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Decline Indicators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38초

지역쇠퇴 유형별 의료이용행태 영향요인: 도시쇠퇴 지표와 의료취약지 지표를 활용하여 (Factors Influencing Medical Care Utilization according to Decline of Region: Urban Decline Index and Medical Vulnerability Index as Indicators)

  • 정지윤;정재연;윤인혜;최화영;이해종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05-215
    • /
    • 2022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infecting the medical care utilization from a new perspective by newly classifying the categories of administrative districts using the urban decline index and medical vulnerability index as indicators. Methods: This study targeted 150,940 people who used medical services using the 2015 cohort database (DB), 2010-2015 urban regeneration analysis index DB, and 2014-2015 public health and medical statistics DB. The decline of the region was classified using the urban decline index typed using k-means clustering and the medical vulnerability index typed using the quantile score calculation.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3 times with medical expenditure, length of stay, and the number of outpatient visits as dependent variables. Results: There were 37 stable region (47.4%), 29 health vulnerable region (37.2%), and 12 decline region (15.4%). The health vulnerable region had lower medical expenditure, fewer outpatient visits, and a higher length of stay than the stable region. The decline region was all higher than the stable region but had no significant effect. Conclusion: The factors that cause the health disparity between regions are not only factors related to individual health behavior but also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local community.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ystematic alternative that properly considers the resources within the community and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도시재생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 시군구단위 쇠퇴진단시스템 구현을 중심으로 - (Total Information System for Urban Regeneration : City and District Level Decline Diagnostic System)

  • 양동석;유영화
    • 토지주택연구
    • /
    • 제2권3호
    • /
    • pp.249-258
    • /
    • 2011
  • 도시재생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국적으로 쇠퇴정도를 파악하고 지구단위별 쇠퇴지역 및 잠재력 등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성과 복합성을 고려한 공간정보 기반의 종합적 진단체계의 구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진단체계 구축의 일환으로 도시재생 종합정보시스템 아키텍처를 설계하였다. 시스템 개발을 위해 일차적으로 시군구단위 쇠퇴진단지표 DB를 구축하고, 쇠퇴진단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시스템의 고도화 추진방안을 제시하였다. DB 구축은 전국 시군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구축하였다. 시스템은 Open API 기반으로 확장이 용이하도록 설계하였다. 그리고 RIA 기술 기반의 직관적인 UI를 구현하였다. 시스템의 주요기능은 지표관리, 진단분석(시군구단위 쇠퇴진단), 정보공개 등으로 구성하였다. 고도화 방안에서는 도시재생 DB의 공간적 관계성을 고려한 정보모형을 설계하고, 시멘틱 웹의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지구단위 분석모형의 개선방안으로 지구단위 분석모형, GIS 기반의 공간분석 플랫폼, KOPSS 분석 모듈의 연계 활용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도시재생 종합정보시스템의 활용을 통해 도시쇠퇴의 현황 파악 및 재생대상의 우선적인 수요파악을 통해 정책결정이 용이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공폐가 분포 분석을 통한 도시쇠퇴의 공간적 구조 연구: 광주광역시 주거 지역을 중심으로 (Spatial Distribution of Empty Deserted Houses and Its Implications on the Urban Decline and Regeneration)

  • 김화환;최형관;이민석;장문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8-135
    • /
    • 2017
  • 도시 생애 주기에 따른 도시 노후화와 도시재생 정책에 관한 관심이 최근 급증하고 있고, 도시 쇠퇴의 가시적인 지표로 대표적인 사례인 공폐가의 발생과 활용 방안에 대한 관심 역시 최근 들어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2016년 4월 기준 광주광역시 공폐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리정보시스템과 공간통계기법을 활용하여 공폐가 발생의 공간적 분포 특성과 지역에 따른 공폐가 발생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공폐가 발생의 유형은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의거하여 광주광역시에서 제작한 "2025 광주광역시 도시재생전략계획"의 10가지 도시 쇠퇴 진단 지표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기존 공폐가 관련 선행연구 대부분이 시군구별 집계 자료에 제한되었던 것을 극복하여, 공폐가의 실제 위치를 행정동 단위로 분석하여 자세하고 신뢰성 있는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공폐가의 공간적 분포 패턴과 공간적 자기상관 관계 및 공폐가 발생 유형을 미시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광주광역시 공폐가의 발생은 행정동 단위에서 정적인 공간적 자기 상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고, 국지적 공간적 자기상관 분석 결과 일부 지역에서 공폐가 발생이 집중되어 있었다. 공폐가 발생과 도시 쇠퇴 요인들과의 상관관계는 삼각도표를 이용하여 시각화하고, 공폐가 발생 지역을 원인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광주광역시 공폐가의 발생 현황과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고, 지역별 공폐가 발생의 원인을 유형화하여 도시 노후화 현황과 지역별 대응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도시활력 측정을 위한 생활인구 특성 분석 - 이동통신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living population characteristics to measure urban vitality - Focusing on mobile big data -)

