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lva pertusa kjellman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초

육계에서 구멍갈파래의 항산화 및 면역조절 효과 (Antioxidant and Immunomodulatory Effects of Ulva pertusa kjellman on Broiler Chickens)

  • 홍준기;봉미희;박준철;문홍길;김동욱;이상철;이준헌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5호
    • /
    • pp.419-428
    • /
    • 2011
  • 본 연구는 구멍갈파래 급여가 육계 혈액 내 항산화, 면역조절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 하였으며, 이를 위해 LPS로 염증반응이 유도된 육계에서 혈액 SOD 유사 활성, immunoglobulin 농도 및 비장 조직 내 cytokine mRNA 발현을 조사하였다. 공시계로는 1일령 Ross종 육계수컷 96수를 선별하여, 육계전기(0~3주), 육계후기(3~5주)의 5주 동안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당 24수(3수${\times}$8반복)씩 4처리구에 총 96수를 임의배치 하여 실시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무첨가구(Negative Control ; NC), 시판 면역증강제 첨가구(Positive Control ; PC, ${\beta}$-glucan 25 ppm), 구멍갈파래 분말 3% 첨가구(Ulva pertusa kjellman Powder ; Ulva P) 및 구멍갈파래 추출물 0.3% 첨가구(Ulva pertusa kjellman Extract ; Ulva E)로 배치하였다. 혈액 내 SOD 유사 활성을 분석한 결과 구멍갈파래 첨가구 (Ulva P, Ulva E)는 무첨가구와 면역제제 첨가구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immunoglobulin 농도에서 IgA와 IgG 농도는 처리구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IgM농도에서 구멍갈파래 추출물 처리구가 무첨가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P<0.05). 이는 구멍갈파래 추출물이 LPS에 대한 면역자극을 조절하여 과잉면역반응을 억제한 것으로 사료된다. 비장 조직 내 cytokine mRNA 발현량을 조사한 결과 IL-1, IL-2 및 IL-6에서 처리구별 공통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구멍갈파래 처리구(Ulva P, Ulva E)의 mRNA 발현 비율이 무첨가구와 면역제제 처리구에 비해 낮았으며, 구멍갈파래 처리 간 비교에서 구멍갈파래 추출물이 분말보다 더 낮았다(P<0.05). iNOS의 경우 구멍갈파래 분말 첨가구는 무첨가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구멍갈파래 추출물 첨가구는 모든 처리구보다 iNOS의 발현이 낮았다(P<0.05). 구멍갈파래 분말과 추출물은 LPS 주입에 의한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 mRNA 발현을 억제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특히 구멍갈파래 추출물이 발현억제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P<0.05). 본 연구 결과 육계에서 구멍갈파래 급여는 염증, 질병의 원인인 활성산소 제거에 효과가 있다고 사료된다. 특히 구멍갈파래 추출물은 혈액 내 IgM의 농도를 조절하여 외부항원에 대한 과잉면역반응을 억제하고 염증 관련 cytokine mRNA 발현을 억제하여 육계 면역조절에 긍적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구멍갈파래의 효소 가수분해 증진을 위한 마이크로파 이용 열수 전처리 (Hydrothermal Pretreatment of Ulva pertusa Kjellman Using Microwave Irradiation for Enhanced Enzymatic Hydrolysis)

  • 김정민;하성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3권5호
    • /
    • pp.570-575
    • /
    • 2015
  • 녹조류는 cellulose가 세포벽의 주요 구성성분이며 그 양이 다른 해조류에 비해 월등하고, 세포벽에 lignin이 없어 lignin 제거공정을 거치지 않고 cellulase를 사용하여 쉽게 당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장산물인 전분도 당 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바이오에너지 생산을 위한 좋은 바이오매스가 될 것으로 기대되는 녹조류인 구멍갈파래(Ulva pertusa Kjellman)를 사용하여 마이크로웨이브 장치를 통한 열수 전처리 효과가 cellulase를 사용한 가수분해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열수의 온도에 따른 전처리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100{\sim}150^{\circ}C$에서 전처리를 수행하였으며, $140{\sim}150^{\circ}C$에서 가장 높은 전처리 효과를 얻었다. 또한 전처리 최적조건인 마이크로웨이브 장치의 출력 50W와 온도$150^{\circ}C$에서 열수 전처리한 구멍갈파래에 포함되어 있는 탄수화물의 효소적 가수분해 효율을 높이기 위해 cellulase 외에 ${\alpha}$-amylase와 ${\beta}$-glucosidase를 함께 사용하여, 효소 혼합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전처리한 구멍갈파래 시료에 cellulase와 ${\alpha}$-amylase 그리고 ${\beta}$-glucosidase 활성을 가지는 Novozyme 188을 사용하여 가수분해하였을 경우 전처리하지 않은 구멍갈파래 시료와 비교하면 초기 가수분해속도가 6배 이상 월등히 높았고, 3시간 만에 구멍갈파래에 포함되어 있는 탄수화물의 96 wt%에 해당할 정도의 환원당이 생성되었으며, 이 양은 전처리하지 않은 구멍갈파래 시료를 24시간동안 효소적 가수분해해야 얻을 수 있는 환원당의 양으로 열수 전처리한 효과가 월등함을 보여주었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탄수화물이 전환되는 최대 당화 효율을 얻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First Record of Ulva pertusa Kjellman (Ulvales, Chlorophyta) in the Pacific Coast of Mexico

