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Water Cycle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35초

어린이·청소년의 비스페놀 A 인체 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제3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2015-2017) (Factors Affecting on Human Exposure to Bisphenol A in Children and Adolescents: Korean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 (KoNEHS) Cycle 3, 2015-2017)

  • 정선경;신형호;박상신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87-100
    • /
    • 202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Bisphenol A (BPA) exposur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using the results of the Korean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 (KoNEHS) cycle 3. Methods: A total of 2,380 subjects (n=571, 887, and 922 for 3-5, 6-11, and 12-17 years of age, respectively) were analyzed using an environmental exposure survey and environmental chemical substances concentration levels. Univariab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associated variables such as sex, age, income level, housing type, secondhand smoke time, cup noodles and canned food consumption, seafood consumption, new furniture (within the previous six months), drinking water type, and consumption of herbal medicines. Variables with p-values of less than 0.2 were extracted from the results and a multivariab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tepwise selection. Results: Univariab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showed positive associations between BPA concentration levels and variables including sex, age, secondhand smoke time, new furniture (within the previous six months), renovated living space (within the previous six months), fish and shellfish consumption, plastic-bottled drink consumption, and herbal medicine. As a result of performing multivariab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lower was the age the higher was the concentration of BPA levels. Additionally, women showed higher BPA levels than those of men. The more frequently fish was consumed, the higher was the BPA concentration. Moreover, higher BPA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when taking herbal medicine. Conclusions: The main factors affecting BPA concentration levels were age, gender, and consumption of fish and herbal medicine.

도시 물 순환 건전성을 위한 유수지와 침투기반 저류지의 복합설계기법 (An Hybrid Approach for Designing Detention and Infiltration-based Retentions to Promote Sound Urban Hydrologic Cycle)

  • 최치현;최대규;이재관;김상단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8
    • /
    • 2011
  • 본 연구는 도시환경개선계획의 일환으로서 강우유출수 제어설비의 크기 결정과 관련된 복합 설계기법을 제안하고 있다. 제안된 복합설계기법의 목적은 도시 개발이전의 수문순환상태를 복원시키는 것에 있다. 먼저, 연속적인 강우기록으로부터 개개의 강우사상을 분리하기 위해 IETD를 결정한다. 그 다음에 NRCS-CN 방법을 적용하여 모든 강우사상에 대한 직접유출량과 침투량을 산정한다. 직접유출량과 침투량의 장기간 통계치는 개발이전, 개발이후, 개발이후 유수지 설계, 그리고 개발이후 제안된 복합설계의 경우에 대하여 각각 분석된다. 개발이전의 직접유출량과 침투량을 재현하기 위해서 유전자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유수지 및 침투기반 저류지의 크기가 산정된다. 제안된 복합설계기법은 자연 상태의 직접유출량과 침투량의 통계치를 재현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이 보여진다.

기후변화시나리오와 비정상성 빈도분석을 이용한 도시유형별 목표연도 설계강우량 제시 및 치수안전도 변화 전망 (Predicting the Design Rainfall for Target Years and Flood Safety Changes by City Type using Non-Stationary Frequency Analysis and Climate Change Scenario)

  • 정세진;강동호;김병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9권9호
    • /
    • pp.871-883
    • /
    • 2020
  • Due to recent heavy rain events, there are increasing demands for adapting infrastructure design, including drainage facilities in urban basins. Therefore, a clear definition of urban rainfall must be provided; however, currently, such a definition is unavailable. In this study, urban rainfall is defined as a rainfall event that has the potential to cause water-related disasters such as floods and landslides in urban areas. Moreover, based on design rainfall, these disasters are defined as those that causes excess design flooding due to certain rainfall events. These heavy rain scenarios require that the design of various urban rainfall facilities consider design rainfall in the target years of their life cycle, for disaster prevention. The average frequency of heavy rain in each region, inland and coastal areas, was analyzed through a frequency analysis of the highest annual rainfall in the past year. The potential change in future rainfall intensity changes the service level of the infrastructure related to hand-to-hand construction; therefore, the target year and design rainfall considering the climate change premium were presented. Finally, the change in dimensional safety according to the RCP8.5 climate change scenario was predicted.

