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Communities

검색결과 433건 처리시간 0.025초

아파트 사이버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 -아파트 홈페이지의 운영 실태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Cyber Communities based on Apartment Residential Space: The Realities of Internet Home Pages of Apartment Complexes)

  • 임석회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585-606
    • /
    • 2005
  • 인터넷과 같은 정보기술의 비약적 발전은 아파트 거주공간에도 홈페이지를 통한 사이버공동체의 형성이라고 하는 새로운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아파트 거주공간에서의 사이버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를 홈페이지의 운영 실태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 분석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조사결과는 아직까지 아파트 사이버공동체의 실제 모습은 이론적으로 기대하는 것에 비하여 상당히 미흡하다는 것이다. 사이버공동체의 이상과 상당한 격차를 가져오는 현실적으로 많은 한계들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거주공간에 기초한 온라인 공동체로서 전혀 가능성을 없는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사이버공간의 가상성을 극복하는 오프라인 공동체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 PDF

Intestinal helminthiases and schistosomiasis among school children in an urban center and some rural communities in southwest Nigeria

  • Agbolade, Olufemi Moses;Agu, Ndubuisi Chinweike;Adesanya, Oluseyi Olusegun;Odejayi, Adedayo Olugbenga;Adigun, Aliu Adekunle;Adesanlu, Emmanuel Babatunde;Ogunleye, Flourish George;Sodimu, Adetoun Omolayo;Adeshina, Stella Ajoke;Bisiriyu, Ganiyat Olusola;Omotoso, Oluwatosin Ibiyemi;Udia, Karen Mfo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5권3호
    • /
    • pp.233-238
    • /
    • 2007
  • Intestinal helminths and schistosomiasis among school children were investigated in an urban and some rural communities of Ogun State, southwest Nigeria. Fecal samples of 1,059 subjects (524 males, 535 females) aged 3-18 years were examined using direct smear and brine concentration methods between June 2005 and November 2006. The pooled prevalence of infection was 66.2%. Ascaris lumbricoides showed the highest prevalence (53.4%) (P < 0.001) followed by hookworms (17.8%), Trichuris trichiura (10.4%), Taenia sp. (9.6%), Schistosoma mansoni (2.3%), Strongyloides stercoralis (0.7%), Schistosoma haematobium (0.6%), and Enterobius vermicularis (0.3%). The prevalences of A. lumbricoides, hookworms, Taenia sp., S. mansoni, and S. stercoralis in the urban centre were similar (P > 0.05) to those in the rural communities. The fertile and infertile egg ratios of A. lumbricoides in the urban centre and the rural communities were 13: 1 and 3.7: 1, respectively. Each helminth had similar prevalences among both genders (P > 0.05). The prevalence of A. lumbricoide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age (P < 0.001). The commonest double infections were Ascaris and hookworms, while the commonest triple infections were Ascaris, hookworms, and Trichuris. The study demonstrates the need for urgent intervention programmes against intestinal helminthiases and schistosomiasis in the study area.

군 복지시설의 민간활용 연구 (The Utilization of Military Welfare Facilities by Private Sectors)

  • 이승욱;고진수
    • 토지주택연구
    • /
    • 제14권2호
    • /
    • pp.83-95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 내 군 복지시설의 민간 활용방안을 모색하여 군의 복지 증진과 지역사회와의 상생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군 복지시설 민간 활용의 개념은 민간이 군 복지시설을 활용해 추가적인 효용이나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을 의미하며, 민간이 해당 시설을 이용하는 것과 민간의 개발행위로 시설의 고도화나 유휴부지의 개발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군 복지시설은 군 장병들과 가족들의 복지 증진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시설이지만, 대부분의 서설이 노후화되어 건물의 리모델링을 통한 시설의 현대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도시 측면에서 군 복지시설은 주민 친화적인 시설로 인식되어 있어 지역사회와 함께 활용할 수 있는 좋은 도시 자원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 시행한 주민 설문조사 결과 군 복지시설은 주민들에게 더 이상 기피 시설이 아니며, 민간 활용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따라서 군 복지시설의 민간 활용은 활용은 군의 복지 증진과 지역사회에 필요한 시설을 제공할 수 있는 기최의 공간으로 그 활용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군 복지시설 중 민간 활용이 가능한 시설을 도출하기 위해 전국 108개 복지시설 중 영외에 있는 시설 80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시 내 9개 시설에 대해 민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민간 활용방식의 유형으로 3가지를 방안을 제시하였다. 정책제언으로는 군 복지 확대를 위한 민간 참여 활성화와 군과 지역이 상생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 마련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군 복지시설의 효율적인 개발방식과 다양한 주체 간의 거버넌스 구축방안 등 군의 복지 증진과 도시의 환경을 동시에 개선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도시근린공원 식생의 생태학적 진단 -전주화산공원을 중심으로- (The Ecological Diagnosis of the Vegetation in Urban Neighborhood Park -In case of Hwasan Park, Chonju-)

