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n CPTED Projects for Regeneration of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 Focused on Cases of 'Deokpo-dong', 'Chilsan-dong' and 'Sujeong-dong' in Busan City

노후주거지 재생을 위한 범죄예방 환경디자인 사업 사례연구 - 부산시 '덕포동', '칠산동', '수정동' 시행사례를 중심으로 -

  • 최강림 (경성대학교 건축디자인학부)
  • Received : 2016.07.14
  • Accepted : 2016.09.20
  • Published : 2016.10.31

Abstract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and efforts for safe residential environment from crimes nationwide. Many cities are making efforts to create safe residential environment by enacting ordinances and guidances on safe design for preventing crimes and implementing demonstration projects. In line with the trends of the times toward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s' through urban regeneration, the importance of the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CPTED) has recently emerged in the field of residential housing regeneration. Indeed, the CPTED is included as essential factor in the recent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regeneration related projects. In this resp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on the methodology of CPTED to be applied to the regeneration of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in the future. To this end, this study selected three representative CPTED projects in Busan - 'Deokpo-dong Hope and Stepping Stone Village,' 'Chilsan-dong CPTED Happiness Village' and 'Sujeong-dong Crime Prevention and Safe Village' as objects of this study and then investigated and analyzed project contents, application of CPTED strategy, subjects who are implementing projects, and the time when they implement projects as the framework of my analysi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jects that were largely based on hardware should be improved by including software in the future. Second, the current Step 2 should expand into Step 3 Maintenance in applying CPTED strategy. Third,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unit projects and subjects who are operating related projects.

Keywords

References

  1. 이경훈.강석진, 사례로 이해하는 실무자를 위한 범죄예방디자인, 초판, 기문당, 서울, 2015
  2. Timothy D. Crowe, Lawrence J. Fennelly, CPTE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셉테드 : 범죄예방설계, 한국셉테드학회 편찬위원회 역, 초판, 기문당, 서울, 2016
  3. 한국도시설계학회 홍보 안전디자인연구회 엮음, 안전디자인으로 대한민국 바꾸기, 초판, 미세움, 서울, 2015
  4. 한국셉테드학회 편찬위원회, 셉테드 원리와 운영관리, 초판, (사)한국셉테드학회, 서울, 2015
  5. 히무라 교이치(樋村恭一) 편저, 都市の防犯, 도시의 방범, 장동국 역, 초판, 기문당, 서울, 2011
  6. 경기도, 공공서비스디자인 매뉴얼, 2013.6
  7. 국토해양부, 건축물의 범죄예방 환경설계 가이드라인, 2012.3
  8. 김은희․서수정․염철호, 주민주도형 안심마을조성 시범사업 모니터링 및 운영지침 마련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4
  9. 부산광역시, 범죄예방 환경설계(CPTED) 가이드라인, 2013.7
  10. 부산광역시, 부산범죄예방 환경디자인 사업, 2014.4
  11. 부산광역시, 부산범죄예방 환경디자인 사업, 2015.5
  12. 부산광역시, 부산범죄예방 환경디자인 사업, 2016.6
  13. 서울특별시, 범죄예방 환경설계(CPTED) 가이드라인, 2013.3
  14. 인천광역시, 범죄예방 환경설계(CPTED) 가이드라인
  15. 강규진. 이경훈, 범죄예방 관점에서 본 마을만들기 디자인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논문집 계획계, 제31권 2호, 2015.2
  16. 강승영․안수미․손광호, 안전한 주거환경 조성을 위한 범죄예방 환경디자인 제안,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3권 6호, 2014.12
  17. 배용진․이석현, 색채를 활용한 구도심 셉테드(CPTED) 사례 연구, 한국색채학회논문집 제29권 3호, 2015.8
  18. 유해연․윤혜영, 일본의 노후 주거지 재생을 위한 지원정책 및 지표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8권 11호, 2011.11
  19. 이은해․강석진․이경훈, 지구단위계획에서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기법 적용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4권 2호, 2008.2
  20. 이파펀 단탐마몬․조정형, 골목마을을 위한 셉테드, 범죄예방 유도표시 디자인에 관한 연구,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제15권 1호, 2016.3
  21. 이해주․강석진․박소연․이경훈, 디자인 서울거리의 공공디자인에 대한 CPTED 적용 연구, 서울도시연구 제16권 2호, 2015.6
  22. 채인병․서승연․이경환, 안심마을 시범사업으로 인한 근린환경 변화가 동네 범죄안전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16권 6호, 2015.12
  23. 최강림, 공공디자인을 통한 주거지 도시재생 사례연구, 디자인학연구, 제24권 4호, 2011.11
  24. 최재은․정윤남․김세용, 범죄로부터 안전한 주거환경 조성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7권 3호, 2011.3
  25. 한형수․유재인․함주영, 서울시 재정비촉진지구내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의 적용방안 실증분석, 한국주거환경학회지, 제7권 2호, 2009.1
  26. http://www.spo.go.kr/busan/notice/pho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