그린인프라 기반 빗물 관리를 위한 설계강우량별 강우-유출저감 효율성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rainfall-runoff reduction efficiency on each design rainfall for the green infrastructure-baesd stormwater management)

  • 김병성;김재문;이상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5권8호
    • /
    • pp.613-621
    • /
    • 2022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를 겪고 있으며, 21세기 말 한반도에서 강우의 강도와 빈도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또한, 급격한 도시개발로 인해 불투수면적이 증가하여 도시 물순환 건전성이 왜곡되었다. 물순환 건전성 회복을 위해 빗물 관리기법 관련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어 빗물 관리기법의 효과는 검증되었지만 도시 물순환 건전성을 위해 적합한 설계 가이드라인이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빗물 관리기법의 설계 가이드라인 방법론을 제시하기 위해 부산관측소 10년 강우자료를 통해 60, 70, 80, 90 백분위수의 강우량 및 강우 지속시간별 시나리오를 설정하였다. 적절한 도시 빗물 관리를 위해 시나리오별로 그린인프라의 규모를 산정하였으며, SWMM 모형을 이용하여 장기 강우(10년)-유출량 모의를 통해 저감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그린인프라 규모별 총 유출 저감량은 13.1~52.1%로 나타났다. 빗물 관리 목표량을 설정하기 위해 데이터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 대상지역에서는 80~85 백분위수의 강우량으로 설정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Development of a Catch Basin Sump Insert to Reduce Mosquitoes

  • Kim, Dong Gun
    • 환경생물
    • /
    • 제36권4호
    • /
    • pp.554-557
    • /
    • 2018
  • A catch basin sump is one major habitat for mosquito larvae, especially in urban areas. This study developed a device for mosquito control, specifically for the catch basin sump. It consists of a housing, is a little smaller than the catch basin sump, numerous floating materials, which the key component for mosquito control, and mesh nets. The small balls or pyramid-shaped floating materials inhibit mosquito enclosures and spawning by significantly decreasing the surface area of the water, which is essential for the mosquito life cycle. These floating materials were designed to keep the water flowing. The mesh nets were installed to prevent the outflow of floating materials. The efficiency of the floating materials was tested with 3 conditions (1, 2, 3 layers of floating materials) and a control group. The emergence of mosquito adults decreased by 20% in one-layer, and 70-80% in second and third layers. Therefore, this device is expected to certainly contribute to mosquito population control in the catch basin sump.

수계별 입지특성에 따른 도시 물순환 인프라 분석 (An Analysis on the Infrastructure for Urban Water Cycle according to Location Characteristic)

  • 이상진;김병성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58-58
    • /
    • 2021
  • 물은 비, 눈의 형태로 지표면에 공급되며, 빗물이 땅속으로 침투, 저류되고 지표 및 지하흐름을 통해 강이나 바다로 유입되고 다시 증발산을 통해 순환 시스템을 이룬다. 또한, 물은 생명체의 생존에 필수적이며, 건강한 문순환 체계의 균형을 이루는 것이 안정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최근 범지구적으로 기후변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지난 50년간 도시화를 통해 수계와 임야를 제외한 전 국토에서 불투수면적이 22.4%를 차지한다(ME, 2016). 이와 같은 경향은 도시지역의 물순환 및 인프라에서 침수, 가뭄, 비점오염, 침투량 감소 등과 같은 수재해 문제의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물관리 일원화와 관련하여 다양한 정책들이 마련되고 있으며, 또한 도시개발 이전의 상태로 회복하기 위한 저영향개발 기술 및 도시지역의 현재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각 분야에 따른 지표 선정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기존 연구사례에서는 대상 도시 내 물순환 체계 회복을 중점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물순환 체계는 수계별로 상·중·하류에 따라 인구밀도, 급경사에 따른 돌발홍수, 내수침수, 우수배제 등과 같은 문제가 도시별로 상이하게 발생하며, 추후 이와 관련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 수계에서 대표적인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을 대상으로 각 도시에서는 입지특성에 따른 대응방법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써 4개의 수계로 구분하여 상·중·하류별로 위치한 도시지역의 물순환 및 인프라에 대해 분석하였다.

  • PDF

GIS, 가치공학, 그리고 생애주기비용에 의한 토지이용계획과 상수도계획의 동적인 연계 (Dynamic Combination of Land Use Planning and Water Planning using GIS, VE and LCC)

  • 김형복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0년도 학술회의 논문집 3권2호
    • /
    • pp.93-105
    • /
    • 2000
  • GIS는 속성자료와 관련하여 공간자료를 다루는데 강력한 수단이다. 그러나 GIS는 동적인 계획문제(dynamic planning problems)를 다루는데 있어서 분석기능과 인터페이스기능이 부족하다. 의사결정지원 체계(Decision Support Systems: DSS)는 그래픽사용자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기능, 모델링기능과 데이터베이스기능을 제공하여 GIS의 부족한 면을 보완한다. DSS의 새로운 분류인 공간의사 결정지원체계(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s: SDSS)는 공간차원의 문제를 취급할 시 표현기능, 기본적인 분석기능, 그리고 공간, 비공간자료 취급기능과 같은 GIS의 기능과 그래픽사용자인터페이스기능, 모델링기능, 그리고 데이터베이스기능과 같은 DSS의 기능을 통합한다. 계획지원체계(Planning Support Systems: PSS)는 SDSS의 기능에 더 진보된 공간분석기능과 시간기능을 추가한다. 이 연구에서는 GIS, 가치공학(value engineering: VE), 그리고 생애주기비용(life cycle costing: LCC)에 의한 토지이용계획에 따른 상수도관망의 용량확장을 위한 PSS의 구축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이러한 PSS는 토지이용계획에 따른 상수도 필요량을 공급하고 도시성장 규제를 위한 일련의 용량확장대안을 작성하고 도시성장에 연관되는 상수도관망의 투자에 관한 문제를 다룬다.

