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University Competency Factors

검색결과 564건 처리시간 0.084초

제약유통채널에서 영업사원에 대한 통제시스템이 고객지향적 판매와 영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alesperson Control System on Customer-oriented Selling Behaviors and Sales Performance in Pharmaceutical Distribution Channel)

  • 정연승;홍금표;이호택
    • 유통과학연구
    • /
    • 제15권1호
    • /
    • pp.105-114
    • /
    • 2017
  • Purpose - Recently, domestic pharmaceutical market is growing steadily, but top-tier companies are concentrating on sales growth. In this market, SMEs, which account for more than 80% of the entire market, suffer from the problem of lower margins and increasing inventory costs. According to the government's policy changes related to pharmaceuticals, it is pointed out that the management of existing customers and the control of salespeople are important issues for pharmaceutical compani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the control system on the salesperson in domestic pharmaceutical distribution channel on customer-oriented selling behaviors and sales performanc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o verify the proposed research model and test hypotheses, the authors selected 244 MR(medical representatives)'s responses which have currently relationship with doctors or pharmacists. This study carefully investigated the reliability, content validity,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proposed model. Results - The authors find out the following results: capacity control, activity control, and self control have positive effects on customer-oriented selling behaviors and customer-oriented selling behaviors have a positive effect on sales performance. In addition, we present alternative model to check the direct effect between the control systems and the sales performance, but control system factors except self control have no direct influence. Conclusions - First of all, competency control and activity control increases the customer-oriented selling behavior of the salesperson. This means that the salesperson's sales skill, negotiation skill, customer access skill, presentation ability, monitoring, direction and evaluation are important and it is also important to control activities to check the number of visits to customers, report preparation, and customer service etiquette. Second, the fact that self-control of salesperson affects the customer-oriented selling behavior suggests that self-control is not controlled by external factors but rather establishes short/long-term goals.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sales organization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members can induce persistent incentives for self-control. Finally, output control did not affect customer-oriented sales behavior, which is less likely to form confidence or motivation to MRs when output control is perceived as a means of monitoring, supervising, or controlling rather than providing information to salespeople.

중소기업의 공급사슬망 통합수준이 SCM 성과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of SCM Integration Level Influencing SCM and Management Performance : Focused on the Small-Medium Size Enterprises)

  • 성호경;이민호;부제만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67-178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corporate, supplier, and customer integrations for domestic SMEs on non-financial and financial performance through SCM performance such as flexibility and reduction of uncertainties. To this end, data was collected on 286 SMEs in Korea,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SCM integration level, SCM performances, and management performance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CM integration level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flexibility and reduction of uncertainties, which are SCM performances. Second, the flexibility and reduction of uncertainties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he non-financial performance of the companies, but did not directly affect the financial performance positively. Third, the non-financial performanc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In addition, the SCM integration level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he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but it was found that it affected management performance by mediating the flexibility and reduction of uncertainties, which are SCM performances. That is, although the SCM integration level did not directly affect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it was confirmed that it affects management performance by mediating SCM performances, flexibility and uncertainty reduction.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SCM integration level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s SCM performances and overall management performance. These results imply the necessity to focus on competency in the supply chain management area according to the SCM performance expected by SMEs, and the step by step approaches to the expected effects. In a situation where prior SCM related studies have not been able to present SCM performances and management performance of SMEs that are relatively lacking in their capital and SCM construction capabilit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suggest the importance of SCM integ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MEs.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SMEs, this study suggested that a sequential approach for performance measurement is required (SCM performance → management performance) in relation to the performance factors to be established through SCM.

워킹맘 심리적 어려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대졸이상 고학력 워킹맘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sychological Difficulties Scale of Working Moms)

  • 정현;탁진국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4권2호
    • /
    • pp.1-2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4년제 대졸 워킹맘이 겪는 심리적 어려움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1에서는 문헌연구와 함께 경력의 단절이 없으며 학력이 4년제 대졸이상이고 미성년 자녀가 있는 맞벌이 워킹맘을 대상으로 인터뷰,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17개요인 69문항을 개발하였다. 연구 2에서는 워킹맘 306명에게 예비 조사를 실시하여 12개요인 64문항을 추출하였다. 연구 3에서는 638명에게 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교차타당도 검증을 위해 638명을 임의로 두 집단으로 나누어 한 집단(G1)의 319명은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다른 집단(G2)의 319명은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G1으로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족에 대한 미안함, 업무평가에서의 차별, 몸과 마음의 탈진, 불공평한 육아와 가사 부담, 도우미와의 갈등, 역량개발의 한계, 사회적 편견, 근태의 어려움 총 8개요인 48문항이 추출되었다. G2를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8개 요인구조의 부합도가 높게 나타나서 워킹맘 심리적 어려움 척도의 구성타당도가 입증되었다. 수렴타당도 검증을 위한 워킹맘 심리적 어려움과 다중 역할 부정경험의 상관이 유의미해 수렴타당도가 검증되었고 워킹맘 심리적 어려움과 준거변인인 삶의 만족, 조직몰입, 직무열의 모두와 유의미한 상관을 보여 준거관련타당도도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 의의, 이론·실무적 시사점, 제한점과 향후 연구 방향 등에 관해 논의하였다.

