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characteristic factor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9초

도시철도 궤도형식별 궤도 충격계수 산정을 위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valuation of Track Impact factor on the Various Track Type in Urban Transit)

  • 김재원;김만철;박용걸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82-399
    • /
    • 2011
  • Impact factor of concrete and ballast track which has been used in Korea railway was applied to equation (1+0.513V/100) from AREA. As the use of this equation, overcapacity of track design might be occurred.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impact of ballast track (well, bad) and concrete track (sleeper embeded system, rail floating and sleeper floating) by field test to analyzing dynamic effect of track structure's characteristic and wheel load on service line. In addition, it suggested a method to generate reasonable track impact factor on each track type.

  • PDF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혼입 알칼리 활성 슬래그 복합재료의 열전 에너지 수확 성능평가 (Evaluation on the thermoelectric energy harvesting performance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embedded alkali activated slag composites)

  • 박형민;양범주
    • 도시과학
    • /
    • 제9권1호
    • /
    • pp.1-6
    • /
    • 2020
  • The thermoelectric characteristics of alkali activated slag composites containing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MWCNT) was investigated in the present study. Three different MWCNT contents and exposed temperatures were considered, and their thermoelectric-related properties and internal structures were analyzed. It was found that the alkali activated slag composite with MWCNT 2.0 wt.% and the exposed temperature of 150℃ were the optimal condition to obtain the highest Seebeck coefficient and power factor. Based on the feasibility study, the extended size thermoelectric module with 130 elements was fabricated, and tested the electricity production capacity. Consequently, the present thermoelectric module produced 30.83 ㎼ of electricity at ∆T=178.4℃.

도시별 이미지 전략 요인의 경향 분석 (Trend Analysis of Strategic Factors to Promote the Image of Cities)

  • 변재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80-98
    • /
    • 2008
  • 과거 도시경관의 목표가 범국가적으로 아름다운 도시 만들기였다면, 이제는 '살고 싶은 도시 만들기' 나아가 '나만의 도시 만들기'와 같은 각기 다른 도시 만들기가 도시 이미지 전략의 목표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선진 사례들을 분석하여 도시 이미지 정책의 경향을 새롭게 정리함으로써 오늘날 우리나라 도시에 적합한 도시 이미지 개선 전략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도시 이미지는 랜드마크의 수립이나 장소 만들기, 축제, 특산품 등 다양한 전략적 수단을 통해 개선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인은 경관 생태적 요인, 역사 문화적 요인, 행정 경제적 요인으로 분류된다. 2. 우리나라 광역시들은 풍부한 재정지원을 통해 주로 산업기반 시설설치, 기업지원, 광고 및 마케팅 등의 행정 경제적 요인들을 활용하여 도시 이미지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반면, 지방 도시들은 축제와 같은 저비용으로 단기적인 효과가 가시적으로 나타나는 수단만을 주로 활용하고 있다. 결국 축제 본연의 취지와는 달리 특별한 경쟁력이나 지역 정체성의 반영 없는 단순한 흥미 위주의 프로그램만을 되풀이하고 있기 때문에 중앙정부 차원에서의 전체적인 마스터플랜 수립과 이를 기초로 지역적 균형을 고려한 고유의 다양한 도시 이미지 전략수단 마련이 요구된다. 3.서구의 주요 도시들은 시대적 변화에 맞추어 고유의 정체성을 살린 자체적인 도시 이미지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함으로써 도시 이미지를 한층 업그레이드 하고 있다. 한편, 일본은 다른 구미의 선진국들과 달리 오랜 역사를 기반으로한 고유의 전통 문화를 도시 이미지 전략의 핵심 키워드로 구축하여 다양한 전통축제 및 마을가꾸기 등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자치단체의 기획안에 따라 적극적인 주민들의 호응과 참여 속에서 구미 도시와는 다른 독특한 도시브랜딩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오늘날 소득 20,000달러 시대를 여는 시점에서 우리나라도 과거 선진사례에 대한 무비판적인 수용보다는 '한국다움'을 찾아내고 이를 토대로 하는 개성있고 다양한 도시 이미지를 확립하여야 할 것이다.

