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lva pertusa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2초

한려해상국립공원의 해조상 (Algal Flora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Southern Coast of Korea)

  • 최창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371-380
    • /
    • 2008
  • This study elucidated the floral composition of marine algae and community structure at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In all, 89 species, comprising 10 green, 30 brown and 49 red algae, were identified. The dominant species in terms of importance value were Ulva pertusa, Colpomenia sinuosa, Undaria pinnatifida, Padina arborescens, Hizikia fusiformis, Sargassum sagamianum and Amphiroa dilatata.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marine vegetation was characterized by Enteromorpha linza - Ulva pertusa - Gelidium divaricatum in the upper intertidal zone, Hizikia fusiformis - Sargassum thunbergii in the middle intertidal zone, and Amphiroa spp. - Hildenbrandtia rubra - Corallina pilulifera in the lower intertidal zone. Functional form group analysis showed that coarsely branched forms comprised 50.3% of the algal community, whereas thick leathery forms, sheet forms and filamentous forms comprised 11.9-13.1%. R/P, C/P and (R+C)/P values were 1.91, 0.74 and 2.64, respectively. A cluster analysis of species occurrence suggested that the number of marine algal species differed greatly among the sampling sites.

Two-Step Process Using Immobilized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Pichia stipitis for Ethanol Production from Ulva pertusa Kjellman Hydrolysate

  • Lee, Sang-Eun;Kim, Yi-Ok;Choi, Woo Yong;Kang, Do-Hyung;Lee, Hyeon-Yong;Jung, Kyung-Hw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10호
    • /
    • pp.1434-1444
    • /
    • 2013
  • We established a two-step production process using immobilized S. cerevisiae and P. stipitis yeast to produce ethanol from seaweed (U. pertusa Kjellman) hydrolysate. The process was designed to completely consume both glucose and xylose. In particular, the yeasts were immobilized using DEAE-corncob and DEAE-cotton, respectively. The first step of the process included a continuous column reactor using immobilized S. cerevisiae, and the second step included a repeated-batch reactor using immobilized P. stipitis. It was verified that the glucose and xylose in 20 L of medium containing the U. pertusa Kjellman hydrolysate was converted completely to about 5.0 g/l ethanol through the two-step process, in which the overall ethanol yield from total reducing sugar was 0.37 and the volumetric ethanol productivity was 0.126 g/l/h. The volumetric ethanol productivity of the two-step process was about 2.7 times greater than that when P. stipitis was used alone for ethanol production from U. pertusa Kjellman hydrolysate. In addition, the overall ethanol yield from glucose and xylose was superior to that when P. stipitis was used alone for ethanol production. This two-step process will not on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process for ethanol production from glucose-and xylose-containing biomass hydrolysates, but could also be used as an alternative method for ethanol production.

녹조 구멍갈파래(Ulva pertusa Kjellman)의 생장 및 색소조성에 미치는 무기 영양염류 및 중금속의 영향 (Effects of Inorganic Nutrients and Heavy Metals on Growth and Pigmentation of the Green Alga, Ulva pertusa Kjellman)

  • 김장균;한태준
    • 환경생물
    • /
    • 제17권4호
    • /
    • pp.427-438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동해와 서해에서 채수된 자연해수에서 녹조 구멍갈파래를 배양하여 생장을 비교하고 아울러 환경오염인자라고 할 수 있는 무기영양염류(질산염과 인산염)와 중금속(구리와 납)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먼저, 광량별 생장율은 서해해수조건보다 동해해수조건에서 뚜렷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이때 최적생장광량은 두 조건에서 공히 $100{\mu} molm^{-2} s^{-1}$인 것으로 나타났다. 엽록소 함량의 경우 60 $\mu$molm­$^2$$^1$이하의 광량에서는 동해해수조건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100{\mu} molm^{-2} s^{-1}$이상의 광량에서는 두 조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광량과 색소함량 사이에는 일반적으로 반비례관계가 성립되었는데 즉, 광량이 증가함에 따라 색소함량이 감소되었다. 1988년부터 1997년까지 조사된 환경부자료에 의하면 자연해수에서의 질산염의 농도는 서해해수에서 0.88ppm으로써 동해해수의 0.37ppm보다 2배 이상 높았으며 인산염은 동해와 서해해수 모두에서 0.03ppm으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또한 $Cu^{2+}, Pb^{2+}$은 각각 0.004, 0.003ppm으로 환경기준보다 매우 낮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자료를 기초로 하여 무기영양염류(질산염과 인산염)와 중금속(구리와 납)이 구멍갈파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무기염류의 효과에 대한 연구에서 질산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구멍갈파래의 생장율이 증가하였으며 5ppm에서 생장포화를 보이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인산염은 생장에 특별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엽록소 함량의 경우에는 인산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뚜렷한 양적 증가현상을 보였다. $Cu^{2+}$는 구멍갈파래에 매우 강한 독성을 끼쳐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엽체의 생장율과 엽록소 a,b 그리고 carotenoids함량이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특히 1ppm에서는 carotenoids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Pb^{2+}$는 위와 같은 생장 파라미터에 대하여 특별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현재 자연해수중에 존재하는 질산염과 인산염, $Cu^{2+}, Pb^{2+}$.등은 그 농도면에 있어서 구멍갈파래의 생장제한요인으로 작용할 정도는 아닐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Cu^{2+}$와 같은 경우 간헐적으로 높은 농도가 기록되는 것을 볼 때 이로인하여 구멍갈파래의 생존에 결정적인 상해를 입힐 수도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진해만 해역의 조간대에 서식하는 해조류의 군집 구조 (Marine Benthic Algal Community at Intertidal Zone in Jinhae Bay)

