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recorded Genus

검색결과 210건 처리시간 0.022초

Report on 14 unrecorded bacterial species in Korea that belong to the phyla Bacteroidetes and Deinococcus-Thermus

  • Chun, Jeesun;Bae, Jin-Woo;Cha, Chang-Jun;Cho, Jang-Cheon;Chun, Jongsik;Im, Wan-Taek;Jeon, Che Ok;Joh, Kiseong;Kim, Seung Bum;Seong, Chi Nam;Yoon, Jung-Hoon;Jahng, Kwang Yeop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4권2호
    • /
    • pp.137-144
    • /
    • 2015
  • As a result of the research project 'Survey and excavation of Korean indigenous species' to secure unrecorded species in Korea, a total of 14 unreported bacterial strains assigned to the phyla Deinococcus-Thermus and Bacteroidetes were isolated from various environmental habitats all around Korea. On the basis of 16S rRNA gene sequence similarity and affiliation to the clade with the closest species, it was concluded that the isolates represent deep groups of the phyla Deinococcus-Thermus and Bacteroidetes. There have been no records about these 14 unreported species in Korea; therefore 2 species of 2 genera in the class Deinococci within the phylum Deinococcus-Thermus, and 11 species of 9 genera in the class Flavobacteriia and one species in one genus in the class Sphigobacteriia within the phylum Bacteroidetes are described as unreported species found in Korea. Gram staining reaction, morphological and other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re described in the species description section.

토양에서 분리한 국내 미기록종 Pseudomonas 속 6종의 생화학적 특성과 계통 분류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6 unrecorded Pseudomonas spp. from Korean soil)

  • 김현중;정유정;김해영;허문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39-45
    • /
    • 2019
  • 생명공학산업의 주요한 자원인 미생물의 가치는 날로 증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생물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국가간의 경쟁은 심화되고 있다. 이에 다양한 환경에서 미생물자원을 발굴하고 특성을 확인하는 것은 미래의 잠재적 생물자원을 확보하는데 큰 의미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Pseudomonas속에 속하는 6종의 미생물들을 일반 토양에서 분리하여 분자계통학적 분석을 통해 국내 미기록종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로 확보된 미생물들은 자생 생물자원의 다양성을 늘리고, 산업계에 생물자원의 선택의 폭을 늘리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axonomic Re-evaluation of Megacollybia Species in Korea

  • Kim, Chang Sun;Jo, Jong Won;Kwag, Young-Nam;Han, Jae-Gu;Shrestha, Bhushan;Sung, Gi-Ho;Han, Sang-Kuk
    • Mycobiology
    • /
    • 제42권1호
    • /
    • pp.22-26
    • /
    • 2014
  • The diversity of the genus Megacollybia in Korea was examined based on morphological observation and analysis of molecular data. Currently, the genus is consisted of nine species with a global distribution. However, only M. platyphylla has been reported in the floral survey of Korea. During our re-evaluation of the taxonomic diversity of Megacollybia in Korea, six Megacollybia specimens collected in 2012 were identified based on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sequences and morphology. Here, we report two Megacollybia species, M. clitocyboidea and M. marginata, as newly recorded species from Korea. The microscopic features of the two species are provided in this study.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phylogenetic analysis of Korean Megacollybia species.

한국산 흑주름버섯속의 분류학적 연구 (A Taxonomic Study of Genus Melanophyllum in Korea)

  • 석순자;진용주;권순우;김양섭;김완규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05-211
    • /
    • 2013
  • 한국산 흑주름버섯속(Melanophyllum)의 종 다양성과 분포상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2종이 확인되었고, M. eyrei는 국내 미기록종과 M. haematospermum은 기존 보고된 종이었다. 종 동정은 형태학적 현미경적 특징을 기초로 이루어졌고, 또한 ITS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미기록종은 '청흑주름버섯'으로 신칭하고, 기록종인 잔피막흑주름버섯은 종의 특징을 보완하였다.

Isolation of Three Unrecorded Yeasts from the Guts of Earthworms Collected from Korea

  • Oh, Hyejin;Kim, Myung Kyum
    • 한국균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545-553
    • /
    • 2021
  • In 2021, seven yeast strains were isolated from earthworm (Eisenia andrei) gut samples collected from the Nanji Water Regeneration Center in Goyang City, Gyeonggi Province, Korea. A total of seven yeasts were isolated, of which three strains have not been previously reported in Korea. To identify the yeasts, pairwise sequence comparisons of large subunit (LSU) rDNA sequences were performed using the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 (BLAST). Assimilation test and cell morphology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API 20C AUX kit and phase contrast microscope, respectively. Five of the seven strains were assigned to the genus Candida of the order Saccharomycetales of the class Saccharomycetes, and two to the genus Apiotrichum of the order Trichosporonales of the class Tremellomycetes. The yeast strain Candida sojae E2 belongs to the family Debaryomycetaceae, and Apiotrichum laibachii E8 and A. laibachii E9 belong to the family Trichosporonaceae. All strains were cultured in yeast mold agar for three days and showed different colony forms. C. sojae E2 was round and entire shaped, while A. laibachii E8 and A. laibachii E9 was round and convex shaped. This study focuses on the description of the three yeast strains that have not been officially reported in Korea.

