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Space

검색결과 2,586건 처리시간 0.03초

도시재생 패러다임에서 사회적 앵커로서의 공공도서관 고찰 - 유휴자원 재활용을 통한 공공도서관 건립 사례 분석 - (Public Libraries as a Social Anchor in Urban Regeneration Paradigm - A Case Study of Constructing Public Libraries through Renovating Under-used Spaces -)

  • 박성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33-157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도시재생 패러다임 하에서 공공도서관의 존재당위를 검증하는 것이다. 도시재생 패러다임의 맥락에서 도입된 생활SOC 정책에서 도서관은 중요하다. 왜냐하면 도서관은 사회적 앵커이기 때문이다. 사회적 앵커는 시공간에 제약된 장소에서 다양한 사람들의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집합적 정체성을 형성해 사회자본의 형성을 지원하는 공간이다. 공공도서관은 사회자본의 생산을 지원하는 기관이지만 개방과 공유, 정보평등의 사명으로 인해 경계와 소속을 강조하는 집합적 정체성이 미약하다. 공공도서관의 집합적 정체성이 어떻게 강화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시재생 패러다임 하에서 유휴자원 재활용 전략을 통해 공공도서관이 유휴자원의 장소정체성을 집합적 정체성으로 환원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유휴자원을 활용한 공공도서관 건립은 도시재생 패러다임에 입각한 사회적 앵커 형성 모델이다.

18·19세기 한양도성(漢陽都城) 안 궁묘(宮廟)의 입지와 위상 (The Location and Topology of the 'Gungmyo' in Hanyang Doseong during the 18th and 19th Century)

  • 송인호;조은주
    • 건축역사연구
    • /
    • 제21권6호
    • /
    • pp.7-18
    • /
    • 2012
  •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the location and topology of the 'Gungmyo(宮廟)' and in Hanyang Doseong(漢陽都城) during 18th and 19th century. Based on the changes of royal processions(行幸) which had been done between the Gungmyo and the Palace, the Gungmyo can be a barometer of cognition where the city center was. Hanyang Doseong was the the capital of Joseon(朝鮮) which had established by king Taejo(太祖). The city had been organized with Gyeongbok-gung(景福宮) as the center. However, after the Imjin War(1592), Gyeongbok-gung was destroyed and urban space was reorganized with Changduk-gung(昌德宮) which reconstructed first. As most kings in late Joseon dynasty had mainly stayed in Changduk-gung, lots of Gungmyos where a memorial service for king's relatives had been held were established in and around the palace and the frequency of visiting the Gungmyo varied by political purpose. Therefore, the location of the Gungmyo and the rounte of parade were important to impress on the center of urban space. In 18th century, lots of King's procession had been done with Changduk-gung as departure point. The king used to start from Donwha-mun(敦化門), and the routes included main street around Changduk-gung. It shows that the urban center focused on the east of the city. On the other hand, when the king lived in Kyeonghee-gung(慶熙宮), a secondary palace in late Joseon dynasty, the parade started from Hungwha-mun(興化門) and the urban center was expended to the west. Since Gyeongbok-gung had reconstructed in 1865, recognition scheme of urban space had changed from Changduk-gung to Gyeongbok-gung as the center. When the Gungmyo relocated western side of Gyeongbok-gung, spatial proximity of the palace and relation with facilities around downtown fed into changing the route of king's parade.

