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derstanding

검색결과 26,144건 처리시간 0.046초

관계적 이해와 창의적 수학 문제발견능력과의 상관관계 분석 (An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Relational Understanding and Creative Math Problem Finding Ability)

  • 김은진;권혁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511-533
    • /
    • 2012
  • 본 연구는 관계적 이해와 창의적 수학 문제발견능력이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중학교 2학년 학생 186명을 대상으로 관계적 이해 검사와 문제발견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문제발견능력을 수학화 능력, 수학적 개념 결합능력, 수학적 사실 확장능력의 세 가지 하위요소로 분류하여 관계적 이해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관계적 이해는 문제발견능력의 수학화 능력과 수학적 개념 결합능력의 창의성과는 매우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록 관계적 이해와 수학적 사실 확장능력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얻지는 못했으나, 학생들의 검사에 따른 응답율과 점수를 분석한 결과 관계적 이해수준이 높은 학생들의 유추능력과 귀납추리능력에서 높은 응답율과 점수를 얻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수학에 대한 관계적 이해가 창의적 수학 문제발견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고등학생들의 물 순환 과정과 구성 요소에 대한 이해 (Understanding the Water Cycle Process and Composition Elements of High School Students)

  • 이동은;정진우;김윤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4-31
    • /
    • 2008
  • 본 연구는 고등학교 지구과학 I 에서 다루고 있는 지구의 구성 단원 중에서 물의 순환을 이해하는데 적용하는 개념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학생들은 물 순환의 과정과 구성요소들을 하나의 체계로 통합하는 지구 시스템 관점에서 인식하기 어려워하며 단선적 사고로 물의 순환을 이해하고 있었다. 물의 순환 과정에서 기권과 수권의 작용에 대한 인식은 높으나 암권과 생물권에서의 영향에 대한 인식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물 순환의 순환적인 본질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였다.

교사의 학습자 이해 지식에 초점을 둔 수학 수업평가 요소 탐색 (The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valuation Standards Focused on Understanding of Learners)

  • 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569-594
    • /
    • 2010
  • 교사의 수업 전문성 발달의 일환으로, 교사 전문성의 핵심 영역인 수업과 관련된 일련의 활동에 대하여 수업평가 기준을 마련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하겠다. 이러한 취지하에, 좋은 수업, 교사 지식, 수업평가, 수업컨설팅 등에 관한 연구가 한국교육과정 평가원을 통해 지난 십년간 꾸준히 수행되어 왔다. 이러한 연구 결과 중, 교사 지식의 핵심 요소로 '교과 내용 지식', '학습자 이해',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 '수업 상황' 등의 지식이 제안된 바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학습자 이해' 지식에 초점을 두고 이에 관한 수학 수업에서의 평가 요소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선 교사의 학습자 이해 지식에 관한 의미를 재 탐색하고, 또한 학습자 이해와 관련된 몇몇 수업평가에 관한 선행 연구 결과들을 분석하여, 학습자인지 수준, 학습자 오 개념, 학습 동기, 수학적 태도, 학습 방법 등의 5개 영역에 따른 수업평가 요소(안)를 마련하였다.

  • PDF

'지층과 암석'에 대한 초등 예비 교사의 지식 이해와 교수유형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Knowledge understanding and Teaching-learning type about 'stratum and rock')

  • 이용섭;김순식;이하룡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9-77
    • /
    • 2013
  • The study aims to figure ou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understanding on 'stratum and rock' as well as teaching-learning types on the same topic. A total of 65 seniors in an advanced science education course at B University of Education joined the research to fulfill the purpose above. With PCK classification framework, the study examined pre-service teachers' knowledge understanding on 'stratum and rock' while it analyzed how the teachers would teach the given topic to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t was observed that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have a great understanding on 'stratum and rock' that would be taught via a science textbook for elementary fourth graders. However, regarding terms in 'shale and limestone', they appeared to have a relatively short understanding. Second, PCK elements of the pre-service teachers related to 'stratum and rock' were analyzed an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teachers would be interested in teaching model selecting in the teaching-learning strategy field while they would be well aware of how important it is for them to perform an experiment in a teaching process. The teachers also appeared to understand that the teacher question can be mutual complementary during class. However, it turned out that the teachers would have a very much low understanding on learners' prior knowledge as they particularly believe that learning could b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learners' perception level as well as their learning interest and motive. Third,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ere told to design teaching plans on 'stratum and rock' so that the study could find out what learning-teaching methods the teachers would adopt to teach the topic. It was learned that the teachers would proceed with the class basically by giving the learners a descriptive explanation on the topic and also by using pictures and drawings to enhance the learners' understanding during the class.

