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environment contents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22초

전원마을 조성사업 평가항목 개발 연구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ex of Retire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 강방훈;김은자;윤순덕;김상범;윤희정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69-479
    • /
    • 2009
  • New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grams have been implemented, and rural village land use is expanded to encompass green-tourism, citizen and silver domicile space because of the internal and the external changes in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the evaluation index for retire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issued by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The evaluation index was consisted of four categories (population, economic, environment, and living), which were consisted of 35 variables. The relative weight for 35 variables was calculated based on the questionnaire survey from the experts and AHP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Growth rate of population in population criteria, job creation by exterior inflow in economics criteria, improvement of exchange between urban and rural in life criteria, and the flood outbreak in environment criteria were the most important contents of 35 variable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objectives of retire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and indicate the need of prevention the negative sides by implementation of the project.

  • PDF

수도권 대기환경 개선사업-진단과 제언 (Critical Evaluation of and Suggestions for a Comprehensive Project Based on the Special Act on Seoul Metropolitan Air Quality Improvement)

  • 백성옥;구윤서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08-121
    • /
    • 2008
  • On January 1, 2005,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put into operation a comprehensive program, so called 'Blue Sky 21' project, for the improvement of air quality in greater Seoul metropolitan area. This program was legally based on the 'Special Act on Metropolitan Air Quality Improvement' for Greater Seoul area, which was established in 2003, and should be updated every 10 years.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program is to improve the air quality in Seoul and surrounding area by 2014 to the levels of air quality in Tokyo and Paris, with particular emphases on reducing the concentrations of nitrogen dioxide and $PM_{10}$. Any regulation of the emission of toxic air pollutants in general, and $NO_2$ and $PM_{10}$ in particular, should be based on human exposure levels and consequential health effects. In this article, the contents and feasibility of the special program were critically evaluated with respect to the reduction of health risks. Important issues for improving not only air quality but public health are discussed, and future requirements for the success of the special program are suggested.

세종시 탄소배출 모니터링시스템(CEMS)의 설계 (Design and Development of Carbon Emission Monitoring System in Sejong City, Korea)

  • 임윤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482-49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기존 탄소배출 모니터터링시스템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각 가정의 에너지원별 사용량을 원격으로 자동 검침하여 그 데이터 처리/분석 결과를 사용자와 정책결정자에게 제공 할 수 있는 탄소배출 모니터링시스템(CEMS)을 설계 제안하였다. CEMS는 기존의 탄소배출 모니터링 장치들이나 통합 시스템에 사용자에 대한 피드백과 정책수립 자료 구축을 위한 통계처리 기능을 포함하였다. 시스템은 EA 분석을 통하여 탄소 배출량 측정, 가구당 배출량 관리, 마일리지 기준관리, 탄소 배출원 분석 등 6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사용자의 인식과 정책자료 수립기능이 강화된 UI를 설계하였다. 지자체 행정정보시스템과 연계하여 각 기관의 DB 및 Open API를 공유 연동할 수 있으며, 개별 가구의 가구원수 및 주택특성에 따라 달라지는 에너지소비 패턴과 이를 통한 탄소배출량과의 연관성 분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향후 환경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홍대앞 사례를 통한 문화적 포용성 개념의 적용 (Application of Culture Inclusiveness Concept for Hongdae-ap Case)

  • 박민하;이병민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39-554
    • /
    • 2019
  • 본 연구는 도시 포용성의 함의를 영역성과 함께 관계성을 더해 확장하여, 사회적 포용성과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문화적 포용성'의 개념화 모델을 제시한다. 문화적 포용성은 관계의 필요와 공간의 연결, 행위를 통한 실행의 과정을 바탕으로 유기적·학습 관계의 형성 및 공적 공간을 중심으로 한 개방성의 창출, 다양한 주체의 실천으로 연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문화적 포용성의 개념을 '홍대앞' 사례에 적용한다. 최근 홍대앞은 개별 주체 및 그룹·집단들(예술가, 주민, 관, 학생, 문화 활동가, 시민, 관광객 등)의 다양성을 보호할 수 있는 환경 조성, '홍대앞 놀이터', '걷고싶은 거리', '경의선 책거리' 등의 공적 공간 형성,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수평적인 관계망, 접속 등의 요소가 공존의 가치로 나타나고 있다.

