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versity Assesment Accreditation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3초

정보활용능력의 관점에서 본 한국과 미국의 대학평가인증기준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University Accreditation Standards of Korea and USA in the View Point of Information Literacy)

  • 이병기;김기오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35-156
    • /
    • 2013
  • 최근 들어, 고등교육기관으로서의 대학은 교육성과와 품질을 보장해야 할 사회적 책무성에 직면해 있다. 대학평가인증제도는 대학교육의 책무성을 담보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국제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미국의 대학평가인증기준은 물적, 인적자원 등 투입요소 대신에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분석력, 창의력과 같은 학습성과를 강조하고 있다. 또한, 미국의 대학평가인증기준은 정보활용능력을 주요 학습성과로 간주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서관 및 정보활용능력의 관점에서 한국과 미국의 대학평가인증기준을 비교 분석하고, 한국의 대학평가인증기준에 정보활용능력에 관한 사항을 어떻게 적용해야 할 것인가 하는 기본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의 대학평가인증기준은 학습성과를 강화하는 측면에서 정보활용능력을 반영하고, 단순 강의 수준을 벗어나 도서관 사서와 담당교수와의 협력수업을 기준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공학교육인증에서 교과기반평가를 위한 설계도구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Design Tool for Course-Embedded Assessment in the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 김영탁;김창학;정재우
    • 공학교육연구
    • /
    • 제19권2호
    • /
    • pp.70-75
    • /
    • 2016
  • This paper deals with a result of case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CEA(Course-Embedded Assessment) design tool for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implementing programs. Many programs have been devoting efforts to apply CEA to their engineering education. In order to effectively apply the CEA to educational program, it is required to develop the standardized form or scheme for CEA application. As a preliminary approach, we propose the design tool and the result of a case study for CEA application in engineering education.

교과목 성취도에 근거한 학습성과의 평가 -시험과 보고서를 위주로 (Course Embeded Program Outcome Assesment-Based on the Exams and the Reports)

  • 박윤국
    • 공학교육연구
    • /
    • 제9권3호
    • /
    • pp.62-66
    • /
    • 2006
  • 공학인증을 시행한 지 적지 않은 시간이 흘렀음에도 인증에 가장 중요한 요소들 중의 하나인 학습성과의 평가에 대한 평가도구 개발은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이 가지는 어려움들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의 한 방편으로 교과목과 학습성과의 연관성에 근거하여 해당 교과목이 어떤 학습성과를 성취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정한 후, 한 학기동안 해당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이 치룬 시험과 제출한 보고서를 근거로 하여 학습성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또한 학기말에 해당 교과목 담당교수가 작성하여야 할 CQI보고서의 작성 예를 통하여 이에 대한 즉각적이고 효과적인 학습성과의 방법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컴퓨터·정보공학 분야의 교과기반 학습성과 평가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Course-Embedded Assessment for Program Outcomes in Computer Science & Information Engineering)

  • 조수선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73-81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정보공학 분야의 프로그램 학습성과를 교과기반으로 평가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한 경험과 교훈을 소개한다. 최근 한국공학교육인증원(ABEEK)은 정부로부터 몇 가지 조건의 충족을 전제로 공학교육 분야의 프로그램 인정기관으로 지정된 바 있다. 그 조건들 중 하나는 프로그램 학습성과의 교과기반 평가를 실행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정보공학 분야의 프로그램 학습성과를 교과기반으로 평가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한 사례연구는 기초 프로젝트 교과목에서 실시되었고, 프로젝트 교과목에서의 특별한 평가 기법들이 포함되었다. 기초 프로젝트에서의 교과기반 평가 사례연구는 해당 교과목과 밀접히 연관된 학습성과의 설정, 지필고사 및 프로젝트기반 평가와 같은 평가도구의 선택, 평가기준의 설정, 교과기반 평가의 실행 및 평가결과에 대한 분석과 같은 각 단계를 고려하여 제안된다. 제안된 방법은 컴퓨터 정보공학 분야의 교과기반 평가 전략을 세우기 위한 좋은 본보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