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age and Satisfaction Theory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4초

Social Media Stickiness in the Z Generation: A Study Based on the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 Saiful Hoque;Md. Alamgir Hossain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1권4호
    • /
    • pp.90-108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uses and gratifications motivations increase social media stickiness, with a special focus on media engagement as a key mediator. Data were gathered via a survey questionnaire from Bangladeshi Z Generation social media users, which was quantitative in nature. For the analysis of 258 survey sampl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ology was used. The results show that social media engagement and social media stickiness are positively impacted by uses and gratifications motivations such as social interaction, information, convenience, and entertainment. The study also found evidence of a relationship between uses and gratification motivations and social media stickiness, which is also mediated by emotional attachment. Understanding the motivations and gratifications sought by Z Generation users on social media platforms can help design strategies to enhance engagement and loyalty, ultimately leading to improved user retention and platform success. By identifying and addressing the specific needs and desires of the Z Generation, social media platforms can tailor their features, content, and user experiences to foster a stronger sense of connection and satisfaction, resulting in increased user engagement and prolonged usage.

기능적·정서적 요인이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만족과 몰입에 미치는 영향: 친밀감과 피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Functional and Emotional Factors on User Satisfaction and Commitment toward Mobile Messenger Service: Investigating the Mediating Effects of Intimacy and Fatigue)

  • 이애리;박용완;박유진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3-63
    • /
    • 2016
  • 스마트폰 확산에 따라 모바일 메신저 사용이 급증하고 있으며, 모바일 메신저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이 일상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메신저 사용 원인과 결과적 현상을 고찰하고자,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로써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가 지닌 독특한 특성을 파악하고, 이러한 특성이 모바일 메신저 이용 증가(사용자 몰입과 만족도)에 영향을 줌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동기성 이론과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문헌연구를 기반으로 모바일 메신저의 주요한 기능적 특성과 감성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대인간 커뮤니케이션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긍정적 효과인 친밀감과 부정적 효과인 피로도를 매개변수로 설정하고,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사용자들이 경험하는 기능적, 정서적 특성 요인이 친밀감과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매개변수인 친밀감과 피로도가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이용에 대한 만족과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모바일 메신저 사용의 피로도를 증가시키는 요인과 친밀감을 촉진할 수 있는 요인이 분석됨에 따라, 모바일 메신저 사업자와 사용자들에게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SNS 환경에서 온라인 관계 친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인들 (Key Factors Influencing Online Relational Intimacy in the Context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

  • 김병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7호
    • /
    • pp.149-15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SNS 사용자들의 온라인 관계 친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사용자들의 이용과 욕구 이론을 바탕으로 자기 표현, 관계 형성, 정보 검색을 SNS의 주요 사용 욕구로 정의하였다. 이 사용 욕구들은 사용자 만족, 주관적 행복, 정보 게시 행동을 통해 온라인 관계 친밀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다. 본 연구는 종단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페이스북 사용자 199명을 대상으로 연구 모형을 검증하였다. 자기 표현과 정보 검색은 사용자 만족과 주관적 행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관계 형성은 사용자 만족과 주관적 행복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사용자 만족은 온라인 관계 친밀도에 직접적으로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주관적 행복은 정보게시 행동과 온라인 관계 친밀도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정보 게시 행동은 온라인 관계 친밀도 증진의 핵심 요인임을 밝혀내었다. 본 연구 결과는 온라인 관계 친밀도에 대한 학문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Gender Differences in Continuance Intention of On-line Shopping Services

  • Lee, Yon-Nim;Kwon, Oh-Byung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0권3호
    • /
    • pp.51-72
    • /
    • 2010
  • Given the extensive role of IS in everyday life and the increasing presence of women in IS users, understanding gender differences in individual technology continuance usage decisions is an important issue. Nevertheless, much of the large body of research on gender differences has just examined mean differences between women and men in terms of abilities, usage habit, and traits. Even though lots of psychology studies have shown that women, more than men, were influenced by affective factors, gender-affection-continuance use linkage has not been examined in the context of on-line shopping services. Therefore,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ek to examine gender differences in terms of influence of affective factor in the context of IS continuance use. Meanwhile, IS continuance has been an important subject of study in the IT research area. To date, to explain why and how users are motivated to continue to use on-line shopping services, lots of theory-based research such as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ECM) has been proposed. In particular, various affective factors have been proposed to explain continuance use of on-line shopping services recently. Affective factors have been regarded as essential factors for increasing relational strength and satisfaction. Several affective factors have been studied by prior IS adoption and continuance studies. Among them are enjoyment and anxiety. In IS continuance research, positive affect has been commonly and narrowly conceptualized and measured as the enjoyment which a person derives from using computers. Hence, in this study, we introduced intimacy factor, which was conceptually related to the quality of interactions and relationships in previous research. It also has been regarded as essential factors for strengthening human relationships. As a result, we have observed gender effect while examining intimacy-continuance bond. As expected based on the previous literatures, women seem to be more sensitive in affective factors. The contribution point here is that we find evidence in the context of on-line shopping services.