  • 카마타 요코;남광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73-187
    • /
    • 2023
  • 본격적인 인구감소 시대에 들어선 가운데 지방 도시들은 사회적 인구 유입도 어려운 상황을 고려하여 생활인구 유도를 통한 도시 활력 증진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동통신 빅데이터를 활용한 도시활력도 분석을 위해 인구감소 지역인 부산광역시 행정동을 대상으로 주민등록인구와 생활인구의 시공간 분포특성을 비교하였다. 다음으로 행정동을 인구증감의 변화 양상으로 유형화한 후, 도시쇠퇴 및 활력 관련 지표를 사용하여 유형별 지역 특성을 분석하였다. 시공간 분포특성 분석결과, 주민등록인구와 생활인구 밀도 분포패턴은 대체로 비슷한 패턴을 보였으나, 원도심 지역에서 주민등록인구 밀도가 낮으면서 생활인구 밀도가 높은 반대의 특성을 가지는 지역이 나타났다. 주민등록인구와 생활인구의 변화 양상은 상당한 차이를 보였으며, 주민등록인구는 밀도가 낮은 지역에서 인구가 감소하는 반면, 생활인구는 밀도가 높은 지역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생활인구 감소 군집에 인접해서 인구증감의 지역 간 격자가 큰 군집이 나타나,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에서 주변 지역에 생활인구가 확산하는 전이효과가 나타날 가능성을 시사했다. 유형화 결과, 주민등록인구가 감소하는 지역에서도 통근·통학 또는 방문으로 인한 활발한 인구 유입이 있었으며, 이러한 지역은 사업체 수의 증가를 유지하고 있어, 산업·경제적 성장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다만 부산의 약 47% 행정동은 주민등록인구와 생활인구가 모두 감소하고 지역 쇠퇴가 진행되고 있었으며, 이러한 지역에 대해 우선적인 도시 활력 증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교통과 통신의 발달로 인한 도시활동의 한계거리 증가와 이동량의 증가로 지역간 교류가 날로 확대되는 점을 고려해 주민등록인구뿐만 아니라 도시계획지표로서의 생활인구 데이터의 활용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농촌의 마을소멸지수 개발 및 적용 - 충청남도를 대상으로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Village Extinction Index in Rural Areas - A Case Study on Chungcheongnam-do -)

  • 윤정미;조영재;김진영
    • 농촌계획
    • /
    • 제29권3호
    • /
    • pp.15-24
    • /
    • 2023
  • The sense of crisis regarding regional extinction due to low birth rates and an aging population is expanding. Generally, the local extinction index is used to analyze local extinction. However, it is challenging to diagnose the actual situation of village extinction risk in rural areas, even though the regional extinction index can be analyzed in units such as Si-Gun-Gu and Eup-Myeon-Dong. This difficulty arises because the regional extinction index solely relies on natural population growth indicators (elderly population and female population aged 20-39).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village extinction index that can identify the disappearance of rural villages. Additionally, the aim is to apply the developed indicators to the village (administrative ri) spatial unit. The existing regional extinction index used only mortality-related indicators as factors for natural population decline and fertility-related indicators as factors for natural population growth. However, the developed village extinction index included not only the factors of natural population change but also incorporated social population growth factors and factors related to the pace of village extinction. This is the key difference between the developed village extinction index and the existing regional extinction index. In this study, the indicators of "total population," "number of young women aged 20-44," "number of elderly population aged 70 or older," and "number of incoming population" were selected to develop a village extinction index. The village extinction index was developed by incorporating both natural population growth indicators and social population growth indicators. The developed village extinction index was applied to administrative villages.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provide a more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tate of rural villages facing extinction.

공간적 범위의 차이에 의한 도시재생 활성화지역 지정기준 적용 결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ult of Application of Designation Criteria for Urban Regeneration Activation Zone by the Spatial Range)

  • 이종휘;이태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567-573
    • /
    • 2020
  • 본 연구는 도시재생 활성화지역을 지정할 때 사용되는 기준인 도시재생 활성화지역 지정기준이 기본 범위인 읍면동 범위와 통계상 제공되는 공간적 범위의 최소 단위인 집계구 범위의 적용이 어떠한 차이의 결과를 나타내는지에 대하여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간적 범위의 차이에 의한 도시재생 활성화지역 지정기준의 적용 결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재생 활성화지역 지정기준의 기본 범위인 읍면동 단위의 공간적 범위가 집계구와 같은 보다 정확한 공간적 범위로 바뀌어야 한다. 둘째, 현재 도시재생 활성화지역 지정기준이 현재 세 가지 부문의 다섯 가지 세부기준에서 보다 정밀하게 부문과 세부기준을 세워야 한다. 셋째, 집계구와 같은 일정하지 않은 공간적 범위보다 격자형식과 같은 일정한 공간적 범위의 기준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도시재생 활성화지역을 지정 할 때 더욱 정확한 기준과 공간적 범위가 필요하다는 것이 예상되며, 향후 정밀한 공간적 범위를 선정하는 것과 도시재생 활성화지역 지정기준에 대한 세부적인 수치들에 대하여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진주시 도시재생사업지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도출 - 집단기억 이론을 중심으로 -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etermination of a Business Indicators for Urban Regeneration Based on Jinju City - Focused on collective memory theory -)