SELIS OPAC에 있어서 키워드탐색의 이용과 이해 (The Use and Understanding of Keyword Searching in SELIS Online Public Access Catalogs)

  • 구본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19-139
    • /
    • 1999
  • 이 논문의 목적은 SELIS(SEoul Women's University Library and Information System) OPAC 시스템에서 키워드와 불연산자 탐색이 어떻게 처리되는지에 대한 이용자의 이해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문제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 SELIS OPAC시스템이 처리하는 키워드 추출에 대한 이해도는 전체 298명에서 정답자 67명$(22.48\%){\cdot}$오답자 231명$(77.52\%)$, 키워드탐색에서 불연산자 OR 사용에 대한 이해도는 전체 297명에서 정답자 115명$(22.48\%){\cdot}$오답자 182명$(77.52\%)$, 키워드탐색에서 불연산자 AND 사용에 대한 이해도는 전체 296명에서 정답자 98명$(33.11\%){\cdot}$오답자 198명$(66.89\%)$, 불연산자 사용방법 및 연산자 심볼에 대한 이해도는 전체 285명에서 정답자 109명$(36.49\%){\cdot}$오답자 181명$(63.51\%)$으로 전체적으로 이해도가 저조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SELIS OPAC 시스템에서 키워드 탐색 경험에 따라 키워드 탐색 이해도에 차이가 나는지를 분석한 결과 유의수준 $5\%$에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불연산자 탐색 경험에 따라 불연산자 사용방법에 대한 이해도는 유의수준 $5\%$내에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언어치료에 대한 장애아동 어머니의 이해도와 상담 만족도 (A study of the understanding about speech therapy and the satisfaction about counseling for mother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y)

  • 박진원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469-1477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about speech therapy and the satisfaction of counseling about speech therap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other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o devise the clinical instruction methods to provide the effective speech therapy by identify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for 78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use speech therapy labs in university. 17 questions were composed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degree about speech therapy and 24 questions were composed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degree about speech therapy counseling. Results: First, the survey showed that mothers who have the higher education level have the higher understanding degree about language(p<0.01). Second, the survey showed that mothers who have the higher education level have the lower satisfaction degree about counseling process(p<0.5). In the view of job status, mothers who have a job have the higher satisfaction degree about counseling time(p<0.5). Third, the survey showed that in the view of mothers'understanding degree about speech therapy and satisfaction degree about counseling, mothers who have the higher understanding degree about language, speech therapy tools and speech therapy area have the higher satisfaction degree about counseling.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e necessity to understand the subjects'needs exactly and communicate with mothers actively. In addition, the concrete and various methods should be devised in order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degree about speech therapy and increase the satisfaction degree of counseling about the clinical practice environment and language therapy process.

예비교사의 시각적 표현에서의 수학적 이해와 문제 만들기 능력의 관련성 분석: 분수의 곱셈과 나눗셈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al Understanding in Visual Expressions and Problem-Posing Ability: Focusing on Multiplication and Division of Fractions)

  • 손태권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6권4호
    • /
    • pp.219-236
    • /
    • 2023
  • 본 연구는 분수의 곱셈과 나눗셈에서 예비교사의 수학적 이해와 문제 만들기 사이의 관련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여 41명의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분수의 곱셈과 나눗셈에 대한 시각적 표현과 문제 만들기 과제를 수행하고 수학적 이해 정도와 문제 만들기 능력을 측정하였으며, 수학적 이해 정도와 문제 만들기 능력 사이의 관련성을 교차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예비교사들의 대부분은 분수의 곱셈과 나눗셈의 개념적 이해를 나타냈으며, 다섯 가지 유형의 어려움이 나타났다. 문제 만들기에서는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이 풀 수 있는 수학 문제를 만들지 못했으며 이 과정에서 네 가지 유형의 어려움이 나타났다. 또한 교차분석 결과, 수학적 이해 정도는 문제 만들기 능력과 연관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의 수학적 이해와 문제 만들기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노화와 관련된 생리학적 변화에 대한 고찰 (Age-Related Physiological Consideration)

  • 박규현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6권1호
    • /
    • pp.49-59
    • /
    • 2004
  • Chronic and acute musculoskeletal disorders associated with aging are a challenges to the physical therapy. An understanding of the pathophysiology of normal and pathological aging is imperative for making effective clinical decisions. Th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aging musculoskeletal system is understanding the sequence of normal musculoskeletal development, which begins prenatally

  • PDF

유아의 다양한 마음 상태에 대한 이해 발달과 과제 유형에 따른 틀린 믿음 이해 (Children's Understanding of Various Mental States and False-Belief by Types of Tasks)

  • 송영주
    • 아동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57-273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theory of mind by types of false-belief tasks and various mental states. Seventy six 3-, 4-, 5- and 6-year olds were asked to infer others' minds or choose other's behaviors. Ten tasks, including two picture book tasks, were used to tap the children's understanding of various mental states.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did well in their understanding of diverse perception and desire, but they did poorly in emotional inference based on false-belief, and second order false-belief. Children performed better in picture book tasks than in classical tasks for the understanding of false-belief and false-belief based emotion.

  • PDF

실수 연산의 기본 성질에 대한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이해와 적용 능력 분석 (A Study on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Ability of Eleventh Graders for Basic Properties of Operations with Real Numbers)

  • 진진욱;신현용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5권1호
    • /
    • pp.61-74
    • /
    • 2006
  • The ability of understanding the number and number systems, grasping the properties of number systems, and manipulating number systems is the foundation to understand algebra. It is useful to deepen students' mathematical understanding of number systems and operations. The authentic understanding of numbers and operations can make it possible for the students to manipulate algebraic symbols, to represent relationship among sets of numbers, and to use variables to investigate the properties of sets of numbers. The high school students need to understand the number systems from more abstract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on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ability of eleventh graders of basic properties of operations with real numb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