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ltrastructural changes

검색결과 340건 처리시간 0.029초

불소 및 레이저가 우치법랑질의 인공우식병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luoride and Laser on Artificial Caries-like Lesion Formation in Bovine Enamel)

  • 김재곤;백병주;주훈;윤현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660-677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ombined effects of fluoride application and laser irradiation on artificial caries-like lesion formation in bovine enamel. Enamel specimens were divided into five experiment group and placed in no-treatment(group C), APF application alone(group F), laser irradiation alone(group L), APF application before laser irradiation (group FL), and APF application after laser irradiation(group LF) on artificial caries-like lesion. Sound enamel was used as a control group. The ultrastructural changes and physical effects of the fluorided and lased enamel has been investigated by using SEM, enamel solubility and microhardness test as well as distributions of calcium, phosphorus and fluoride in internal enamel by using EPMA.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n the all experiment groups, the amounts of dissolved calcium of enamel surfaces significantly decreased according to increasing exposure time of acid solution than control group(P<0.001). Group L showed higher than that group FL and LF in 30 and 60min(P<0.05). 2. The microhardness values of enamel surface in the control group was highest than that in the other experiment groups. Group F, L, FL and LF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group C(P<0.001). The enamel surface treated with APF produced deposites of numerous small globules and lased enamel showed a cracker-like appearance with microcrack and small pore. Numerous deposits were infiltrated in the fissured portion of enamel treated with APF after laser irradiation. 4. In the case of APF application alone, the elevation of the fluoride profile can be seen within $5{\mu}m$ of the outermost layer and a similar profile observed in the specimen treated with APF before laser irradiation. However, the specimen treated with APF after laser Irradiation showed a large elevation within $10{\mu}m$ of the outermost layer of the enamel. 5. The higher Ca/P ratios were observed in $10{\mu}m$ depth of lased and fluorided enamel when compared to the sound and carious enamel. The fluoride content decreased rapidly with distance from enamel surface, in the group F, fluoride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group C, L, FL, LF and control group according to increasing enamel depth (P<0.05).

  • PDF

Senescence as A Consequence of Ginsenoside Rg1 Response on K562 Human Leukemia Cell Line

  • Liu, Jun;Cai, Shi-Zhong;Zhou, Yue;Zhang, Xian-Ping;Liu, Dian-Feng;Jiang, Rong;Wang, Ya-Pi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2호
    • /
    • pp.6191-6196
    • /
    • 2012
  • Aims and Background: Traditional chemotherapy strategies for human leukemia commonly use drugs based on cytotoxicity to eradicate cancer cells. One predicament is that substantial damage to normal tissues is likely to occur in the course of standard treatments. Obviously, it is urgent to explore therapies that can effectively eliminate malignant cells without affecting normal cells. Our previous studies indicated that ginsenoside $Rg_1$ ($Rg_1$), a major active pharmacological ingredient of ginseng, could delay normal hematopoietic stem cell senescence. However, whether $Rg_1$ can induce cancer cell senescence is still unclear. Methods: In the current study, human leukemia K562 cells were subjected to $Rg_1$ exposure. The optimal drug concentration and duration with K562 cells was obtained by MTT colorimetric test. Effects of $Rg_1$ on cell cycle were analyzed using flow cytometry and by SA-${\beta}$-Gal staining. Colony-forming ability was measured by colony-assay. Telomere lengths were assessed by Southern blotting and expression of senescence-associated proteins P21, P16 and RB by Western blotting. Ultrastructural morphology changes were observ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Results: K562 cells demonstrated a maximum proliferation inhibition rate with an $Rg_1$ concentration of $20{\mu}\;mol{\cdot}L^{-1}$ for 48h, the cells exhibiting dramatic morphological alterations including an enlarged and flat cellular morphology, larger mitochondria and increased number of lysosomes. Senescence associated-${\beta}$-galactosidase (SA-${\beta}$-Gal) activity was increased. K562 cells also had decreased ability for colony formation, and shortened telomere length as well as reduction of proliferating potential and arrestin $G_2$/M phase after $Rg_1$ interaction. The senescence associated proteins P21, P16 and RB were significantly up-regulated. Conclusion: Ginsenoside $Rg_1$ can induce a state of senescence in human leukemia K562 cells, which is associated with p21-Rb and p16-Rb pathways.