  • Aguilar-Rosasl, Racal;Aguilar-Rosas, Luis E.;Shimada, Satoshi
    • ALGAE
    • /
    • 제23권3호
    • /
    • pp.201-207
    • /
    • 2008
  • Based on samplings during 2006-2007 on the intertidal zone of Playa Tampico, Eréndira and Punta Baja, Baja California, Ulva pertusa Kjellman (Ulvales, Chlorophyta) was recorded for the first time for the Pacific coast of Mexico. An alga native to Asia, U. pertusa has just recently been recorded in the southern coast of California (USA). The identification of U. pertusa was based on the observation of the morphology and reproductive characters of the collected specimens. Furthermore, the species identity was confirmed by molecular comparison between nuclearencoded ITS2 sequences of the Mexican samples and those of other Ulva species in GenBnak data. Habitat and distribution of U. pertusa along the Pacific coast of North America are also described. Considering our new report of its occurrence in Mexico, we conclude that U. pertusa is expanding its geographical distribution by trans-ocean introductions.

구멍갈파래(Ulva pertusa Kjellman)의 생태생리에 대한 생육기질의 효과 (The Effect of Substrate on Ec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een Macroalga Ulva pertusa Kjellman (Chlorophyta))

  • 최태섭;김광용
    • ALGAE
    • /
    • 제20권4호
    • /
    • pp.369-377
    • /
    • 2005
  • Seashore joining with land and sea, which is typical habitat for marine macroalgae, is classified two types of shore as soft- and hard-bottom shore according to topographical (geological) and ecological features. We compared two of Ulva pertusa Kjellman from two contrasting habitats, sandy (soft-bottom, Haenam) and rocky shore (hard-bottom, Hadong) in terms of chlorophyll-a fluorescence and its parameters, and various photosynthetic pigment and nutrient content in the tissue of those. Both of habitats were different in the light environment such as light attenuation coefficient and even in nutrient concentration of ambient seawater. Electron transport rate (ETR) of Ulva from sandy shore was higher than from rocky shore. The range of photosynthetic pigment content in the tissue of U. pertusa was significantly much more in from sandy shore, and also nitrogen and phosphorus content were significantly higher except for carbon content.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atio of among photosynthetic pigments, and N:P ratio was similar between each other, even though significantly different. Our result implied on the reason of why most of green tides in the worldwide concentrated and frequently occurred at sites with sandy, muddy and silty bottoms, being classified as soft-bottom shore.

Ethylmethanesulphonate에 의한 구멍갈파래(Ulva Pertusa Kjellman)의 돌연변이유기 (Chemical Mutagenesis of Ulva Pertusa Kjellman by Ethylmethanesulphonate)

  • 송상호;고남표;청규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7-71
    • /
    • 1991
  • 돌연변이유기를 통한 유용견전형질의 해조류품종을 개발하기 위해 화학적돌연변이유발원인 Ethyl-methanesulphonate(EMS)에 대한 구멍갈파래(Ulva pertusa Kjellman) 엽체의 감수성을 검토하여 효과적인 돌연변이유기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EMS를 처리한 배지에 엽체를 생장시키며 변이를 유발시키고자 하였을 때, $0.05{\%}$$0.025{\%}$의 EMS 처리구에서 각각 $100{\%}$와 약 $20{\%}$의 생장억제가 일어났다. 한편 고농도의 EMS액에 엽체를 일정시간 침적한 후 정상배양함으로서 변이를 유발코자 했을 때, $1.0{\%}$ EMS액에 40분과 $0.5{\%}$ EMS액에 80분 처리한 경우 각각 $100{\%}$와 약 $10{\%}$의 생장억제가 일어났다. EMS 처리된 엽체는 생장형과 체색이 모체와 전혀 다른 변이체로 나타나기도 하였는데 이들의 polypeptide 일부에 변화가 있음이 SDS-PAGE로 조사되었다.