  • PDF

The Effect of Efficiency Evaluation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the Cabin Crew's Competency -Focusing o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Personal Capacity of Airline Cabin Crews-

  • PARK, Hyun-Seo;PARK, Hye-Yoon
    • 유통과학연구
    • /
    • 제17권7호
    • /
    • pp.5-13
    • /
    • 2019
  • Purpose - In order for companies to be competitive and adapt to the trend of development, it is important for many airlines to secure outstanding human resources and the need to nurture them. It can be expected that by systematically analyzing and organizing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competences considering the duties of the airline cabin crew, the personal and organizational capacities of the cabin crew can be defined and presented theoreticall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urvey was conducted over a seven-month period from February 1 to September 30, 2018 and was designated as a domestic airline flight attendant. Direct visits to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nd Gimpo International Airport were also conduct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A total of 515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To verify two hypothesis of this study, a regression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were performed using SPSS WIN 26.0. Results - Analysis on the impact of personal capacity of airline cabin crew on job satisfaction showed that technical competence, knowledge capacity and ability capacity, which are sub-factor factors of personal capacity,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Recovery resilience also plays a positive role in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 competence and job satisfaction. Conclusions - It has been empirically analyzed that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airline crew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light attendant's job satisfaction. It can be seen that flight attendants tend to perform well beyond what is required in their duties, and that active and confident cabin crew members tend to perform well in the direction of improving their duties, and are also highly satisfied with their duties.

구인기업과 구직자 간에 인식하는 인재상의 차이 분석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Talented Human Resources Between Enterprises and Job Seekers)

  • 허성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251-257
    • /
    • 2020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관련기업의 채용경향에 있어서 구인기업과 구직자가 인식하는 인재상의 차이를 16개로 구성된 요소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업과 구직자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빅데이터 유형의 자료를 활용하여 사회연결망 분석과 변량분석을 혼합한 융합연구방법론을 적용하였다. 결과적으로 다음의 몇 가지를 검증하였다. 첫째, 대기업은 소통을 강조하고, 중소기업은 역량과 자신감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조업에서 구인기업은 자신감과 역량을 강조하고, 구직자는 스펙과 열정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비스업에서 구인기업은 인성과 역량을 강조하고, 구직자는 스펙과 글로벌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구직자들은 제조업과 서비스업에 따른 인재상이 큰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인재상에 대한 인식 불일치 현상을 줄이기 위한 기업의 채용 정보개방에 대해 논의하였다.

질적-양적 연구방법론의 혼합에 의한 의료사회복지사의 소진탄력성 및 소진위험성 척도개발 연구 (Creating and Validating Scale of Resilience to Burnout and Scale of Burnout Risk with Mixed Methods)

  • 최명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4호
    • /
    • pp.245-272
    • /
    • 2007
  • 본 연구는 혼합방법론의 탐색설계 중 척도개발모델에 의거하여 소진탄력성척도와 소진위험성척도를 개발하고 그 과정에서 산출된 자료들의 의미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척도개발모델 1단계에서는 선행 질적연구를 통해 도출한 의료사회복지사의 소진 보호 및 위험요인에 기반을 두고 각 척도의 내용을 구성하였고, 2단계 양적 연구 단계에서는 의료사회복지사 185명의 조사자료를 분석하여 척도들의 구성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6요인 31문항의 소진탄력성척도와 6요인 27문항의 소진위험성척도의 구성타당도가 검증되었으며, 두 척도의 신뢰도는 소진탄력성 0.92, 소진위험성 0.90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각 척도 및 하위요인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소진탄력성과 소진위험성의 속성 및 관계에 대한 분석을 제시하였고, 인구사회학적 변인들에 의한 조사 결과도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혼합방법론에 의한 척도개발과정을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최대한 반영하면서 수량적으로도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척도를 개발할 수 있었다.