  • 곽석남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9-104
    • /
    • 2009
  • 진해만 조간대에서 서식하는 해조류 군집 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7년에 8개 정점을 대상으로 계절별로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45종의 해조류가 서식하였으며, 이 중 녹조류 4종, 갈조류 10종, 그리고 홍조류가 29종으로 나타났다. 우점종은 Ulva pertusa, U. conglobata, Sargassum horneri, Gelidium divaricatum, Gracilaria textorii, Polysiphonia morrowii으로 나타났다. 출현종수는 계절 및 정점에 따라 변하였다. 겨울에 가장 많은 42종이 출현하였으며, 여름에는 33종으로 가장 적었다. 정점별로는 정점 1,7,8에서 가장 많았으며, 정점 2와 3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나. 해조류 군집의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기 위한 MDS 분석 결과에서는 해조류의 종조성 및 현존량이 각 정점의 물리해양학적인 특징 및 지형적인 차이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나.

  • PDF

Flavobacterium jocheonensis sp. nov., Isolated from Marine Green Alga Ulva pertusa

  • Choi, Ha Ri;Park, So Hyun;Heo, Moon 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8호
    • /
    • pp.1266-1272
    • /
    • 2019
  • A bacterial strain, labeled $UR11^T$, was isolated from green alga Ulva pertusa collected from Jeju Island, Korea. $UR11^T$ was identified as a gram-negative, rod-shaped, motile by gliding and aerobic bacterial strain with yellow colonies on R2A plates. The strain $UR11^T$ grew over at a temperature range of $10^{\circ}C$ to $30^{\circ}C$ (optimally at $25^{\circ}C$), a pH range of 6.0-11 (optimally at pH 7.0) and a Nacl range of 0.5-5% Nacl (w/v).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16S rRNA gene sequences revealed that strain $UR11^T$ was a member of the genus Flavobacterium. Strain $UR11^T$ shared close similarity with F. jejuensis $EC11^T$ (98.0%) F. jumunjinense $HME7102^T$ (96.1%), F. haoranii $LQY-7^T$ (95.3%), F. dongtanense $LW30^T$ (95.1%), and F. ahnfeltiae 10Alg $130^T$(94.9%). The major fatty acids (>5%) were $iso-C_{15:0}$ (33.9%), $iso-C_{15:1}$ G (12.4%), $iso-C_{17:0}$ 3-OH (9.0%), $isoC_{16:0}$ (7.0%) and $iso-C_{15:0}$ 3-OH (6.3%). The major polar lipids were phosphatidylethanolamine, seven unknown aminolipids, two unknown aminopolarlipids and two unknown lipids. DNA-DNA hybridization value was 58% at strain $UR11^T$ with F. jejuensis $EC11^T$. Based on phenotypic, chemotaxonomic and phylogenetic evidence, strain $UR11^T$ represents a novel species of the genus Flavobacterium, for which the name Flavobacterium jocheonensis sp. nov. is proposed. The type strain is Flavobacterium jocheonensis is $UR11^T$ (=KCTC $52377^T$ =JCM $31512^T$).