  • 이소영;주희선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17-24
    • /
    • 2019
  • It has been long time since the local small-and-medium cities had lost their vitality due to the progress of aging, economic decline in urban areas, the lack of new growth engines, and the declining population in korea. In addition,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local self-governing system, the creation of new urban areas and the transfer of the administrative institutions to the outskirts of a city have accelerated the decline of old downtown. Rather, local small-and-medium cities would have a problem to make urban regeneration impossible. Under the recognition of such problems, individual self-governing entities have come up with numerous policies and implemented various policies for the revitalization of local small-and-medium cities, but it is a condition that the effect of their efforts falls shorts of expectations, such as the space of the similar style, which has been widespread in developed countries, simple restoration, and a few structural changes. In this regard, the part to be realized anew is to enhance the attractiveness of small-and-medium cities. However, is not possible to raise the overall attractiveness in a short time in reality. To select local assets to be utilized in urban regeneration, it is judged that gathering opinions of local residents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thing. Accordingly,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positive outcome for the purpose of the revitalization of local small-and-medium cities by finding the factors which can remind us of the collective memory of Jinju city and selection the critical factors to determine a detailed project plan from the perspective of urban regeneration.

중소도시의 물리적 쇠퇴등급 분류 연구 - 집계구 단위의 건축물 DB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Physical Decline in Small and Medium Cities - Focused on the analysis of building DB in the unit of Census Output Area -)

  • 한다혁;이민석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41-48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manage the physical sectors systematically, needed for the selection and direction of declining areas, such as urban regeneration and revitalization projects, by grading the density of decline indicators of buildings in small and medium cities. In five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Jeollanam-do, the data were divided into three stages according to the density, according to the use, structure, and age of the building. Rating by element of Census Output Area, detailed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declining areas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re required, rather than setting the scope of declining areas based on administrative districts. It is also necessary to manage cities through complex and intra-element phasing rather than single elements in defining physical decline. The analysis based on the complex factors and boundary of the Census Output Area is meaningful in order to maintain and manage such cities in a more detailed and precise manner according to such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원도심 활성화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인천광역시 서구 원도심의 지역 회복력 향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Old Down-town Activation Indicator -Focusing on Improving Urban Resilience in the Old Down-town of Seo-gu, Incheon-)

  • 장동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561-569
    • /
    • 2020
  • 본 연구는 도시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진단하여 장기적이고 지속가능하게 운영 및 관리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인천시 서구 원도심지역의 회복력향상을 위한 활성화 지표개발을 위해 도시재생의 범주에서 활용중인 회복력 유사지표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해 예비지표를 도출하고, 전문가의견조사를 통해 지표의 적합성과 중요도 분석을 실행하였다. 도시회복력 향상을 위한 활성화지표는 인구의 안정성, 사회적 포용성, 산업의 다양성, 지역의 생산성, 환경적 지속성, 사회기반의 편의성 등 총 6개 구성영역으로 정립하였다. 도출된 60개의 예비지표를 기준으로 전문가 의견조사를 통해 선정된 지표는 42개로 경제활동가능 인구의 확보, 생활형인프라 구축과 정주환경개선, 그리고 산업단지가 포함된 서구의 특성을 반영한 산업의 고도화 및 다양화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후 지표의 객관성을 보완하고 회복력 지수 산출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할 필요가 있다. 정량적 지표 위주로 구성되어 지역의 쇠퇴진단에 주목하는 기존연구를 보완하며, 회복력의 개념을 토대로 국내 실정에 맞는 현실적 대안을 제시한 점은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이다.

거주성지표에 따른 아파트와 오피스텔 거주자의 거주후 평가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Post-Occupancy-Evaluation (POE) of Apartment and Officetel Based on Habitability Indicators)

  • 정승우;박지연;강부성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53-60
    • /
    • 2013
  • Recently, in Korea, single- or two-person households (50.5%) are becoming the primary family type due to increasing divorce rates, population aging, personal code of values and so on. Hence, small families will lead to a sudden increase of single- or two-person households. People searching for small houses are increasing because of the provision of officetels, one room and urban-life housing as well as economic recession. However, this has led to habitability problems, such as parking, storage space and decline in safety. In this study, we obtain the proper contents from LQI indicators of advanced research and use the indicators to evaluat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quality. We conduct a post-occupancy-evaluation (POE) survey and compare the habitability satisfaction level of apartment and officetel residents. According to the survey, officetel residents' satisfaction levels are low for the following factors in the order listed: ventilation, storage space, management expenses and facilities for children and the eld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