IPA기법을 활용한 전원마을 사업 만족도 평가 분석 (An Empirical Satisfaction Evaluation of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through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

  • 최효승;안형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688-697
    • /
    • 2018
  • 본 연구는 도시민들의 귀농귀촌을 유도하고 농촌 정주환경 개선을 위해 시행되고 있는 전원마을 사업의 성과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원마을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12개 항목을 통해 이주 전 중요하게 생각한 것과 이주 후 만족하고 있는 것을 조사하고 'IPA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을 통해 향후 전원마을 조성사업의 추진전략을 제시하였다. 이주 전 중요도와 이주 후 만족도가 높은 항목은 '자연환경 및 경관'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이주 전 중요하다고 생각했지만 이주 후 만족도가 낮은 항목은 '대중교통 및 자가용 접근성'과 '도로 및 주자시설'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향후 전원마을 입지를 결정할 때 자연환경 및 경관과 함께 접근성 측면까지 고려하여 입지가 결정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거주자의 인식에 기반하였다는 것과 설문조사 지역이 한정되어 있다는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향후 전원마을 입지선정 및 토지이용계획 수립에 중요한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도시 내 음지 중금속 오염지에 대한 비비추의 식물정화 효과 (Phytoremediation of Soils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 by Hosta longipes in Urban Shade)

  • 주진희;윤용한
    • 환경정책연구
    • /
    • 제12권4호
    • /
    • pp.119-132
    • /
    • 2013
  • 도시 내 중금속 오염지에 대한 정화방법의 하나인 식물정화재배(phytoremediation)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자생 지피식물인 비비추를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카드뮴(Cd), 납(Pb), 아연(Zn)의 중금속을 중심으로 각각 네가지 농도로(0, 100, 250, $500mg{\cdot}kg^{-1}$) 처리한 무배수용기에 비비추를 식재한 후 7개월간 식물과 토양 내 중금속 변화량을 살펴보았다. 비비추 지상부에서의 카드뮴(Cd)과 납(Pb)은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검출량도 증가하였으나, 아연(Zn)은 감소되었다. 지하부에서는 아연(Zn), 카드뮴(Cd), 납(Pb)처리가 고농도일수록 검출량도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식물체 지상부와 지하부간의 축적률인 TF(transportation factor)의 경우, 대부분 중금속 처리에서 80% 이상을 지하부에서 축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 내 중금속의 제거량은 세 가지 중금속 모두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식물체와 토양 내 중금속 농도비인 BF(bioaccumulation factor)의 경우 아연(Zn)이 낮은 반면, 카드뮴(Cd), 납(Pb)의 경우 토양에서 식물체에 의한 축적률이 3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반응은 오염된 토양에서 식물은 생육이 가능한 한계까지만 활성화할 수 있는 낮은 농도의 중금속을 선택적으로 축적하려는 것으로 판단되며, 지속적인 정화효과를 위해서는 생육과 축적이 가능한 저농도 중금속 오염지를 정화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으리라 본다.

  • PDF

구도시 재생정책을 위한 인과관계 분석 (Causal Relations Analysis for Older City Regeneration Policy)

  • 황희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253-260
    • /
    • 2017
  • 도시재생을 위해서는 올바른 재생정책의 방향과 비전이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지방중소도시의 재생정책은 획일적인 물리적 재개발정책이나 예산지원에서 벗어나 지역주민들의 집단 효능감을 높일 수 있어야 한다.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지방중소도시의 구도심 주민들을 대상으로 과거와 비교한 현재의 쇠퇴정도를 물리적 부문뿐만 아니라 경제 사회 환경 인구 교육 복지 문화 등의 종합적인 부문에 대해 분석하여 각 부문별 쇠퇴양상과 정도의 차이를 밝히는 것이다. 또한, 두 번째 목적은 구도심 주민들의 쇠퇴지각이 지역주민의 집단 효능감과 재생사업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인과 관계와 그 영향정도를 규명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북부 D시 설문에 참여한 시민으로 응답한 설문지 309장을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 SPSS 22.0과 AMOS 22.0을 활용하였고, 유의수준 .05를 기준으로 통계적 유의성 여부를 판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적 의의는 지방중소도시의 재생정책 마련에 필요한 연구 자료가 되며, 시사점으로는 쇠퇴현상에 대한 정량적요인 뿐만 아니라 정성적 요인에 대한 다양한 현상을 종합하여 도시쇠퇴수준 및 특성을 꾸준히 연구하고 지역불균형을 해소하는 개발정책에 대안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재생사업 추진에 있어 원주민 재정착 의식조사 -아산시 재정비촉진지구를 중심으로- (Survey of Natives Resettlement Consciousness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 -Centered on the Re-Maintenance Promotion District of Asan City-)