서울 도심의 공간 표상에 대한 젠더문화론적 독해 - '검경(speculum)' 으로 보며 '산보하기(fl$\check{a}$neria)' - (A Reading on the Spatial Representations of Urban Center in Seoul from Cultural Perspective of Gender : 'Fl$\check{a}$nerie' Seeing with Speculum)

  • 이수안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82-300
    • /
    • 2009
  • 이 논문은 서울의 도심을 근대성과 후기근대성이 공존하는 도시공간으로서의 문화텍스트로 상정하고 젠더문화연구의 관점에서 독해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물리적 공간과 사회적 주체 간의 관계가 어떻게 형성되어 왔는지를 주요 논제로 상던 기존의 도시사회학과 인문지리학적 논의를 배경으로 하여, 근대성이 관철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형성된 서울이라는 도시 공간의 성별적 표상과 공간의 성별 분할을 파악하였다. 이미지성과 가독성을 중심으로 한 서울의 공간적 해석의 분석틀은 성별분업과 영역의 이분법, 여성성/남성성의 이분법적 재현. 그리고 근대성과 후기근대성이 이들과 조응하고 교차하는 방식 등으로 구성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Benjamin의 '산보하기(fl$\check{a}$nerie)' 의 도시문화 해석과 음미의 방식은 수용하되 이를 페미니스트 문화독해 방식으로 전화하여 은유적 방법론으로 차용하기 위하여 lrigaray의 '검경(speculum)으로 들여다보기'를 도입함으로써 도시공간분석의 새로운 해석적 방법론으로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도시 녹지공간 식생 모니터링을 위한 무인항공기 활용방안 (Application of UAV for Vegetation Monitoring in Urban Green Space)

  • 송원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1-72
    • /
    • 2019
  • With the diversification of research using UAV(Unmanned Aerial Vehicle)s, the possibility of remote sensing research for urban green spaces is increasing. UAVs can be used as an investigation method to monitor the successful construction of the park and the planting of vegetation since its crea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UAVs utilization of urban green space monitoring in Dosol Square. It was photographed three times on May 21, July 13, and September 16, 2018 using DJI Phantom3 pro, Inspire2, and Parrot Sequoia multispectral camera. Orthographic images were overlaid on the planting plan of the site and the construction results were checked, the change of vitality of the plantation area was analyzed by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and SAVI(Soil Adjusted Vegetation Index).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UAVs are very effective for surveying the view of the urban green space after the construction and recording the results, which can be grasped quantitatively by overlaying the planting plan map. UAVs are more likely to be used in terms of monitoring vegetation vitality. It is interpreted that SAVI is better than NDVI in the green space just after composition. Chionanthus retusus and Pinus strobus were analyzed for their low level of vitality, and partially damaged and their vitality was lowered. In addition, there was difficulty in grass planting area and flower garden due to drainage and summer drought problem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orthoimage and multispectral data using UAVs will be useful in the early vegetation monitoring and management field of urban green spaces.

지방 항구도시의 토지이용 변화에 관한 연구 - 전라남도 여수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hanges of Land Use in the Local Port City - Focused on Yeosu in Jeonnam Province -)

  • 정금호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9-16
    • /
    • 2023
  • This study is on the formation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urban space by referring to the literature in Yeosu where is the important location in logistics & transportation and maritime sinc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re are many factors and results of the development process in Yeosu by the opening port, railroads, loads and indus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on process of urban spa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space in Yeosu. The results are as follow; The urban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in Yeosu where was a small fishing village in the 1910s is largely divided into four processes. Formation: the population increased due to constructions such as of a railroad, a port, and roads and there were many reclamations around the center of the old city center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tagnation: There was no urban development due to stagnation, war, and the Yeo-sun Incident. Expand: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Yeocheon Industrial Complex and Gwangyang Steel and other areas around Yeosu led to a surge in Yeosu's population. To cope with this, the city was expanded through three land readjustment projects and the development of large-scale residential complexes. Decline and Remodeling: Yeosu's urban space declined due to the decline of fisheries and the decrease in marine and railway logistics. And the expansion and improvement of the transportation network for hosting the Yeosu World Expo increased the accessibility of the old city center, transforming it into a tourist city using cultural heritage and nature.