국내유역의 수질지수 적합성 평가 (Assessment of water quality index suitability of domestic watersheds)

  • 이상웅;조부건;김영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5권5호
    • /
    • pp.371-381
    • /
    • 2022
  • 지류 하천은 본류에 비해 수질 변동성이 심하므로, 지류하천에 대한 효과적인 수질관리를 위해서 단일 수질 항목에 의한 평가보다 다항목의 영향을 고려한 종합적인 평가 방법이 도입되고 있으나 유역 특성이 고려되지 못하는 한계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탄강 중권역을 도시화율 및 가축분뇨 발생량, 산업폐수 배출량으로 도시 유역과 비도시 유역을 분류하고 수질 특성 분석 및 CCME WQI, RTWQI, NSFWQI 산정을 통해 유역 특성별 수질지수의 적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수질지수 산정시 사용되는 수질항목이 수질지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요인분석을 활용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CCME WQI와 TC, FC의 관계가 도출되었으며, 도시 유역에서 RTWQI와 DO, SS, 비도시 유역에서 NSFWQI와 FC의 관계가 나타났다. 하천생활환경기준 항목인 BOD, T-P 등급과 수질지수 비교를 통해 적합성을 평가하였을 때 도시 유역에서는 수질지수의 적합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도시 유역에서 RTWQI를 활용한 종합적인 수질 평가가 가능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효율적인 하천관리를 위한 하천생태 특성을 고려한 유형 분류 - 낙동강수계를 대상으로 - (Stream Classification Based on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for Effective Stream Management - In the Case of Nakdong River -)

  • 이유경;이상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103-11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classifying stream into different types depending on various factor from the perspective of stream corridor restoration and using it as basic data, which are used to consider efficient management and planning for the healthy stream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by types. In this study, 130 points of location of the Nakdong river basin which consist of various geographic factors have been chosen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in these points by using biological and physiochemical factors whose health can be considered to be predicted and evaluated.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there were three divided types. Type A whose biology and water quality are considered the best was the highest in forest area percentage so that it was classified into natural stream. Type B was classified into a rural region stream with a mixture of urban and agricultural region. Type C, with the most damaged water quality and biology health had the most urban region surface area and was named as urban region stream. Moreover, an overall restoration strategy according to characteristic by stream types was set. By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on factors, water quality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biological properties and was affected by surrounding land usage. In evaluation of streams, it proves the need to consider not only other habitat's geographical and biological factors but also the water quality and land usage factors. There needs to be further research on stream ecosystem functionality factors and structural aspects by using a more objective and total evaluation result in selecting additional index and various other specific classification methods by stream types and its restoration strategies.

흐름 경사면의 경사도에 따른 토석류 흐름의 특성 분석 (Analysis of Characteristic of Debris Flow with Angle of Slope)

  • 이준선;송창근;이승오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49-56
    • /
    • 2016
  • In Korea, there exist many mountains, and sudden storms occur during the summer season. When severe rainstorm events occur in steep slope topography, risk of debris flow is increased. Once debris flow occurs in urban area, it may cause casualties and physical damages due to rapid debris flow velocity along a steep slope. Accordingly, preventing method of sediment-related disaster for demage mitigation are essential. Recently, various studies on debris flow have been conducted. However, the prediction of the physical propagation of debris flow along the steep slope was not thoroughly investigated. Debris flow is characteriz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topography, properties of debris flow, amount of debris flow. In the study the numerical simulation was focused on the topographic factor. Fundamental analysis of the risk area was implemented with emphasis on the propagation length, thickness, and the development of maximum velocity. The proposed results and the methodology of estimating the structural vulnerability would be helpful in predicting the behavior and the risk assessment of debris flow in urban area. These results will be able to estimate the vulnerability of urban areas affected the most damage by debris flow.

