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Planning Statistical System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2초

공간통계모형을 이용한 소규모 도시 형태 변경에 따른 소음도 예측 (Road Traffic Noise Simulation for Small-scale Urban Form Alteration Using Spatial Statistical Model)

  • 류훈재;전범석;박인권;장서일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284-290
    • /
    • 2015
  • Road traffic noise is closely related with urban forms and urban components, such as population, building, traffic and land-use, etc. Henc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noise exposure problem depending on how to plan new town or urban planning alteration. This paper provides ways to apply for urban planning in consideration of noise exposure through road traffic noise estimation for alteration of small-scale urban form. Spatial autoregressive model from the former study is used as statistical model for noise simulation. The simulation results by the spatial statistical model are compared with those by the engineering program-based modeling for 5 scenarios of small-scale urban form alteration. The error from the limitation of containing informations inside the grid cell and the difficulties of reflecting acoustic phenomena exists. Nevertheless, in the stage of preliminary design, the use of the statistical models that have been estimated well could be useful in time and economically.

도시계획정보체계 개발모델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Model of Urban Planning Information System)

  • 염형민;이승일;전유신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0권1호
    • /
    • pp.77-92
    • /
    • 2002
  • 도시의 무분별한 개발과 성장으로부터 도시공간의 보전과 이용의 조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합리적이고 투명한 도시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를 수용하며 조화로운 공간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도시공간내 토지이용에 관한 계획수립체계가 변화되고 보다 강화되었다. 그거나, 강화된 도시계획수립체계가 순기능적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도시공간에 환한 다양한 정보를 신속하게 수집, 정리, 분석하여 도시의 현황과 문제점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도시계획 분야에서의 이리한 요구와 수요는 다양한 정보를 신속 정확, 편리하게 수집하여 수집된 정보를 체계적으로 분석, 관리하고 이를 공간상의 분포현황 등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G[S관련 정보기술의 발달로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계획법을 근거로 하여 도시계획분야에서의 정보화 요구와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도시계획정보체계의 기본구상을 제시하고, 최근 GIS관련 정보기술동향을 활용한 도시 계획정보체계의 개발모델을 제안하였다.

  • PDF

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DB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Database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Unexecuted Urban Planning Facilities)

  • 김광열;김신혜;백태경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11
    • /
    • 2020
  • 본 연구는 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의 분류를 위한 분석을 수행하고, 분류된 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의 공간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지속적인 관리와 운영을 위한 국토정보를 구축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밀양시를 대상으로 도시관리계획 현황, 한국토지정보시스템(KLIS)의 주제도와 지적도, 위성사진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주제도의 도시계획시설 레이어와 위성사진, 지적도의 연속지적 레이어와 분류·가공된 소유자 속성정보를 결합하여 도시계획 시설의 집행 및 미집행에 대한 정성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미집행된 시설은 위성사진상 현황도로 또는 조성된 시설이 없고, 사유지가 대부분으로서 미집행 시설로 도출하였다. 또한, 현황도로가 개설되어 있으나, 사유지가 일부 포함된 시설은 일반공중의 교통에 공용함으로써 지자체가 사실상 지배주체로서 인정되어 집행된 시설로 도출하였다. 도출된 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은 도형데이터의 레이어로 구분하고, 미집행 관련 속성데이터를 구성함으로써 미집행 현황과 통계적 내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 가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의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분석과 신뢰성 있는 공간정보 구축을 위해 GIS 기법을 도입한 분석 방안을 제시하였고, 기운영중인 시스템과의 연계 및 정보의 이용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도시주부의 가치유형과 계획행동유형 및 가정생활만족도 (Value Patterns Planning Styles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of Urban Homemakers)

  • 황덕순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4권4호
    • /
    • pp.203-218
    • /
    • 1996
  •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omponents of home management system. Through this it make to explain relationship between values and planning exactly and partially to test empirically system model to home management 650 housewives were adapted as data. Cluster analysis \chi$2 and ANOVA were used as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e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Goal-centered planning level was higher than that of resource-centered By 2 plannings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4 planning styles : active morphogenic resource-reorganized demand-reorganized passive morphostatic style. 2) A difference between terminal value patterns and planning styles was no significant but a difference between instrumental value patterns and planning styles was significant. Family life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not value patterns but planning styles. Because of high family life satisfaction as output of management active morphogenic style was successful. For succ ssful planning, it was suggested that homemarkers should possess values related broadminded loving and forgiving.