Molecular Phylogeny and Morphology Reveal the Underestimated Diversity of Mortierella (Mortierellales) in Korea

  • Lee, Jae-Sung;Nam, Bora;Lee, Hyang Burm;Choi, Young-Joon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75-382
    • /
    • 2018
  • Members of the genus Mortierella (Mortierellales) are filamentous fungi, which are found on nearly all substrates, but more frequently in soil. Till date, 7 species of Mortierella have been reported in Korea, but being a ubiquitous group with high species diversity in temperate zones, this number is still low. During a survey of fungal biodiversity in Korea, we collected many isolates of Mortierella, and through morphological and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es, identified them to be 3 previously unrecorded species, namely, M. chienii, M. epicladia, and M. gamsii. A total of 10 Mortierella species in Korea, including the 3 species reported in the present study, are widely distributed in 5 out of 7 phylogenetic groups of this genus. This indicates that the diversity of Mortierella was so far underestimated in Korea. Multi-locus sequence analysis is required to provide a more reliable backbone for some uncertain phylogenetic groupings and to more clearly define a species of Mortierella, which would encourage deeper research in the diversity and ecological roles of Mortierella and allied genera.

목본식물 잎에서 분리된 Phyllosticta 속의 국내 미기록종 내생균 (Unrecorded Endophytic Fungi Belonging to Genus Phyllosticta Isolated from Leaves of Woody Plants)

  • 박혁;이종철;권주희;이향범;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81-86
    • /
    • 2021
  • 전남 여수 금오산의 청미래덩굴 잎과 경남 통영 한산도의 삼나무 침엽을 표면살균하여 내생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large subunit rDNA (LSU),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α DNA (TEF)의 염기서열을 이용한 계통분석 및 형태적 특성을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Phyllosticta 속에 속하는 두 종의 국내 미기록종 내생균이 확인되었으며, 확인된 종은 Phyllosticta ericaum과 Phyllosticta philoprina이다. 두 종의 내생균 균주에 대해 형태적 특성 및 계통분석의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한국산 미기록 기생벌 Aleiodes (벌목: 고치벌과: 송충살이고치벌아과)속 4종에 대한 보고 (Four New Records of Parasitoid Wasps of Genus Aleiodes (Hymenoptera: Braconidae: Rogadinae) from South Korea)

  • 이경현;손주형;남궁혜반;임종옥;김효중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49-56
    • /
    • 2023
  • 송충살이고치벌아과의 Aleiodes의 미기록종 4종(A. lipwigi, A. guidaae, A. subemarginatus, A. caprinus)을 국내 최초로 보고한다. 본 연구에선 종의 동정을 위한 진단, 분포, 삽화 및 DNA 바코드 서열을 제공한다.

거미고사리와 유연종과의 2 신교잡종과 1 미기록교잡종 (꼬리고사리과) (Two new and one unrecorded natural hybrids between Asplenium ruprechtii and related taxa (Aspleniaceae))

  • 이창숙;이강협;여성희;정경숙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62-368
    • /
    • 2015
  • 꼬리고사리속의 두 개의 신교잡종과 한 개의 미기록교잡종이 발견되었다. 이들 종들의 형태적 형질에 있어 부모종들의 중간형태를 보였다. 거미사철고사리($A.{\times}uiryeongse$)는 서울 북한산 우이령길에서 발견되었고 거미고사리와 사철고사리의 교잡에 의해 분화되었다. 다른 교잡종, 산꼬리고사리($A.{\times}montanus$)는 경기도 연천군, 성산에서 발견되었고, 거미고사리와 차꼬리고사리가 교잡에 의해 만들어지고 다시 꼬리고사리와의 중복교잡에 의해 형성되었다. 아울러 미기록 교잡종인 거미돌담고사리($A.{\times}kitazawae$)는 대구 도동에서 발견되었고, 거미고사리와 돌담고사리의 교잡에 의해 형성되었다. 이들 교잡종들은 부모종들과 같은 장소에서 자란다. 각 분류군의 형질을 분석해 교잡종임을 입증해 보였으며, 이들에 대한 기재, 도해 및 자생지의 서식 사진을 수록하였다.

금강 상류와 태안, 순천만 해변들로부터 야생효모의 분리 및 국내 미기록 효모들의 균학적 특성 (Isolation of Wild Yeasts from Riversides in Geumgang Upstream, Taean and Suncheonman Seashores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Unrecorded Wild Yeasts)

  • 박선정;장지은;이향범;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67-79
    • /
    • 2021
  • 금강 상류와 태안, 순천만 등 해안주변환경의 야생효모들의 효모 종 분포특성을 조사하고 국내 미발표된 효모들을 선별하여 이들의 균학적 특성들을 알아보고자 금강 상류인 충남 금산의 천내강과 서해안에 있는 청포대 해수욕장 및 순천만 습지대 주변의 물과 토양들로부터 야생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고 이들 중 국내 미기록 효모들을 선별하여 이들의 균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금산의 천내강 주변 물과 토양 40점에서 49종의 야생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고, 태안의 청포대 해수욕장과 순천만 습지대 주변 물과 식물체 부식물 및 토양 80점에서 각각 56종, 36종의 야생효모 들을 분리, 동정하였다. 이들지역에서분리, 동정한야생효모들중C. michaelii NNIBRFG28278, Sp. japonicus NNIBRFG28271, D. buhagiarii NNIBRFG28279, U. spermophora NNIBRFG28273, N. pomicola NNIBRFG31590, C. natalensis NNIBRFG31591, C. pseudorhagii NNIBRFG31592, C. santamariae NNIBRFG31593, Cu. terricola NNIBRFG31594, M. nashicola NNIBRFG31595등 10균주들이 국내 미기록 야생효모들로 최종 선별되었다. 이들 미기록 효모들은C. pseudorhagii NNIBRFG31592과 Cu. terricola NNIBRFG31594 만이 구형이고 나머지 균들은 난형으로 Sp. japonicus NNIBRFG28271와 C. natalensis NNIBRFG31591 두 균주만이 포자를 생성하였다. U. spermophora NNIBRFG28273균주는 vitamin-free배지에서도 생육이 아주 양호하였고 Sp. japonicus NNIBRFG28271균주는 15% NaCl을 함유한 YPD배지에서도 생육이 양호한 호염성균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