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versity Students of Radiology Major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31초

실시간 비대면 수업환경을 2년간 경험한 학생들의 만족도 조사 연구: 방사선전공학생들을 대상으로 (The Study on Satisfactory Rate with Students Which Experienced Non-face-to-face Online Class Environment for Two Years: For Radiology Majoring Students)

  • 손진현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4권6호
    • /
    • pp.679-688
    • /
    • 2021
  • This study is a questionnaire about the lesson environment that radiation major students prefer in a non-face-to-face live online lesson environment for a total of 133 students, 65 second graders and 68 third graders who are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radiology at a university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checked the satisfactory level by grade.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three categories: 1st real-time non-face-to-face lectures, 2nd professor lectures, and 3rd corona lectures. A total of 14 questions, with multiple choice and descriptive response methods. As an evaluation method, in the case of a multiple-choice question, the average was calculated using a 5-point Likert scale.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of the SPSS program, the response by grade was P > 0.05, and no significant result was shown by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of the second grade. As for the lecture method of the department of radiology after the end of Covid-19 virus, it is better to promote face-to-face lessons in radiation training subjects and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in subjects centered on radiation theory.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스마트미디어 활용 역량과 자아탄력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mart Media Literacy and Ego-Resilienc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Radiologic Science(Technology) Students)

  • 나길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683-69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 상황의 연속에 있는 방사선(학)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업성취도의 정도를 확인하고 스마트미디어 활용 역량과 자아탄력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함이었다. 연구방법은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연구대상은 방사선(학)과 학생들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1년 6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조사하여 188부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 스마트미디어 활용 역량, 자아탄력성, 학업성취도에 대하여 기술통계,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고, Pearson's 상관관계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학업성취도는 3.43점, 스마트미디어 활용 역량은 2.94점, 자아탄력성은 3.37점으로 나타났으며, 학업성취도와 스마트미디어 활용 역량, 학업성취도와 자아탄력성 간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스마트미디어 활용 역량, 자아탄력성, 전공만족도, 실습만족도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방사선(학)과 대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스마트미디어 활용 역량, 자아탄력성의 향상을 위한 교과 또는 비교과 활동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할 것이며 더불어 전공만족도와 실습만족도 향상을 위한 구체적 방안에 대한 모색 또한 필요할 것으로 기대된다.

방사선학과 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관련 요인 (Satisfaction Level of Clinical Practice and Related Variables fo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Radiology)

  • 신성규;임인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276-284
    • /
    • 2010
  • 본 연구는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후 만족도와 관련 요인을 조사하여 보다 효율적인 임상실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함이다. 부산, 경남지역 3, 4년제 대학(교)의 방사선(학)과 학생들 중에 실습을 마친 학생 13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실습지도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실습평가에 대한 만족도는 가장 낮았다. 학제별로는 3년제에서는 실습지도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고 실습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낮았으며, 4년제에서는 실습시간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고 실습평가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임상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본 결과, 3년제 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은 병원실습 중에 느끼는 방사선사의 위상이었으며, 4년제 학생은 학교생활 중 느끼는 방사선사의 위상과 개인적으로 실습을 나간 경험이 주요인으로 나타났다.

치위생과 학생들의 임상실습관련 불안과 피로 조사 (Anxiety and fatigue related to dental practices of dental hygiene students)

  • 이향님;김은미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31-137
    • /
    • 2014
  • Objectives : The aim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anxiety, fatigue and stress of dental hygiene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and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 Methods :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428 dental hygiene students in 4 universities in Gwagju and Jeonnam. Data were analyzed for anxiety, stress and fatigue, general characteristics using SPSS 18.0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and correlation. Results : Saliva suction showed the most high score in treatment($mean{\pm}SD=2.92{\pm}1.13$) and was followed by children dental care($2.79{\pm}1.21$), preventive dental care($2.38{\pm}1.04$), maxillofacial radiology($2.35{\pm}1.15$). During the clinical practice, students felt uneasy when they stayed in relative home(p<0.05). Poor interpersonal relation(p<0.001), poor health condition(p<0.01), low satisfaction with major(p<0.01), the other cause of major choice(p<0.01) influenced on their stress. Satisfaction with major was closely related to clinical practice performance, anxiety, physical fatigue and mental fatigue. Conclusions : In order to reduce physical, mental, neuro sensory fatigue of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it is recommended to reinforce the patient care etiquettes in curricula.