구멍갈파래의 면역활성 증진을 위한 추출방법 비교 (The Comparison of Extraction Process for Enhancement of Immunomodulating Activities of Ulva pertusa kjellman)

  • 한재건;하지혜;최영범;고정림;강도형;이현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80-385
    • /
    • 2009
  • 본 연구는 제주도의 녹조현상의 원인인 구멍갈파래의 활용을 위해 고압추출 공정을 통한 추출물의 면역활성 확인 하였다. 150 MPa, $80^{\circ}C$ 조건에서 Superoxide Radical 소거효과에서는 90% 로 활성도가 제일 높았으며, 면역세포 생육도면에서도 B&T cell, 각 각 $14.2{\times}10^4$ cells/mL $14.5{\times}10^4$ cells/mL 나타나 제일 높았다. 반면, NK cell과 NO 면역능 실험에서는 100MPa, $30^{\circ}C$ 조건에서 각각 $11.8{\times}10^2$ cells/mL, 30.0 ${\mu}M$을 보여 주었다. 결과를 통해 구멍갈파래는 면역활성을 가지며 고압 공정을 통한 추출물의 활성이 일반추출에 비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해조류 및 다른 유용 자원에서도 고압 공정이 기존의 추출방법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낼 것으로 판단되며 기능성 식품이나 기능성 소재로서 사용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녹조 구멍갈파래 (Ulva pertusa Kjellman)의 발아에 미치는 무기영양염류 및 중금속의 영향 (Effects of Inorganic Nutrients and Heavy Metals on Germination of the Green Alga, Ulva pertusa Kjellman)

  • 김장균;한태준
    • 환경생물
    • /
    • 제19권1호
    • /
    • pp.7-17
    • /
    • 2001
  • 해조류의 최적생장 조건과 내성범위는 그 발달단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초기 정착단계에서의 생장은 성체로의 성공여부를 결정하는데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녹조 구멍갈파래 (Ulva pertusa)의 생식세포와 발아체를 이용하여 무기영양염류와 중금속이 발아와 발아체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들의 내성범위 및 최적조건을 구하고자 하였다. 먼저 광량에 따른 발아율은 동해와 서해해수 조건 모두에서 광량이 증가함에 다라 빠르게 증가하였으며 최적광량은 100$\mu$mo1m$^{-2}$ s$^{-1}$이었다. 30$\mu$mo1 m$^{-2}$ s$^{-1}$ 이하의 광량에서 동해수에서의 발아율은 서해수에서보다 높았으며 60$\mu$mo1 m$^{-2}$ s$^{-1}$이상의 경우 두 해수조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발아체의 생장 또한 광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서해수보다 동해수에서 빠르게 생장하였다. 또한 광량이 증가함에 따라 발아체의 세포수가 증가하였으며 최적광량은 100$\mu$mo1 m$^{-2}$ s$^{-1}$이었고, 60$\mu$mo1 m$^{-2}$ s$^{-1}$ 이하의 광량에서 서해수보다 동해수에서 발아체의 세포수가 빠르게 증가하였다. 인산염 농도에 상관없이 질산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발아율이 증가하였으며 배양 3일 후에 질산염 2.5 ppm에서 발아율이 가장 빠르게 증가하였다. 발아체의 생장과 세포수 또한 인산염 농도에 상관없이 질산염 농도가 증가함에따라 증가하였으며, 배양 8일 후에는 질산염 0.5 ppm에서 발아체의 생장이 늦춰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리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발아율, 발아체의 생장 및 세포수 모두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납농도에 상관없이 구리 1 ppm은 구멍갈파래의 생식세포와 발아체 생장 또는 생존에 치명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 남서해안 도초군도 무인도서의 하계 해조상 (Summer Algal Flora of Uninhabited Islands in Dochodo, Southwestern Coast of Korea)

  • 박찬선;위미영;황은경
    • ALGAE
    • /
    • 제22권4호
    • /
    • pp.305-311
    • /
    • 2007
  • The summer algal flora and community of 15 uninhabited islands in Dochodo, southwestern coast of Korea, were investigated from 9 June to 16 September 2007. A total 53 species (10 green, 14 brown and 29 red algae) of marine algae were identified. Among 15 uninhabited islands, the number of species observed was the highest as 33 species at Jeongdo and Gyeongchido the least as 24 species at Hugdo and Mido. The dominant species were Enteromorpha compressa, Ishige okamurae, Gloiopeltis furcata, Ulva pertusa and Sargassum thunbergii. The algal zonation of intertidal zone was figured out by Gloiopeltis furcata, Caulacanthus okamurae – Ulva pertusa, Sargassum thungergii – Gelidium amansii, Sargassum horneri from upper to lower zone. The flora investigated could be classified into six functional groups such as coarsely branched form (39.6%), filamentous form (25.8%), sheet form (14.1%), thick leathery form (9.9%), jointed calcarious form (5.6%) and crustose form algae (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