  • 김창환;명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2-76
    • /
    • 2001
  • This study is to offer the basic information and materials for the restoration of the urban forest and the ecologically healthy and continuous green belt through the investigation and the analysis on the vegetation in Hwasan Park, Chonju-City. The flora of Hwasan Neighborhood park was composed of 86 families 230 genera, 261 species, 35 varieties, 1 formae or 298 Taxa. Among them, calculation of Pte-Q Index represented 0.60, Fisher's Index. Some characteristics of the plants in this area have represented such as Th-D1-R5 type in biological type, erect form(64.6%) in growth type, 30 taxa in naturalized plants. The life form spectra investigated from Hwasan neighborhood park was recognized as the following M"17.4%, N:11.4%, E:0.3%, Ch:0%, H:29.8%, G:6.7%, HH:0%, Th:34.2%. By the Z-M method 5 plant communities and 3 afforestation were recognized;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Q.acutissima community, Q.serrata community, Sorbus alnifolia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P.rigida afforestation, Robinia pseudo-acacia afforestation and Larix leptolepis afforestation. The actual vegetation map constructed on the grounds of the communities classified and other data. The pattern of successional trend of tree species might be suggested: L. leptoleipis, P. rigida and P. densifloralongrightarrowQ.variabilis and Q.acutissimalongrightarrowS.alnifolia and Q.serratalongrightarrowCarpinus tschonoskii community. Three measurements of species diversity (richness index(SR), Shannon-Wiener index(H'), evenness index(J')) and their relationship with community type were studied in the surveyed plant communities. Q.serrata community was higher in SR, H', J' than the other communities, whereas R.pseduo-acacia afforestation was low. Finally, The vegetation of the Hwasan neighborhood park must not allowed any more. Nothing ca be better than native states in preserving the ecosystems.tems.

  • PDF

토지이용유형별 야생조류 군집구조 특성 분석 - 시흥시를 사례로 - (The Characteristics of the Bird Communities by Land-use Types - The Case Study of Siheung City, Korea -)

  • 김지석;홍석환;오충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13-321
    • /
    • 2012
  • 시흥시 토지이용유형별 야생조류 군집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43개조사구를 선정하여 2009년 3월부터 2010년 2월까지 계절별로 군집구조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정점조사법을 활용하였으며 군집분류는 TWINSPAN과 DCA기법을 활용하였다. 군집분류 결과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첫 번째 분류는 흰뺨검둥오리(Anas poecilorhyncha), 중대백로(Egretta alba)와 같은 물새류를 식별종으로 하여 나뉘어졌다. 분류된 2개 군집은 각각 논병아리(Tachybaptus ruficollis)와 참새(Passer montanus)를 식별종으로 다시 분류되어 총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분류된 군집은 토지 이용유형에 따라 나뉘어졌으며, 군집 I은 산림지역, 군집 II는 시가화지역과 반자연지역 일부(하천, 논습지)를 포함하였다. 군집 III은 하천과 논습지, 군집 IV는 저수지이었다. 하천과 논습지는 동일 토지이용유형이 서로 다른 군집으로 구분되었으나, 논습지와 주변 하천 규모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고 있어 동일 토지이용유형의 면적 크기가 군집의 종 구성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종다양도지수는 군집 III(대규모 논습지와 주변 하천)이 가장 높았고, 군집 IV가 낮았다. 최대종다양도나 균등도도 군집 III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비오톱 유형화의 경우 도심 내 논습지 및 도시공원의 규모, 하천변의 토지이용형태를 고려할 경우 최소면적기준의 적용이 필요하였다.

원주시 도심 거점산림과 잔존산림의 식생구조 비교 연구 (Comparison of the Vegetation Structure between Base Mountain and Residual Mountain in the Urban Area, Wonju)

  • 조우;한봉호;최진우;노태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67-786
    • /
    • 2011
  • 본 연구는 원주시 도심지에 위치한 도심외부 거점산림인 봉화산과 도심내부 단절된 잔존산림인 학성공원, 일산공원, 무실공원을 조사분석하여 식생구조 특성을 비교하였다. 원주시 도시림 현존식생은 도심외부 거점산림은 신갈나무림과 아까시나무림이, 도심내부 단절된 잔존산림은 상수리나무림과 아까시나무림이 넓게 분포하였고 두 지역 모두 숲가꾸기 일환으로 숲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DCA에 의하여 분류된 군집의 상대우점치와 흉고직경급별 분포 분석결과 추정되는 천이경향은 소나무군집으로 유지되는 군집(군집 B), 참나무류군집으로 유지되는 군집(군집 A, D, d), 외래식생군집으로 유지되는 군집(군집 C, E, F, e, f, g)으로 구분되었다. 도심외부 거점산림과 도심내부 단절된 잔존산림 모두 생태적 천이가 중단된 상태이었다. 하지만 외래식생군집으로 유지되는 군집의 생태적 천이 잠재성은 아교목층과 관목층에 출현하는 참나무류의 상대우점치와 흉고직경급별 분포 분석 결과 도심외부 거점산림이 도심내부 단절된 잔존산림 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종수 및 개체수와 종다양도 분석결과는 숲가꾸기 사업 시행에 따른 아교목층과 관목층의 감소, 시행 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천이 초기 수종이 다양하게 출현하였다. 자연림과 인공림 간 종다양도 비교는 도심외부 거점산림과 도심내부 단절된 잔존산림 모두 간벌, 하예작업 등에 의한 인위적 교란의 영향으로 뚜렷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유사도지수는 도심외부 거점산림 6개 군집은 17.76~52.22%이었고 도심내부 단절된 잔존산림 4개 군집은 13.34~37.01%로 도심내부 단절된 잔존산림 간의 유사도지수가 낮았다. 귀화식물 중 서양등골나물과 미국자리공은 도심내부 단절된 잔존산림에서 더 많이 출현하였다.