방사선(학)과 학생 임상실습에 따른 스트레스 특성 (Characteristic of Stress According to Student Clinical Training in Department of Radiology)

  • 백창무;채수인;김정구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291-298
    • /
    • 2012
  • 방사선(학)과는 학생들의 실무적응과 진료기술의 수용을 도모하고자 병원 임상실습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임상실습현장에서 낯선 환경과 진료업무를 체험함으로써 많은 학생들이 복합적이고 다양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 때로는 실습의 부담감과 전공에 대한 회의로 이어져 실습교육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이에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시 경험할 수 있는 스트레스에 대해 그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전국 3년제 4년제 대학 중 6개 대학의 방사선(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2011년 9월 15일에서 10월 2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방사선(학)과 학생들이 임상실습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 정도는 비용적인 측면(3.06)과 임상지도자(3.02)에 관련한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가치와 이상(2.94), 역할과 실습활동(2.93), 실습환경(2.74), 실습생 간 관계(2.64)의 순으로 나타났다. 임상실습 스트레스 요인에 대해 비용적인 측면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스트레스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P<.05), BEPSI-K 구분에 따른 스트레스군 간에는 실습환경, 실습생 간 관계, 역할과 실습활동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1, P<.001, P<.05). 따라서 임상실습에 임하는 학생들의 스트레스가 임상실습의 만족도와 상호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방사선과 대학생이 지각하는 방사선사 이미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age of Radiologist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of Radiology)

  • 여진동;김혜숙;고인호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07-11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image of radiologist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of radiology. The survey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college students with major in radiology with 3-year system who are attending universities where are located in Daegu and Gyeongbuk area. As for distribution and collection of questionnaire, the objective of research was explained from April 2, 2012 to April 30. 220 people's questionnaires were finally analyzed with a self-administrative method after being widely distributed.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To examine factors of having influence upon the image of radiologist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As for survey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gender was indicated to be 58.2% for men and 41.8% for women. School year accounted for 38.2% for freshman, 29.1% for sophomore, and 32.7% for junior. Age was the largest in under 21 years old with 43.6%. The next was in order of over 23 years old with 32.7% and 22 years old with 20%. As a result of research, the image of radiologists was being perceived positively. The radiologist was being recognized as a specialist who is sincere oneself and has strong responsibilities, does valuable and worthwhile work, and has the matured professional knowledge. However, the individual image of radiologists was a little negative. Accordingly, to promote the individual image of radiologists, a specific and positive strategy is needed for approaching people as the specialized job with autonomy and responsibility as well as radiologist oneself.

방사선(학)과 분야에서 챗봇을 이용한 학습방법의 유용성 (The Utility of Chatbot for Learning in the Field of Radiology)

  • 박윤서;이용기;안성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411-41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학)과 재학생의 주요 학습 도구의 활용성을 조사하고, 방사선사면허 국가시험의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 프로그램인 챗봇의 정답률을 분석하여 방사선학 분야에서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 프로그램의 유용성에 대한 기초 연구에 목적이 있다. 방사선(학)과 재학생의 학습 시 전자기기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는 응답자가 84.3%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 시 자료수집의 효율성을 묻는 질문에 140명 중 검색엔진을 1순위로 활용한다고 답한 응답자가 104명이었다. 챗봇을 알고 있는지 붇는 질문에 80%가 알고 있다고 답하였으며, 학업 목적으로 챗봇을 사용한 경험은 22.9%가 1회 이상 사용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2018년도부터 2022년도까지 시험문제 중 1교시와 2교시의 문제를 챗봇에게 정답을 물어보았다. 그 결과 Chat GPT의 1교시 정답률은 48.28%에서 60%였으며, 2교시 문제의 정답률은 50%에서 62.22%로 나타났다. Bing의 1교시 정답률은 55%에서 64.55%였으며, 2교시 문제의 정답률은 48%에서 52.22%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방사선(학)과 재학생들이 전자기기를 통해 학습하고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찾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방사선학 분야에서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 프로그램은 정확성과 신뢰성에 대한 문제가 있으며, 완벽한 해답을 제공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계속해서 발전하고 개선되어야 한다.