연령에 따른 흰쥐 신사구체의 변화에 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An Ultrastructural Study on the Renal Glomeruli of the Aging Rat)

  • 양남길;한종원;안의태;고정식;박경호
    • Applied Microscopy
    • /
    • 제17권1호
    • /
    • pp.47-64
    • /
    • 1987
  • Morphological difference of the renal glomerulus at different age groups have been studied in young (three month-old), adult (twelve month-old) and old (thirty month-old) Fisher strain 344 rats. Pieces of the tissues were taken from renal corticies prefixed with 2.5% glutaraldehyde-1.5% paraformaldehyde (0.1 M Millonig's phosphate buffer, pH 7.3), following by post-fixation with 1% osmium tetroxide (0.1 M Millonig's phosphate buffer, pH 7.3) and embedded within Araldite. The ultrathin sections contrasted with uranyl acetate and lead citrate were observed under a JEM 100CX electron microscope. The mean thickness of glomerular basal lamina and Bowman's capsule were determined by measuring the thinnest portion of basal lamina, and by taking the average of 50 readings from electron micrographs at different ages. The numerical changes of the slit pores were compared based upon the numbers over the length of 10um of glomerular basal lamina.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The thickness of glomerular basal lamina is increased during aging; 140.4 nm in young rats, 270.0 nm in adult ones, and 437.8 nm in old ones. 2. The thickness of basal lamina of parietal cells of Bowman's capsule is 187.5 nm in young rats, 914.0 nm in adult ones, and 2850.0 nm in old ones. 3. The numbers of the slit pores of basal lamina are reduced during aging, 30.3 slit pores/$10{\mu}m$ in adult ones, and 24.2 slit pores/$10{\mu}m$ in old ones. 4. Accumulation of dense intracytoplasmic filamentous material in the parietal cells of Bowman's capsule is increased in the vicinity of the basal lamina during aging. The proximal tubule-like epithelial cell in Bowman's capsule is observed at one glomerulus in a young rat. 5. The endothelial cells are edematous and form balloon-like structure protruding into capillary lumen in young and old rats. 6. Cytoplasm of the podocyte shows a variety of alteration during aging, such as swelling of mitochondria and of endoplasmic reticulum, and increase of microtubules, microfilaments, lysosomes and lamellated myelin structures, etc. Accumulation of dense intracytoplasmic material in the foot processes is increased in the vicinity of the basal lamina during aging. The podocytic membrane-like structures are seen in young and o]d rats. 7. The mesangial matrices and mesangial cells are increased during aging, and slight swelling of endoplasmic reticulum and Golgi cisternae in young and old rats.

  • PDF

Interleukin-1의 기관지 투여 후 나타나는 폐세척액 내 대식세포의 수적변화에 따른 Xanthine Oxidase의 활성변화 (Increase of Alveolar Macrophages Contributes to the Enhanced Xanthine Oxidase Activity in the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of Rats Given IL-1 Intratracheally)

  • 조현국;윤종국;최정목;박원학;이영만
    • Applied Microscopy
    • /
    • 제31권3호
    • /
    • pp.275-285
    • /
    • 2001
  • 폐포강 대식세포는 사이토카인, 유해산소 대사물을 포함한 그들이 분비하는 물질들로 인해 급성 폐손상에 있어서 직접, 간접적으로 폐손상의 초기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interleukin-1\alpha$(IL-1)로 유도된 급성 폐손상에서 폐포강 대식세포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군은 대조군과 IL-1투여 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그리고 5시간군으로 나누었으며, 폐포강 대식세포와 XO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폐세척액 내 XO의 활성도와 폐포강 대식세포, 단핵구, 그리고 호중구의 수적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각 군의 미세구조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폐포강 내 단핵구의 수는 IL-1투여 후 1시간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p<0.001), 폐포강 대식세포의 수는 IL-1 투여 2시간 후에 가장 높았고, 폐세척액 내 XO의 활성도는 IL-1 투여 후 점차적으로 증가되다가 3시간 후에 현저히 증가되었다(p<0.05). 폐포강 내 호중구의 수는 IL-1투여 3시간 후부터 뚜렷이 증가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IL-1을 기관지 내로 투여한 후 유도된 급성 폐손상에서 폐포강 대식세포에서 유리된 XO는 호중구의 축적에 의한 손상보다 더 초기단계에서 폐손상을 유도하는 인자인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생쥐 근위세뇨관에서 납에 의한 신장 독성에 대한 스쿠알렌의 효과 (Effects of Squalene on Renal Toxicity Induced by Lead Acetate in Proximal Tubules of the Mice)