코로나19 상황에서 직무만족도와 모바일 생산활동: 결정요인 연구 (Exploring the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and Mobile Productivity amidst COVID-19)

  • 도보람;윤여림;김태년;최정혜
    • 지식경영연구
    • /
    • 제22권1호
    • /
    • pp.39-56
    • /
    • 2021
  • 현대 지식사회에서 모바일 기기는 유용한 업무 도구로 자리잡고 있다. 언택트로 대표되는 코로나19의 감염병 상황에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모바일 생산활동은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직장인들의 직무만족도와 모바일 생산활동 증가의 선행변수로, 코로나19의 감염우려, 리더의 주체성향 및 교감성향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연구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407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 데이터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모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코로나19의 감염우려는 직무만족도나 모바일 생산활동과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리더의 주체성향 및 교감성향 모두가 직장인의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관계를 보였고, 리더의 교감성향은 모바일 생산활동과도 유의한 정적 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감염병 상황에서 직장인들의 기술 도입과 지식생산성을 이해하고 고취시키고자 하는 연구자 및 관리자에게 유용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집중력 회복이론을 통한 지역거주민들의 대학캠퍼스 이용실태 및 만족도 (A Study on the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of Local Residents in College Campus with the Attention Restoration Theory)

  • 이시영;박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7-47
    • /
    • 2014
  • 본 연구는 외부이용자를 대상으로 근린공원과 대학캠퍼스의 이용실태와 만족도 그리고 회복환경지각척도를 이용한 조사 및 비교 분석을 통해, 대체녹지로서의 캠퍼스 녹지공간에 대한 치유적 환경으로서의 역할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먼저 문헌연구로서, 선례연구 및 관련 연구문헌들을 조사하여 이론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실증연구로서 근린공원과 대학캠퍼스 오픈스페이스 공간의 이용현황을 파악하고, 조성된 시설과 환경에 대해서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근린공원과 캠퍼스 오픈스페이스 공간이 치유적 환경으로서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측정하고, 이러한 특질이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치유환경 기여도 분석에서 모두 평균 4점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기여도를 나타냈다. 이는 도시민들이 스트레스가 넘쳐나는 현대에 사람과 자연의 관계를 더욱 중요하게 느낀다는 것을 실제로 증명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집중력 회복이론은 캠퍼스보다는 근린공원의 경우에서 더 높은 설명력을 보여주었다. 요인분석 결과, 회복환경지각척도 구성 요인과의 유사성은 캠퍼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회복환경지각척도에 따른 분석에서 경관의 치유적 특질은 대학캠퍼스 오픈스페이스 공간의 평가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치유적 특질을 이용하면 새로운 측면에서 인공 경관을 평가 할뿐만 아니라, 경관개선 방안도 다양한 각도에서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욕구 충족 영상 콘텐츠(브이로그 / ASMR / 먹방) 이용 동기, 수용자 특성, 시청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e Motivation, Consumers' Characteristics, and Viewing Satisfaction of Need Fulfillment Video Contents(Vlog / ASMR / Muk-bang))

  • 강미정;조창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73-98
    • /
    • 2020
  • 본 연구는 메이저 동영상 콘텐츠로 떠오르는 브이로그, ASMR, 먹방 콘텐츠를 '욕구 충족 영상 콘텐츠'로 새롭게 개념 규정하고, 이용과 충족 이론 관점에서 수용자의 이용 동기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 5대 성격,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으로 구성된 수용자 특성과 시청 만족도 간 상관관계를 탐색하였다. 분석에는 해당 콘텐츠 시청 경험이 있는 441명의 표본에 대하여 요인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의 통계분석 기법이 활용되었다. 그 결과 욕구 충족 영상 콘텐츠 시청 장르에 영향을 미치는 수용자 특성은 연령, 소득수준, 집단주의로 나타났으며, 이용 동기는 자기 평가 및 향상, 감각 자극 및 안정, 재미 추구, 도피 및 시간보내기, 유행 추구의 5개 하위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아울러 5가지 이용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수용자 특성이 각각 다르게 나타났으며, 각 이용 동기가 시청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도 다양하게 확인되었다. 이어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가 갖는 학문적 의의 및 욕구 충족 영상 콘텐츠 산업 발전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과업형 챗봇에서 개인화와 담화 종류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차이가 수용의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sonalization and Types of Interface in Task-oriented Chatbot)