공원녹지기본계획의 운영체계 및 계획내용에 관한 연구 - 런던, 뉴욕, 베를린, 시드니, 서울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Operational Systems & Planning Contents of Parks & Green Space Plan - Focused on London, New York, Berlin, Sydney, Seoul -)

  • 채진해;조경진;김승주;허윤경;황주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91-102
    • /
    • 2014
  • 최근 도시정책에서 도시공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확대되고 있다. 좋은 도시공원체계 확보를 위해서 공원정책 및 계획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세계 주요도시의 공원녹지 관련 계획의 운영체계와 계획내용을 비교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도시적 차원에서의 공원녹지기본계획의 운영체계 및 계획내용에 관한 비교연구이다. 연구대상지로는 영국 런던, 미국 뉴욕, 독일 베를린, 호주 시드니, 국내 서울을 선정하였고, 분석자료는 각 도시별 공원녹지 관련 기본계획 및 전략보고서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의 틀은 운영체계와 계획내용으로 구분하여 설정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원녹지계획을 관련자원과 연계된 오픈 스페이스 계획으로 수립함으로써 자원의 통합적 관리 및 형평성에 대한 실천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둘째, 공원녹지계획이 초기의 양적 공급에서 질적가치의 향상으로 더 나아가 재활성화 및 재생에 이바지하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다. 셋째, '공급중심의 계획'에서 '수요에 기반한 평가' 모델로 전환함으로써 인구학적 변화, 트렌드 변화, 선호도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계획 모델로 수립되고 있다. 넷째, 계획의 주체, 수립단계별 참여 기회 확대, 참여구성원의 다양화를 통해 수동적 참여에서 적극적 참여계획으로 전환되고 있다. 공원녹지기본계획의 실천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공원녹지에 관한 새로운 인식변화를 적극 수용하고, 공원 거버넌스를 수용을 도입하며 상황에 기민하게 대응하는 유연한 계획접근이 필요하다.

도시 오픈스페이스 방문동기 및 만족도 연구 - 서울시 하천변 오픈스페이스를 중심으로 - (A Study on Visitor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Urban Open Space - In the Case of Waterfront Open Space in Seoul -)

  • 조경진;김용국;김영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27-40
    • /
    • 2014
  • 도시 오픈스페이스는 다기능적 공간으로서 시민들의 휴식 및 건강, 자연경관 감상은 물론 예술 문화적 체험과 도시관광 및 마케팅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그러나 현대 도시 오픈스페이스의 역할과 기능에 비해 이에 대한 담론과 연구는 미진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주민은 물론 관광객 등의 원거리 이용 수요가 있는 서울시의 4개 하천변 오픈스페이스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방문동기 요인을 도출하고, 오픈스페이스의 공간 특성 및 이용행태에 따라 방문동기와 만족도가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지는 청계천, 서울숲, 선유도공원, 반포한강공원을 선정하였고, 조사방법으로는 관찰조사, 문헌조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18.0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 오픈스페이스의 방문동기 요인은 크게 커뮤니티성, 자연성, 문화교육성, 디자인 심미성, 일상탈출성 등 5개로 구분되었다. 둘째, 방문동기 요인 중 커뮤니티성, 자연성, 디자인 심미성은 오픈스페이스별 경관, 집객시설 및 프로그램, 편의시설, 주변지역 특성 등의 공간 특성에 따라 방문객들의 지각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문객 거주지로부터 오픈스페이스까지의 거리에 따라 방문동기를 지각하는 데 있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거리의 방문객은 오픈스페이스의 자연성을, 도시관광객 등 원거리 방문객은 디자인 심미성을 주요 방문동기 요인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넷째, 도시 오픈스페이스 방문객들의 방문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공통적인 방문동기 요인은 자연성, 디자인 심미성, 일상탈출성으로 나타났고, 오픈스페이스별 공간 특성에 따라 방문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방문동기 요인에는 차이가 있었다. 종합해 보면, 도시 오픈스페이스는 휴식 및 운동 등의 단순한 체험을 넘어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와 결합한 하이브리드 공간으로서 심미적 욕구, 유대감 형성 및 강화, 문화 및 교육, 엔터테인먼트 등의 요인들이 방문동기로서 작용하며, 이들 요인이 전체 방문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표하는 도시 하천변 오픈스페이스가 방문객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가를 조사 및 분석함으로써 지자체 입장에서는 매력적인 도시 오픈스페이스 창출을 위한 조성 정비는 물론 운영 관리 과정에 활용할 수 있으며, 오픈스페이스 계획 및 설계가 입장에서는 지역 여건에 부합하는 도시관광 및 마케팅적인 기능을 시설배치 및 공간프로그램 구상 과정에 적용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시티 도래에 따른 도시민 생활양식 변화가 도시공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Changes in Lifestyle on Urban Space with the Advent of the U-City)