  • PDF

도시지역에서의 녹지상실의 환경적 경제적 효과 (The Environmental and Economic Effects of Green Area Loss on Urban Areas)

  • 김재익;여창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0-29
    • /
    • 2006
  • 토지이용의 전환에 따른 기후의 변화와 토지가격의 변화를 파악하는 것은 도시민의 후생수준과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그러나 도시특성에 관한 정보가 부족하여 활발하게 연구되지 못하였다. 이제 원격탐사를 통한 위성영상의 구득이 쉬워졌고 또 통계청이 기초단위구 자료를 구축함에 따라 이 분야의 연구가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도시지역의 비도시용 토지가 도시적 용도로 전환됨에 따라 표면온도와 토지가격의 측면에서 어떠한 변화를 유발하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녹지 및 농경지로 사용되던 토지가 공업용토지로 전환된 경우 가장 큰 표면온도의 상승을 초래하였고 상업용지와 단독주택지가 그 뒤를 이었다. 식생지수의 변화도 표면온도의 변화와 비슷한 변화를 보였다. 토지가격의 전환측면에서는 상업용토지로 전환될 경우 가장 큰 가격상승을 초래하였고 그 뒤를 이어 주거지 공업용지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도시지역의 토지이용의 전환은 표면온도를 상승시킬 뿐 아니라 토지가격도 상승시켜 사회적 부담을 주지만 그 혜택은 사회구성원 중 극히 일부에 한정되는 문제가 있다. 도시정책과 관련된 정책결정권자 및 계획가는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 도시성장관리 정책의 확립 등 보다 효과적인 정책수단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수요자 중심의 도시계획정보체계 개선방안 (A Study on Analysis and user-friendly Improvement Plan for Urban Planning Information System)

  • 이세원;강지훈;김흥철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8권2호
    • /
    • pp.153-170
    • /
    • 2018
  • 본 연구는 도시계획정보체계(UPIS)의 활성화를 위해 시스템 및 이용자 현황 분석으로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도시계획정보체계(UPIS)는 공간정보를 도시계획이나 행정 분야에서 활용하기 위해 2003년부터 시범 및 확산사업을 거쳐 전국 지자체에 배포되어왔다. 본래의 목적은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하여 계획수립을 지원하고 과학적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나, 현재는 "토지이용규제 기본법"에 근거를 두면서 토지이용과 관련된 지역 지구 등의 지정과 관리에 관한 사항을 주 업무로 하고 있다. 따라서 도시계획정보체계(UPIS)는 법에서 정한 상위 개념인 국토이용정보체계 내 용도지역지구정보의 생산(입안절차) 및 관리를 담당하고 있으나, 그 쓰임에 있어 정체성이 모호하고 활용률이 저조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러한 연구배경에서 본 연구는 (현(現))UPIS 표준시스템의 활성화를 위해 이를 사용하는 수요자를 대상으로 방문 및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의견을 취합하고, 4가지 측면(업무프로세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대민서비스)에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요약하면, 법적 상위 개념인 국토이용정보체계 내 각 개별 시스템들이 존재하나 이들은 모두 유사 또는 동일한 자료를 공유하며 연계된 업무 흐름을 갖고 있으니 도시계획정보체계(UPIS)를 중심으로 업무프로세스를 재정의 하고 이에 따라 데이터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DB 현행화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The Impact of a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on Urban Teachers' Lesson Planning Using Urban Geologic Sites