도시근린공원의 식생도 작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egetation Mapping of the Urban Neighborhood Park)

  • 허승녕;최정호;권기원;서병기;이규석
    • 환경영향평가
    • /
    • 제10권2호
    • /
    • pp.147-155
    • /
    • 2001
  • Vegetation maps present an inventory of existing plant communities, their location, extent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in the area concerned. For green space management and environment assessment accurate vegetation maps can be used effectively for analyz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vegetation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However, the Current Vegetation Map, Forest Stand Map, and Green Naturality Map in Korea do not represent the status of vegetation community exactl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duce a detailed vegetation map at urban neighborhood parks in Korea by collecting the exact current vegetation data from field survey, and remote sensing(RS) and storing these data in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GIS). Ultimately it is intended to be used in planning and managing the urban green space. The study area is 66.1ha and it is classified into total 19 communities together with parks, orchards, bare land, grassland, tombs and gardens, etc. There is 53.7ha(81.2%) difference between the detailed vegetation map and the current vegetation map. There is also 46.9ha(70.8%) difference between the detailed vegetation map and forest stand map. After this study, it was concluded that it needs producing the detailed vegetation map used in managing urban green spaces because the existing vegetation map does not represent the status of vegetation in the study site.

  • PDF

대모산 도시자연공원의 정비방향설정에 관한 기초적 연구 (A Study on the Planning for the Daemo Mt. Urban Park)

  • 김현;이동근;권정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1-58
    • /
    • 2002
  • Since planning of green-network is deeply being discussed, natural environmental disruption from an enlarged civilization is causing serious problems for urban communiti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pport green-network infrastructure of Gangnam-gu, Seoul, considering ecological environmental planning for urban parks. The Methodologies for this study are landcover classification, NDVI and subjective analysis, and residents' survey.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 1) Based on the results, the area adjacent to Daemo mountain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1985 and 1999.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green space has been decreasing and deeply destroying. 2) Residents' survey shows that people want to live with wild animals and plants in the natural park. Future development planning of urban park should consider primary factors : ecosystem, increasing inhabitants' participation.

경주시 황남동 및 인왕동 한옥지구의 공간구조 분석 (A Study on spatial structure at the Hwangnam-Inhwang Hanok Conservation Area in Gyeongju)

  • 최무현;최희윤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19-26
    • /
    • 2015
  • Korea's housing polices, which have tended to be focused on quantity rather than quality, have since the 1970s given rise to a housing culture centered on apartment units. Such housing polices have resulted in urban sprawl in the metropolitan areas, and a growing polarization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In addition, the issue of "dehumanization" has emerged as a result of the interchangeable urban landscapes and the growing number of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s. In short, the residential communities of the past, such as towns and villages, have disappeared and been replaced with societies that value individuality and anonym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urban structure Gyeongju traditional housing complex. This is to analyze the traditional Hanok residential complex of superiority and characteristics of Gyeongju. This enables future planning should be introduced in Gyeongju hanok.

Application of GML and X3D to 3D Urban Data Modeling: A Practical Approach

  • Kim, Hak-Hoon;Lee, Ki-Won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3-53
    • /
    • 2007
  • In this study, two standard specifications such as GML (Geography Markup Language) from OGC (Open Geo-spatial Consortium, Inc.) and X3D (extensible 3D) from Web3D consortium were dealt with for a web-based 3D urban application without using commercialized tools. In the first step of this study, DEM (Digital Elevation Model) and 3D GIS data sets were converted to GML structure with attribute schema. Then, these GML elements were projected onto a common coordinate system, and they were converted to the X3D format for visualization on web browser. In this work, a 3D urban data model, as a simple framework model, is extended to a framework model having further detailed information, depending upon application levels. Conclusively,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for practical uses of GML and X3D in 3D urban application and this approach can be applied to other application domains regarding system integrators and data sharing communities on distributed environ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