  • PDF

Acute Toxicity Assessment of New Algicides of Thiazolidinediones Derivatives, TD53 and TD49, Using Ulva pertusa Kjellman

  • Yim, Eun-Chae;Park, In-Taek;Han, Hyo-Kyung;Kim, Si-Wouk;Cho, Hoon;Kim, Seong-Jun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5권4호
    • /
    • pp.273-278
    • /
    • 2010
  • Objectives :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acute toxicity assessment of two new algicides, thiazolidinediones derivatives (TD53 and TD49), which were synthesized to selectively control red tide, to the marine ecosystem. Methods : The assessment employed by a new method using Ulva pertusa Kjellman which has been recently accepted as a standard method of ISO. The toxicity was assessed by calculating the $EC_{50}$ (Effective Concentration of 50%), NOEC (No Observed Effect Concentration) and PNEC (Predicted No Effect Concentration) using acute toxicity data obtained from exposure experiments. $EC_{50}$ value of TD49 and TD53 was examined by 96-hrs exposure together with Solutol as a TD49 dispersing agent and DMSO as a TD53 solvent. Results : $EC_{50}$ value of TD53 was $1.65\;{\mu}M$. From the results, values of NOEC and PNEC were calculated to be $0.63\;{\mu}M$ and 1.65 nM, respectively. DMSO under the range of $0{\sim}10\;{\mu}M$, which is same solvent concentration used in examining TD53, showed no toxic effect. $EC_{50}$ value of TD49 was $0.18\;{\mu}M$ and that of Solutol was $1.70\;{\mu}M$. NOEC and PNEC of TD49 were $0.08\;{\mu}M$ and 0.18 nM, respectively and those for Solutol were $1.25\;{\mu}M$ and 1.25 nM, respectively. Conclusions : From the values of NOEC, PNEC of TD53 and TD49, TD49 showed 9 times stronger toxicity than TD53. On the other hand, DMSO showed no toxicity on the Ulva pertusa Kjellman, but Solutol was found to be a considerable toxicity by itself.

발광다이오드(LED) 조명을 이용한 녹조 구멍갈파래(Ulva pertusa)의 생장 (Growth of Ulva pertusa Kjellman (Chlorophyta, Ulvophyceae) by a Light-Emitting Diode (LED) Light Source)

  • 권천중;최창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71-574
    • /
    • 2013
  • To determine an efficient growth system for algal cultivation and to develop adequate culture system utilizing LED light,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luorescent and light emitting diode (LED) light source on the growth of Ulva pertusa. U. pertusa was cultured at $17^{\circ}C$ under a light intensity of 35 ${\mu}mol$ photons $m^{-2}s^{-1}$ and a 10L:14D photoperiod using either fluorescent or LED lamps. After 1 week of incubation under the same environmental condition, the length and width of Ulva pertusa grown under LED light were 1.5- and 1.9-fold greater, respectively, than the length and width of algae grown under fluorescent light. After two weeks, length and width were 2.6- and 2.0-fold greater, respectively, in algae grown under LED light. Total length and width of Ulva pertusa after three weeks of incubation were 1.7- and 1.2-fold greater in algae grown under LED light than those grown under fluorescent light. Therefore, the LED light induced significantly higher growth of Ulva pertusa than fluorescent light.

효모 Pichia stipitis를 이용한 구멍갈파래 가수분해 추출물로 부터 바이오 에탄올 생산 (Bioethanol Production using a Yeast Pichia stipitis from the Hydrolysate of Ulva pertusa Kjellman)

  • 이지은;이상은;최운용;강도형;이현용;정경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43-248
    • /
    • 2011
  • 6탄당과 5탄당을 이용할 수 있는 효모 Picha stipitis를 이용하여 해조류인 구멍갈파래 가수분해 추출물의 단당류로부터 바이오 에탄올을 생산하는 반복 회분식 공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러한 공정이 180시간 까지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으며, 약 30 g/L의 총환원당으로 부터 최고 평균 11.9 g/L의 바이오 에탄올이 생산됨을 확인하였다. 이 때 바이오 에탄올 수율은 0.40 (DNS 방법 기준)과 0.37 (TLC 방법 기준)이었으며, 이는 이론치의 78.4%와 72.5%에 해당하는 바이오 에탄올 수율에 해당한다. 이 결과를 다른 측면에서 분석하면, 본 연구 결과로 얻어진 반복 회분식공정에서 건조 구멍갈파래 1 kg에서 39.67 g의 바이오 에탄올을 생산 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구멍갈파래의 가수분해 추출물로부터 바이오 에탄올을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하였고, 상업적인 대량생산이 가능한 공정기술로서 반복 회분식 방법이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