  • Nam, Youn-Kyeong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74-484
    • /
    • 2011
  • This study presents how a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PD) of K-12 teachers affects participants' use of the earth system approach and their perceptions of using the urban environment for their science teaching and lesson unit development. This study utilized mixed methods to collect and analyze the data. Eleven urban teachers' pre-post lessons (45 lessons)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using a lesson plan analysis tool, modified by the author, and their lesson reflection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PD program influences the teachers to choose more topics and content knowledge based on the earth system approach and to assess the topics and content knowledge with more appropriate methods. Specifically, the teachers use more urban environmental factors/topics in their post lesson to teach the environmental topics of urban area. However,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analysis of pre-and postlesson plan scores, the accuracy of the earth system knowledge that participants used in their lesson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p<0.05) (Table 4), which means that the PD program did not affect the improvement of the teacher's content knowledge in earth system scienc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가구통행실태조사 데이터를 이용한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통근시간에 미치는 영향 비교 분석 (Analysis of Impact on Commuting Behavior in Urban and Rural Areas using Travel Diary Survey Data)

  • 전정배;박미정;김상민;김솔희;권성문
    • 농촌계획
    • /
    • 제25권3호
    • /
    • pp.77-87
    • /
    • 2019
  •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commuting time and modes in urban and rural areas using household traffic survey data. The findings indicated that commuting time using passenger car in rural areas was 1.6 times longer than those in urban areas. When citizen use public transportation, however,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in commuting time in urban and rural areas. Among the various factors affecting commuting time in rural areas (13 factors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were that public transportation, managers and office workers, functional and device managers, and passenger car. In urban areas, the highly influential factors were public transportation and walking among the 16 affecting factors which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commuting time in rural areas increased according to the occupation types, but the commuting time of full-time workers decreased. This phenomenom means that occupation groups with the full-time system prefer residential areas in the densely populated town.

도시 공간구조 진단을 위한 도시 중심지의 경계 설정 및 영향력 측정에 관한 연구 (Defining boundaries of urban centers and measuring the impact for diagnosing urban spatial structure )

  • 김호용;김지숙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2-66
    • /
    • 2024
  • 본 연구는 공간구조의 체계정립 및 계획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도시기본계획에서 설정된 도시 중심지의 경계를 설정하고 중심지의 역할과 위상을 진단함으로써 중심지의 공간 체계와 특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통해 중심지의 특성을 나타내는 4개의 지표를 선정하였고 지리적 경계 분석에 강점이 있는 공간통계기법으로 중심지 경계를 도출하였다. 또한 도출된 중심지 경계를 활용하여 각 중심지가 부산광역시 공간구조에서 가지는 영향력과 잠재력을 진단하기 위해 중심지 특성 지표와 인구잠재력 함수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중심지에 따라서 규모의 차이가 크게 발생하였으며, 용도지역상 상업지역이 활성화되지 않은 미활용지역과, 상업지역을 넘어 주거·공업지역으로 확산되는 확장지역이 도시 중심지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중심지의 흡인력을 나타내는 잠재력 측정 결과에서도 인구잠재력이 강한 지역과 약한 지역이 나타났다. 따라서 중심지 기능 강화를 위해서는 중심지 위계특성과 영향력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체계적인 관리 및 계획적인 육성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결과는 지속가능한 도시성장체계 구축과 균형발전 및 중심지 기능 강화를 위한 역세권개발계획 및 공간혁신구역과 함께 미래의 다양한 도시계획 수요와 정책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공간통계모형을 이용한 도로 소음과 도시 구성 요소의 관계 연구 (The Spatial Statistical Relationships between Road-traffic Noise and Urban Components Including Population, Building, Road-traffic and Land-use)

  • 류훈재;박인권;장서일;전범석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348-356
    • /
    • 2014
  •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oad-traffic noise and urban components such as population, building, road-traffic and land-use, the city of Cheongju that already has road-traffic noise maps of daytime and nighttime was selected for this study. The whole area of the city is divided into square cells of a uniform size and for each cell, the urban components are estimated. A spatial representative noise level for each cell is determined by averaging out population-weighted facade noise levels for noise exposure population within the cell during nighttim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presentative noise level and the urban components is statistically modeled at the cell level. Specially, we introduce a spatial auto regressive model and a spatial error model that turns out to explain above 85 % of the noise level. These findings and modeling methods can be used as a preliminary tool for environmental planning and urban design in modern cities in consideration of noise expos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