  • PDF

친환경 옥상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배식모형에 따른 가지(Solanum melongena)와 메리골드(Tagetes erecta) 식재효과 (Effect of Planting Patterns on the Cultivation of Eggplant (Solanum melongena) and Marigold (Tagetes erecta) for the Activation of Eco-Friendly Rooftop Urban Agriculture)

  • 박재현;서상일;오득균;윤용한;주진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17-425
    • /
    • 202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various planting models on the joint cultivation of eggplant (Solanum melongena) and marigold (Tagetes erecta)to enhance sustainable rooftop urban farming. Rooftop agriculture is increasingly valued to boost the food supply and benefit the environment. Integrating such practices into urban planning is viewed as a way to sustainably manage resources and improve the food-energy-water cycle in citie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a rooftop in Chungju, South Korea from May to August. Four different planting setups were used: central eggplant with peripheral marigold (SET), eggplant with a protective net (SIC), central marigold with peripheral eggplant (TES), and control with only eggplant (CON S). These models tested the effects of companion planting versus monoculture using a lightweight soil mix ideal for rooftops made from cocopeat and perlite and enriched with organic fertilizer. Measurements focused on soil conditions and plant health and assessed soil temperature, moisture, conductivity, plant height, width, and leaf siz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ET modelyielded the best growth. This setup benefited from marigold pest control properties and its ability to improve soil conditions by enhancing moisture and nutrient levels and aiding eggplant growth.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potential of mixed planting on rooftops and suggest that such approaches can be effectively incorporated into urban agriculture to boost yield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This study supports the idea that diverse planting methods can significantly affect plant growth and promote urban greening and food security.

빗물을 이용한 소규모 생태연못 및 습지 모형 개발 (Construction of the Ecological Pond & Wet Biotop Using Rainwater)

  • 이은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92-100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thod to spread out the ecological ponds in urban areas more effectively. It is urgent to supply the ecological ponds in more broad scope to ensure the water space in urban areas which has been dried out. It is necessary to formulate a plan for improving the amenity in the cities through creation a biotop in swampy land by building rainfall ponds. Thus, a model of the ecological pond in this study has been developed by reviewing the related researches which provide the theoretical basis and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nature for a naturally approached pond. This study has produced a ecological pond model in order to introduce and spread out damp biotop. Ecological aspects have been mainly considered in designing and building the pond model. This model consists of areas for emerged plants and bog plants and has its advantage in providing animals and insects with habitats and shelters. In addition, the model includes areas for emerged plants, which are very effective in purification of the rainfall from the rooftop.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pond, the plants were planted according to the plan, and the infiltration trench was installed beside the pond to drain out the overflow of the pon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has shown the possibility of supplying the ecological pond in small parks and in schools of the city in an easy way.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is pond system, the water cycle and the ecosystem in urban areas will be improved.

  • PDF

준시장형 SOC 공기업의 수명주기 분석과 효율적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for Life-cycle of Quasi-Market Oriented SOC Public Enterprise and Effective Management)

  • 박동선;강명수;김남정
    • 토지주택연구
    • /
    • 제6권4호
    • /
    • pp.165-175
    • /
    • 2015
  • 본 연구는 정부의 효율적인 공기업 관리정책 추진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공기업의 수명주기 단계를 파악하고 이에 기초한 정책결정이 필요하다는데 연구의 초점을 갖고 있다. 이를 위해 공기업에 적용 가능한 기업수명주기 분류변수를 정의하고 공기업 관리정책의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갖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공기업 중 최근 급격한 부채 증가로 인해 공기업 경영정상화의 대표적인 대상 기업으로 선정된 한국도로공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철도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등 준시장형 SOC 공기업을 연구범위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분류변수 간의 중요도와 적용기준 분석을 위해 1차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AHP분석과 빈도분석 등의 통계분석을 활용하여 준시장형 SOC 공기업의 수명주기 분류변수 간 중요도와 적용기준을 분석하였다. 또한, 쇠퇴기 판별을 통해 예상되는 쇠퇴기에서 관리방안을 살펴보고자 2차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들 공기업의 쇠퇴기 예상시기 및 쇠퇴기에서의 관리방법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