Field monitoring of boundary layer wind characteristics in urban area

  • Li, Q.S.;Zhi, Lunhai;Hu, Fei
    • Wind and Structures
    • /
    • 제12권6호
    • /
    • pp.553-574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of wind speed and atmospheric turbulence data measured from more than 30 anemometers installed at 15 different height levels on 325 m high Beijing Meteorological Tower and is primarily intend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boundary layer wind characteristics for wind-resistant design of tall buildings and high-rise structures. Profiles of mean wind speed are presented based on the field measurements and are compared with empirical models' predictions. Relevant parameters of atmospheric boundary layer at urban terrain are determined from the measured wind speed profiles. Furthermore, wind velocity data in longitudinal, lateral and vertical directions, which were recorded from an ultrasonic anemometer during windstorms, are analyzed and discussed. Atmospheric turbulence information such as turbulence intensity, gust factor, turbulence integral length scale and power spectral densities of the three-dimensional fluctuating wind velocity are presented and used to evaluate the adequacy of existing theoretical and empirical model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files of mean wind speed and atmospheric turbulence characteristics over a typical urban area.

가로 활성화 요인으로서 가로환경디자인 분석을 위한 패턴 언어에 관한 연구 - 인사동길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Pattern Language for Street Environmental Design Analysis as the Vitalization factor of Street - Case study based on Insadong Street)

  • 이훈길;이주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147-8156
    • /
    • 2015
  • 본 논문은 가로 활성화를 위한 가로환경디자인 분석으로 인사동길의 패턴 언어를 분석한 것이다. 보행자 가로, 공원, 광장과 같은 도시 공공공간은 급속한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하여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만족하는 공간은 많지 않다. 이는 사람과 공공공간의 공간적 질에 대한 충분한 고려없이 형식적인 공급과 관리 방향에만 치중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크리스토퍼 알렉산더의 패턴 언어를 적용하여 인사동길의 분석을 통하여 활력이 넘치고 다양한 거리를 만들고, 지역의 특성을 부여하는 요소들을 찾는 것이다. 그러므로 시대별로 변화되어온 도시 가로환경의 가치인식 변화를 통하여 공공공간의 공간적 특성을 선별하고, 각각의 공간적 특성에 적합한 패턴 언어를 선별하여 가로환경디자인 분석을 위한 기준을 마련한다. 연구결과, 인사동길을 중심으로 패턴 언어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거리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패턴 언어는 보행자 거리(100), 건물의 정면(122), 활동의 결절점(30) 등 16개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패턴 언어를 통하여 인사동길의 가로환경디자인 분석에 초점을 맞추고 가로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가이드라인과 평가 기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도시지역과 군지역에 위치한 공공도서관의 자료이용 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 경남지역 4개 공공도서관의 대출기록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f the Use Characteristic of Public Library Collection in Urban and Rural Areas: Focused on the Circulation Data of Four Libraries in the Gyungsangnam-do Province)

  • 유경종;박일종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9-5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경남지역의 도시지역에 위치한 2개의 공공도서관과 군지역에 위치한 2개의 공공도서관을 표본으로 선정하고 2007년의 대출기록을 수집하여 엑셀과 SPS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각 도서관별로 장서유형, 대출빈도, 주제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도시지역과 군지역 공공도서관을 비교하기 위해 이를 다시 4개 도서관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데이터에서는 관계변수로 대출책수와 대출횟수, 이용지수, 출판경과년수를 추출하여 기술통계와 상관계수, 교차분석 등의 다양한 통계적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부산시 도심기능의 유형별 도심재생에 관한 연구 (City Center Regeneration on City Center Function Type in Busan)

  • 김흥관;여성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74-182
    • /
    • 2008
  • 도심공동화를 조사 분석하여 그에 적합한 도심재생방안을 부산시의 특성을 고려하여 제시할 것이다. 도심의 기능별 지역을 알기위해서 부산시의 도심(축)에 속하는 15개 동과 부도심에 속하는 12개동을 대상으로 도심의 공간적 특성과 도심공동화현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들 지역에 22개의 변수를 선택하여 요인분석을 사용하였다. 그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요요인은 4개 나타났으며, 누적 설명력은 80.4%로 높게 나타났다. 이들 요인은 주거적 요인, 상업적 요인, 관리적 요인, 도심의 발전(쇠퇴) 요인을 설명하는 성분으로 나타났다. 도심(축)에 속하는 지역에서 주거적 기능의 공동화가 보이며, 부도심에서는 상업적 기능과 관리적 기능의 공동화가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전체적인 기능별 도심공동화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므로 종합적인 도심재생방안의 모색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겠다. 그리고 도심의 지역별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지역별 특성에 부합되는 도심재생방안이 수립되어야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