  • 구시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282-291
    • /
    • 2010
  • 본 연구는 아산시 재정비촉진지구를 대상으로 사업과정에서 어떻게 하면 원주민 재정착을 높일 수 있는가 하는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연구방법은 현황조사, 원주민설문조사, 관련법제 검토 등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연구결과 첫째, 주민의 84%, 상인의 80%가 재정착을 희망하고 있다. 둘째, 주민 상인의 요구에 부응한 사업추진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아파트뿐 아니라 단독주택, 상가주택 등 1억 이하로 선호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응한 주택공급정책과 단지설계기법이 요구된다. 또한 원도심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신규업종도 필요하지만 현재의 상인들이 지속적으로 영업활동을 할 수 있는 상업공간조성이 요구된다. 셋째 물리적 환경개선뿐 아니라 경제, 사회, 문화, 복지, 커뮤니티가 강조된 도시재생 개념확대가 필요하다. 넷째 도시재생에 대한 정부역할의 강화와 제도적 정비가 필요하다. 국가는 지방도시 재생을 위해 재정지원을 포함한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특히 커뮤니티가 지속될 수 있는 시책을 발굴하고 우선적으로 지원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사업지구내의 국공유지는 '원주민용 임대주택 건설' '선도핵심시설 유치' 등에 활용하여야 한다. 다섯째 선진국의 원주민 재정착을 위한 다양한 계획수법을 검토하고, 실현하여야 한다.

스마트폰을 활용한 농촌어메니티 자원 정보제공을 위한 정보서비스 이용실태 분석 (The Analysis of Using an Information Service for Supplying Information in the Rural Amenity Resources by Utilizing a Smart Phone)

  • 손호기;김상범;조록환;최재웅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79-590
    • /
    • 2011
  • This study focused on developing various application services for smart phones in the rural amenity resources information service. By developing application services for smart phones, this study aims to stimulate rural tourism and increase the rural tourism economy.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information for reports/cultural/recreational facilities, etc', 'maps for rural villages(food, attractions, etc)', 'regional weather information', 'traffic reports for rural villages(public transportation, etc)' and 'introduction of rural experiences (festivals, exhibitions, events, etc)' are preferentially needed as the contents services of the rural amenity resources. Moreover, it has been found that the types of services firstly needed to offer information of rural amenity resources include 'searching the information around me(where I am)', 'wayfinding such as navigation', 'information sharing function with messenger and SNS, etc', 'taking and editing photography', 'searching information of rural villages about festivals, events, etc'. These are the items that can be utilized in developing application services needed by information services of rural amenity resources. It is expected that the future real-time smart phone services for rural amenity resources will be able to reinforce the competitiveness of rural tourism by giving urban dwellers the chance to utilize the customized information whenever they want.

노후주거지 재생을 위한 범죄예방 환경디자인 사업 사례연구 - 부산시 '덕포동', '칠산동', '수정동' 시행사례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CPTED Projects for Regeneration of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 Focused on Cases of 'Deokpo-dong', 'Chilsan-dong' and 'Sujeong-dong' in Busan City)

  • 최강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5호
    • /
    • pp.16-30
    • /
    • 2016
  •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and efforts for safe residential environment from crimes nationwide. Many cities are making efforts to create safe residential environment by enacting ordinances and guidances on safe design for preventing crimes and implementing demonstration projects. In line with the trends of the times toward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s' through urban regeneration, the importance of the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CPTED) has recently emerged in the field of residential housing regeneration. Indeed, the CPTED is included as essential factor in the recent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regeneration related projects. In this resp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on the methodology of CPTED to be applied to the regeneration of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in the future. To this end, this study selected three representative CPTED projects in Busan - 'Deokpo-dong Hope and Stepping Stone Village,' 'Chilsan-dong CPTED Happiness Village' and 'Sujeong-dong Crime Prevention and Safe Village' as objects of this study and then investigated and analyzed project contents, application of CPTED strategy, subjects who are implementing projects, and the time when they implement projects as the framework of my analysi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jects that were largely based on hardware should be improved by including software in the future. Second, the current Step 2 should expand into Step 3 Maintenance in applying CPTED strategy. Third,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unit projects and subjects who are operating related pro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