communication utilizing various forms of interfaces is expected to become more active. In the past, certain range of architecture or parts of the facilities were as the interfaces, but, recently, the development of media technology and the display of various contents forced the utilization of many elements of architectural space in the interface aspects that were not used in the past. Accordingly, the research compare the relationship of the purpose, media environments, interface technology, data form and so on and consider the characteristic of what elements of architectural space are used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interfaces used in digital art works. Especially,the research will consider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izing the trends in the interfaces of digital art works in the mediation region of city information services, and propose how to apply such possibility.

미디어 환경과 사용에 관한 아동의 심성모형 질적 연구 (A Qualitative Research of Children's Mental Model on Media Environment and the Use)

  • 이란;현은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601-61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 환경과 미디어 사용에 대한 아동의 심성모형을 분석하여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10명의 초등 4-5학년 연령대 아동과의 인터뷰, 그림 그리기, 연상 단어 제시하기, 문장 완성하기의 네 가지 활동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연구자 2인에 의해 질적으로 분석되었다. 먼저 문장 완성활동과 연상 단어 활동을 통해 도출된 의미 구성요소는 미디어 기기, 소통성(소외감), 유능함(공급원), 오락성, 역기능, 양면성의 총 6개 요소였다. 두 번째로, 참여자들의 그림에서 추출된 미디어 심성모형의 구성요소는 기능성/유능함, 오락성, 책(종이)과의 갈등/공유, 해악/양면성 등의 4개 요소였다. 세 번째로, 인터뷰를 통해 나타난 심성모형의 의미요소는 갈등(종이책과 전자 미디어), 소통 중심성, 두려움(중독), 그리고 사용자의 자격 등으로 범주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사이버 소통에 대한 관찰과 인식 강화, 중독예방 교육의 필요성, 학습 미디어와 책 미디어의 적극적 개발과 균형있는 활용, 건강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비판적 사고의 강화 등을 교육적 함축으로 제시하였다.

Roles of Health-Oriented Personal Factors in Influencing Koreans' Perceptions about Telemedicine: Exploration of Regional Differences

  • Jaehee Cho;Ghee-Young Noh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7권3호
    • /
    • pp.176-190
    • /
    • 2017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oles of three health-oriented personal factors-health technology innovativeness (HTI), health consciousness (HC), and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HIO)-in determining Koreans' perceptions about telemedicine. Based on an extended ver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two perceptual components-perceived usefulness (PU) and perceived ease of use (PEOU)-of telemedicine were considered for this investigation. Data from 699 usable surveys were analyzed using path analysis. The results from the path analysis indicated that while HTI and HC had no or limited effects on the PU and PEOU of telemedicine, the effects of HIO on those two perceptual components of telemedicin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Moreover, the results from the path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HTI and HC on the PU and PEOU of telemedicine. In general, these effects were greater among the metropolitan residents than they were among the rural residents.

Construction of Scientific Impact Evaluation Model Based on Altmetrics

  • Li, Jiapei;Shin, Seong Yoon;Lee, Hyun Chang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5권3호
    • /
    • pp.165-169
    • /
    • 2017
  • Altmetrics is an emergent research area whereby social media is applied as a source of metrics to evaluate scientific impact. Recently, the interest in altmetrics has been growing. Traditional scientific impact evaluation indictors are based on the number of publications, citation counts and peer reviews of a researcher. As research publications were increasingly placed online, usage metrics as well as webometrics appeared. This paper explores the potential benefits of altmetrics and the deep relationship between each metrics. Firstly, we found a weak-to-medium correlation among the 11 altmetrics and visualized such correlation. Secondly, we conducte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altmetrics of social media, divided the 11 altmetrics into four feature sets, confirming the dispersion and relative concentration of altmetrics groups and developed the altmetrics evaluation model. We can use this model to evaluate the scientific impact of articles on social media.