  • 박소현;정윤현;강현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595-607
    • /
    • 2021
  • 4차 산업 혁명과 비대면 서비스의 증가로 과업형 챗봇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증가하고 있다. 효과적인 정보 처리를 돕는 과업형 챗봇으로 사용자들에게 긍정적인 경험을 주기 위해서는 챗봇에서 제시할 정보 및 인터페이스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과업형 챗봇의 맥락에서 개인화 및 담화 종류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차이가 성과기대, 예상노력, 수용의도 그리고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추후 개발될 과업형 챗봇에 실무적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화 수준에 따른 주효과가 수용의도 및 만족도에서 보고되었으며, 닫힌 담화에 한해서 개인화 수준이 낮을 때에 수용의도와 만족도가 더 높은 것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과업형 챗봇 내에서 개인화 적용의 이점 및 닫힌 담화 내에서 개인화 수준에 따른 차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있으며 이를 인지된 개인화, 기대불일치 이론, 프라이버시 염려, 프라이버시 역설에 근거하여 설명하고 있다.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정보시스템 지속성에 대한 이성과 감성의 조화 모델 (A Balanced Cognition-Affect Model of Information Systems Continuance for Mobile Internet Service)

  • 김기은;김희웅
    • 감성과학
    • /
    • 제11권4호
    • /
    • pp.461-480
    • /
    • 2008
  • 기술의 도입과 이용지속성에 관한 많은 연구가 있어왔지만, 대부분 인지적 관점에서 바라본 데 반해, 감성적 측면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정보시스템 연구에서 사용자의 태도, 만족이 주로 고려된다 하더라도 그것들은 감성의 오로지 일부분일뿐이다. 여러 학계의 연구자들은 인간행동을 이해하고 예측하는데 감성의 중요성을 주목하기 시작했다. 특히, 모바일 인터넷과 같은 현대 응용기술에서는 기술의 이용자로서뿐 아니라 서비스 소비자로서의 역할을 하는 사용자들의 감성이 필수적으로 연구되어야한다. 그래서, 이연구는 정보시스템 지속성을 위한 이성과 감성의 조화모델을 제안한다. 이전 연구들과의 차이점은 Circumplex Model of Affect에 따르는 감성의 주요한 차원인 즐거움과 각성(Pleasure and Arousal)을 고려함으로써, 다른 모든 감성의 요인들이 이 두 축의 조합으로 설명될수있도록 한 점이다. 그래서, 사용자 행동에 관한 이전연구들이 즐김과 흥분과 같은 "감성에 연관된 구조"의 직,간접적 효과를 고려한데 반해, 이 연구는 즐거움과 각성과 같은 "감성에 기반한 구조"의 직접적 효과를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이성과 감성의 조화모델은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테스트되고, 그 타당성이 입증된다.

  • PDF

자외선 차단제 유형에 따른 사용 인식 요인과 재구매 및 만족도 조사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Sunscreen Use Patterns and Awareness by Type on Product Satisfaction)

  • 이나영;유선희;리순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363-371
    • /
    • 2019
  • 본 연구는 한국 여성 340명을 대상으로 자외선 차단제 유형, 사용 실태에 따른 사용인식이 제품 사용만족도와 재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사용인식을 편리성, 유효성, 사용성, 안전성으로 하위요인을 구성하여 설문조사를 이용한 연구를 하였다. 연구 결과, 실내 활동 빈도가 야외활동 보다 높게 나타났고 피부톤 보정을 위해 단순 및 복합 자외선 차단제를 둘 다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단순 자외선 차단제 중 선크림을, 복합 자외선 차단제 중 에어쿠션을 많이 사용하였다. 제품 사용감, 자외선 차단 지수가 구매의 중요한 요인이었고 제품 사용만족도 및 재구매 의사가 높게 나타났지만 30%가 부작용을 경험하였다. 단순 자외선 차단 제품이 복합 자외선 차단 제품보다 안전성, 유효성, 편리성, 사용성, 만족도, 재구매에 대한 인식정도가 모두 높게 나타났고 제품 사용인식 하위요인 중 편리성, 유효성, 사용성, 안전성 순으로 만족도와 재구매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자외선 차단을 위한 제품 사용 시 단순 자외선 차단 제품에 대한 인식이 더 높았고, 편리성이 만족도 및 재구매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