  • PDF

시뮬레이션 융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정신건강간호 교육요구도 조사 (Assessing educational needs in the development of a simulation-based convergence training program on mental health nursing)

  • 김선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425-432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정신건강간호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알아보고, 특별히 시뮬레이션으로 융합 교육이 필요한 영역에 대한 우선순위를 확인하고자 진행되었다. 140명의 간호대학생들에게 설문을 통한 조사가 2020년 3월~5월 사이에 이루어 졌다. 정신건강간호학에 대한 교육요구도와 조현병 환자간호에 대한 교육요구도는 각각 19문항과 15문항의 자가응답설문을 통해 이루어졌다. 추가적으로 3개의 서술형 질문을 통해 이전 시뮬레이션 경험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 졌다. 조현병환자 간호에 대해 높은 교육요구도가 확인되었으며,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정신건강간호학과 조현병 환자간호 모두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표준화환자, 팀워크, 교수자로부터 피드백이 정신건강 간호학 시뮬레이션 교육의 긍정적 경험을 이끌어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 의사소통기술 향상을 위한 간호교육이 가장 우선시 할 필요가 있다. 잘 설계되고 실제와 같은 임상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을 통한 융합교육이 최상의 학습성과를 만들어낼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재난준비도,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 및 교육요구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isaster Preparedness, Core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Needs on Disaster Nursing of Nursing Students)

  • 김희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447-7455
    • /
    • 2015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재난준비도와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 및 교육요구도를 파악하여 재난간호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된 조사연구로 D 지역 간호대학 및 간호학과 4학년 252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재난간호 수행능력은 평균 2.76이었으며, 재난간호 수행능력중 "재난상황시 문서기록절차"가 2.34, "소속기관의 재난관련지침"이 2.37로 가장 낮았다. 또한, 대상자의 재난준비도는 평균 2.14이었으며, 가장 낮은 항목은 "집에서의 재난대피연습" 항목이었다. 대상자의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재난준비도(${\beta}$=.48), 재난교육요구도(${\beta}$=.21), 성적(${\beta}$=.26), 재난교육 여부(${\beta}$=-.11)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간호학생의 재난준비와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은 부족한 실정으로 나타났으며 재난간호에 대한 교육이 절실히 필요하며 간호대학생을 위한 재난간호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교육내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협력적 커뮤니케이션이 지식공유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업무 상호의존성과 지식 영역성의 조절 효과 분석 (The Influence of Collaborative Communication on the Intention to Share Knowledge: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Task Interdependence and Territoriality)

  • 황인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91-103
    • /
    • 2021
  • 지식경영이 조직의 중요한 역량으로 인식되면서, 조직들은 지식경영 정책, 기술 등에 지속적으로 투자를 하고 있다. 지식경영은 조직원의 핵심 지식에 대한 공유가 선제적으로 요구되나, 지속적인 지식경영 활동을 위한 공유 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의 협력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상호 교환 노력이 구성원의 지식공유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는 지식경영 정책을 도입한 조직의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으며, 326개의 표본을 구조방정식모델링에 적용하여 연구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협력적 커뮤니케이션 구성 요인(합리성, 상호 피드백, 공식성)이 지식공유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업무 상호의존성과 지식 영역성이 협력적 커뮤니케이션과 지식공유 의도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연구는 구성원의 지식공유 향상을 위해 조직이 추진해야 할 활동 전략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시사점을 가진다.

공과대학생의 핵심역량 분석과 비교과 활동의 활용 (Analysis of Core Competencies in Engineering Students and Utilization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 황순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21권6호
    • /
    • pp.63-73
    • /
    • 2018
  •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core competencies of engineering students in Korea as well as to explore the application plan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hereafter, ECA) and programs in order to enhance their core competencies. Participation in ECA has long been recognized as having positive benefits and impacts upon student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we investigat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core competencies in undergraduates according to majors, gender and grades. 'Core competencies', first introduced in management theory as 'core competency' can be defined as personal attributes or underlining characteristics, capable of delivering a role or job. 'Core competencies' has received particular attention in recent years and there has been much related research (domestic and foreign) combined with diverse factors. However, few studies have addressed the question on engineering student's core competencies as well as the ways of their enhance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286 students, and core competencies have been measured online, through K-CESA. Our findings show that first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undergraduate students' core competencies by majors. Engineering students scored significantly lower in core competencies overall.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s' core competencies by gender and grade.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components of core competencies. Fi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re competencies and grades(GPA, grades in major subject & liberal arts subject), rather levels in the correlation were low. Furthermore,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appropriate application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would enhance core competencies of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