A Study of Experiential Exhibition Format Using VR Technology at Sanxingdui Museum

  • Chen Xi;Jeanhun Ch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5권4호
    • /
    • pp.172-177
    • /
    • 2023
  • This study explores the feasibility and potential of using virtual reality (VR) technology to enhance the museum viewing experience through digital media. In an increasingly digital world, museums face the challenge of adapting to changing visitor expectations. This study explores the integration of virtual reality and digital media as a means to engage, educate, and attract museum visitors in a novel, immersive way. By analyzing its advantages, challenges,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feasibility of this transformative approach.

Trust in User-Generated Information on Social Media during Crises: An Elaboration Likelihood Perspective

  • Pee, L.G.;Lee, Jung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6권1호
    • /
    • pp.1-21
    • /
    • 2016
  • Social media is increasingly being used as a source of information during crises, such as natural disasters and civil unrests. However, the quality and truthfulness of user-generated information on social media have been a cause of concern. Many users find distinguishing between true and false information on social media difficult. Basing on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and the motivation, opportunity, and ability framework, this study proposes and empirically tests a model that identifies the information processing routes through which users develop trust, as well a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use of these routes. The findings from a survey of Twitter users seeking information about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crisis indicate that individuals evaluate information quality more when the crisis information has strong personal relevance or when individuals have low anxiety about the crisis. By contrast, they rely on majority influence more when the crisis information has less personal relevance or when these individuals have high anxiety about the crisis. Prior knowledge does not hav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n the use of information quality and majority influence in forming trust. This study extends the theorization of trust in user-generated information by focusing on the process through which users form trust. The findings also highlight the need to alleviate anxiety and manage non-victims in controlling the spread of false information on social media during crises.

신세대 학습자 특성 분석 : 대학생의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이용 특성 (Analysis of New Generation Learner Characteristics : College Students Use of Cyber Communication)

  • 이옥화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25-36
    • /
    • 2005
  • 2004년도 11월에 전국의 850명의 대학생의 사이버 커뮤니케이션의 이용 특성을 분석하여 이러닝 환경 구축에 관한 제언을 하였다. 학생들은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방법 중 휴대폰 문자보내기, 인터넷 메신저 사용하기, 블로그나 미니홈피 사용하기, 이메일 보내기의 순으로 사용을 선호하였다. 57.5%의 대학생이 이메일을 사용하지 않았으며, 특히 남학생(61.9%)과 어린 학생일수록(69.4%) 그런 경향이 두드러졌다. 블로그를 소유한 사람의 비율은 74%인데, 연령이 어릴수록 많았다. 이메일의 사용은 줄고, 이동성, 동시성 접속성과 사용의 용이성이 있는 저렴한 가격의 매체의 사용이 늘고 있다. 이러닝을 위한 제언은 1) 이메일의 대체 매체를 적극 활용, 2) 접속성의 제공, 3) 동시성/즉각성의 제공, 4) 휴대폰, 블로그, 미니홈피와 같은 매체를 적극적으로 교육에 활용, 5) 텍스트정보의 멀티미디어화이다.

  • PDF

미디어 이용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세월호 사건을 중심으로 (Media Use during the Sewol Ferry Disaster an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 박노일;장석환;정지연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673-683
    • /
    • 2018
  • 세월호 사건은 재난의 일반적인 피해 수준을 넘어 온 국민들에게 정신적 충격을 준 참사이다. 이 연구는 세월호 사건과 관련한 미디어 이용으로 대리된(vicarious) 재난 경험과 이용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간의 연관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세월호 사건 발생 직후인 2014년 4월 28일부터 12일 동안 수도권 소재 종합대학과 중고등학교 학생 417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답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세월호 사태 기간 중에 주요 재난 사건 뉴스정보를 접하는 채널이 소셜 미디어인 경우 신문이나 TV방송보다 더 높은 수준의 외상을 나타냈다. 또한 재난 사건 뉴스정보와 소셜 미디어 이용량이 많을수록 PTSD와 정적인 인과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는 재난 사건에 대한 미디어 매개 심리적 외상 문제의 작동기제와 경험적 결과를 제시하며 후속 연구를 촉발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