  • 김종세;이유현;이준행
    • Applied Microscopy
    • /
    • 제34권3호
    • /
    • pp.185-197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납중독에 의한 신장 기능 손상에 대한 스쿠알렌의 효과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ICR계 건강한 생쥐를 사용하여 납과 스쿠알렌을 복강 투여한 후, NO와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군 설정은 다음과 같다. 실험군 1은 정상군, 실험군 2는 납 (30 mg/kg)만 처치한 군, 실험군 3은 납을 처치하고 스쿠알렌 (180 mg/kg)도 함께 처치한 군으로 각 실험군 당 생쥐 10마리를 사용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군 2의 경우, 미토콘드리아 신장, 사립체내막의 파괴, 소포체에서 리보소옴의 탈락이 24, 48시간동안 관찰되었고, 72시간부터 서서히 회복 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실험군 3의 경우 실험군 2에 비해 손상 정도가 덜 하였으며, 48시간 이후부터 정상군과 유사한 소견을 보였다. NO의 경우 실험군 2에서는 NO 수치가 감소하였다. 하지만, 실험군 3의 경우 정상군보다 NO가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납에 의한 NO 수치 감소에 대해 회복 효과를 보였다. 위와 같은 결과로 보아, 스쿠알렌이 신장 근위세뇨관에 미치는 납 독성을 감소시키면서 빠른 회복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배양된 이자섬 $\beta$세포의 미세구조적 변화와 인슐린 분포 양상 (Ultrastructural Change and Insulin Distribution of the Cultured Pancreatic Islet $\beta$-cell)

  • 민병훈;김수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37권4호
    • /
    • pp.249-258
    • /
    • 2007
  • 이자섬은 이자를 구성하는 외분비조직에 둘러싸여 존재하는 내분비세포의 집단으로, 이자섬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은 $\beta$세포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며, 세포질의 리보좀에서 합성되고 골지체를 경유하여 세포질로 방출되는 기작을 가지고 있다. 충분한 양의 이자섬 이식은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인 제1형 당뇨병에서 정상혈당을 회복시키고, 당뇨 합병증을 방지할 수 있는 치료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당뇨병 환자에게 이식을 위한 이자섬의 양에 비해 공여자로부터 증여된 이자섬의 양은 제한적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이자섬의 증식으로 연구되고 있으나, 배양된 이자섬이 정상 조직내의 이자섬과 형태적 기능적으로 동일한 것인지에 관한 연구는 미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리된 이자섬과 배양된 이자섬을 구성하는 세포들의 내부구조의 변화를 주사전자현미경,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세포의 미세구조를 확인하고, 인슐린 항체를 이용한 $\beta$세포 내의 인슐린 분포양상을 확인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분리된 이자섬의 $\beta$세포는 일반적인 핵 미토콘드리아, 세포질세망 그리고 인슐린 과립이 분포하고, 배양된 이자섬 $\beta$세포의 경우 분리된 이자섬에 비하여 일반적인 핵의 모습과 부피가 증가한 세포질과 미토콘드리아, 세포질세망 그리고 골지체의 발달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인슐린 과립의 경우 분리된 이자섬에 비해 감소하며, 세포막 주위에 분포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배양된 이자섬에서 관찰되는 인슐린 과립 분포의 변화, 세포질세망의 증가, 골지체의 발달은 배양된 이자섬 $\beta$세포의 인슐린 생성 분비 기능의 향상과 부피의 증가가 이루어지기 위한 세포 내부의 형태적 변화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측된다.