  • 이진희;신동빈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0권5호
    • /
    • pp.37-47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유시티에 따른 생활양식 및 도시공간의 변화를 분석하여 이를 반영한 도시 정책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유시티에서의 도시공간 변화 분석에 있어서는 도시민 설문조사를 통한 생활양식 변화를 예측하여 추론하는 행태적 접근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도심을 주요 활동공간으로 하는 도시기능에 있어 통행량 및 이용의 감소와 입지 선호도의 변화로 도심 집중화 약화와 도시의 외연적 확산이 예상되었다. 개별 용도에 있어서는 통행량과 이용의 감소에 따라 규모나 개수가 축소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기존 공간의 재편에 있어서는 특히 공공공간에 있어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도시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 공간으로의 변화가 전망되었다. 앞으로 유시티가 정착하면 도시의 공간구조와 시설별 수요가 도심과 비도심에 따라 변화가 예상되므로 이를 반영한 도시계획이 필요하다. 동시에 효율적이고 유연한 도시공간이 조성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되어야 한다.

도시공원의 조명효과별 이용만족도 (User´s Satisfaction in Urban Parks by the Effects of Illumination)

  • 최연철;김진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4-52
    • /
    • 2001
  • This study performed factor analysis for 21 independent variables related to the effect of illumination and suggested the effect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 of illumination and the satisfaction of use of a dependent variable to find the effect of illumination in urban parks at night and the effect of illumination on the satisfaction of 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Of the 21 independent variables used to study the effect of illumination in urban parks at night, the impact on safety and possibility of crime was highly. The effects of illumination by factor analysis were abstracted as effects of removing anxiety, securing safety, increasing use. 2)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ependent variables influencing satisfaction of use in urban park were proved as effects of removing anxiety, securing safety, increasing identity, preparing atmosphere and increasing use. Also, the effect of securing safet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t showed a level of importance 2 times higher than the effect of removing anxiety, and 7.7 times higher than the effect of preparing atmosphere in relative contribution of the effect of illumination to satisfaction of use. 3) Of the effects of illumination influencing satisfaction of use in urban parks, the effect of securing safety and the effect of increasing visibility were more significant than the effects of removing anxiety, preparing atmosphere and increasing use. This fact means that personal safety an the identity of persons or facilities in the space of use should be considered with priority in planning or designing illumination. Also, it implies hat, for night use in urban parks, lightness of the space is required for general safety of use at parks, and proper illuminance on the activity in the space of use should be required. The subject parks of this study are 8 urban neighborhood parks. The model on the effect of illumination and the satisfaction of use depends on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s of location of he park and user class, so the subject parks and persons should be varied, and the difference by sex or ages should be suggested.

  • PDF

울산시 도시근린공원의 실태와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ual States and the Use Behaviors of Urban Neighborhood Parks in Ulsan)

  • 전창미;김선중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 /
    • pp.115-119
    • /
    • 2003
  • The green space become more important in the city. It is shown as the urban neighborhood park. But the current problem of urban neighborhood parks planning in Ulsan is uniform without reflecting area's characterist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planning methods of urban neighborhood parks by surveying characteristic of each urban neighborhood parks in Ulsan actual states and use behavio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