D대학을 중심으로 한 학생들의 방사선 인식 조사 (Research Centered on D College Perception Survey of Students on Radiation)

  • 홍승복;양은주;김영재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397-403
    • /
    • 2020
  • 방사선 이용에 대해 대학생 중 방사선 관련 전공자와 비전공자의 인식차이를 파악하여 방사선 인식률 향상의 전략 구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D대학에 재학중인 441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방사선에 대한 지식·자각정도·위험·편익·관리'와 관계된 설문을 한 결과 일상에서도 방사선이 있다는 인식이 75% 였으며, 54%의 학생은 방사선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고 답했다. 방사선의 위험 측면에서는 적은 양이든 많은 양이든 위험하다(56%) 그리고 관리를 잘 한다면 위험하지 않다(81%)로 나타났다. 또한, 방사선의 이용으로 편익을 추구하고 있다(82%)고 답했으며 이 중 의학적 이용(58%)이 가장 높았다. 이에 방사선 관리가 중요하며 이 관리의 주체는 개인보다 정부의 제도적 통제가 중요하다(64%)고 나타났다. 정부를 신뢰하는가에 대한 질문에는 부정적인 대답(보통이하 75%)이 지배적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 방사선의 전공이나 비전공자들은 모두 방사선에 대해 긍정적인 면(특히, 의료기술분야)을 잘 알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보다 안전한 활용을 위해선 정부 주도의 국민 방사선지식의 올바른 인식 개선과 방사선안전에 대한 명확한 규제가 선행되어야 하겠다.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방사선사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nfluencing Factors of Radiological Technologist Image of Allied Health College Students)

  • 엄종권;신성규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5권1호
    • /
    • pp.25-33
    • /
    • 2012
  •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방사선사 이미지를 조사하여 전문직업인으로서의 방사선사 이미지 향상과 위상을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소재 3, 4년제 5개 대학의 보건계열학과 중 임상실습을 이수한 보건계열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1년 8월 1일에서 2011년 8월 15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 한 후, 자료가 불충분한 17명을 제외한 총 233명을 최종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AS(ver 9.1)을 사용하여 t-검정, ANOVA, 다중회귀분석 등을 시행한 결과 대상자들의 방사선사 전체 이미지는 $3.33{\pm}0.46$점으로 나타났다. 영역별로는 개인적 이미지가 $3.43{\pm}0.56$점으로 가장 높았고, 사회적 이미지가 $3.12{\pm}0.58$점으로 가장 낮았다. 문항별로는 '전문직이다'가 $3.99{\pm}0.79$점으로 가장 높았고 '일하기 쉽고 스트레스가 없는 직업이다'가 $2.88{\pm}0.98$점으로 가장 낮았다. 학과별로는 방사선과가 $3.46{\pm}0.46$점으로 가장 높았고 물리치료과가 $3.24{\pm}0.40$점으로 가장 낮았다. 방사선사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제, 대중매체를 통한 방사선사 보도 청취 여부, 실습 시 방사선사와의 직접적 교류 여부, 방사선사 위치 등으로 나타났다. 산학협력과 대중매체를 통하여 방사선사에 대한 사회적 이미지를 향상 시키고 방사선사 개인의 능력과 전문성을 길러 의료기관내 위상을 높임으로서 방사선사에 대한 이미지가 긍정적으로 변화 될 수 있게 노력하여 향후 방사선사가 전문 직업인으로 발전되어 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보건계열 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도, 소명의식, 일의 의미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Career Attitude Maturity, Calling, and Work as Meaning Affecting Student Adjustment to College among Health College Students)

  • 유재용;박주영;우정희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80-488
    • /
    • 2015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student adjustment to college among students in health colleges (Nursing, Clinical Pathology, Radiology, Dental Hygienics, Medicine).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61 students in Daejeon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5 to October 14, 2014.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an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WIN program. Results: Career attitude maturity, calling and work as meaning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udent adjustment to college.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student adjustment to college were career attitude maturity, calling, always working part-time, major in medicine and average grade for the last semester.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djustment to college for students in health colleges is linked to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lling. College organization should develop a curriculum fostering a calling which will promote student adjustment to college and graduate health care professionals with desirable attitud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