흰민들레(Taraxacum coreanum)추출물이 급성 수은 중독된 생쥐의 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andelion (Taraxacum coreanum) Extracts on the Mouse Liver with Acute Toxicated by Mercury Chloride)

  • 정민주;윤중식;허진;노영복;최영복;김종세;이현화
    • Applied Microscopy
    • /
    • 제38권1호
    • /
    • pp.1-10
    • /
    • 2008
  • 본 연구는 급성 수은 독성에 대한 민들레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30 g 내외의 생쥐를 대상으로 대조군, 수은(5 mg/kg) 투여군, 수은 투여 후 민들레(3 g/kg)를 구강투여 한 후 다시 24, 48, 72, 96시간, 1주일군으로 세분하여 간장 손상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생화학적 및 조직학적 실험을 실시하였다. 혈액중 aspartate amiotransferase (AST)와 alanine aminotransferase (ALT)의 수치는 민들레 투여군이 수은 투여군보다 감소되었다. 또한 간조직의 SOD와 catalase활성도 역시 민들레 투여군이 수은 투여군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간 조직의 광학현미경적 관찰에서 심한 조직괴사가 관찰되지만 민들레 투여군에서는 문맥주위의 약간의 괴사와 심한 호중구 침윤현상이 관찰되었다. 전자현미경적 관찰 결과, 간장에서 수은 투여군은 간세포의 핵이 함입되어 불규칙했으며 미토콘드리아와 조면소포체의 수조가 팽대되고, 리보솜의 탈락이 관찰되었다. 민들레 투여군은 핵이 정상적인 상태로 관찰되었고, 전자밀도가 높은 미토콘드리아가 분포되어 있었으며, 리보솜이 부착된 상태로 층판구조를 형성하는 조면소포체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보아 민들레가 수은으로 유발된 간손상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민들레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조직내 및 배야기내 자유생활아메바의 전자현미경적 비교연구 (Ultrastructural observation of Naegleyiu fowleri trophozoite in mouse brain and axonic culture)

  • 유재숙;소진탁임경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2권2호
    • /
    • pp.259-266
    • /
    • 1984
  • 원발성 아메바성 뇌수막염 (primary amoebic rneningoencephalitis; PAM)을 일으키는 자유생황아메바인 Svaegleria few입번를 사용하여 액체배지에서 무균적으로 배양된 영양형과 실험적으로 감염시켜 얻은 마우스 뇌조직에 존재하는 영 양형의 미세구조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비교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마우스 뇌 조직내의 영양형은 다소 등근 모양인데 반해 액체배지에서 무균배양하여 엎은 영양형은 불규칙한 모양을 보였다. 2. 배 양기에서 얻은 아메바 세포질내 mitochondria 는 난원형, 구형 및 원통형 등 형태가 다양한데 마우스 뇌 조직내의 아메바에서는 이러한 형태 이외에 아령 모양이 특이하게 있었고 배양기내 아메바의 mitochondr심는 진하게 염색되나 마우스 뇌 조직내의 아메바에서 는 진한 것과 흐린 것이 모두 있었다. 3. 조면세포질내세망(rER)의 형태에 있어 마우스뇌조직내 아메바에서는 세관(microtubule)모양인데 비해 배 양기내 아에 바에서는 세관모양 이외에도 소낭(vesiole) 모양이 관찰된다. Ribosome은 배양기내 아메바에서는 free ribosome이 많은 반면 마우스 뇌조직내 아메바에서는 polysome이 많았다. 4. 배양기내 아메바에서는 내용물이 없는 액포(vacuole)가 많고 그 안에 미엘린양 구조가 존재함을 보앗다. 이것으로 아메바는 마우스 뇌조직내에서 강한 식작용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5. Naegleria fowleri에 감염된 마우스 뇌조직은 괴사가 심하였다. 침윤된 염증세포로 다핵백혈구가 많았고, 아메바는 혈관 주위에 많았다.

  • PDF

과량의 방사선 국소조사가 흰쥐 소뇌 Purkinje세포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 (Ultrastructural Study on the Cerebellar Purkinje Cell of the Head-Irradiated Rat)

  • 안의태;윤규태;양남길;고정식;박경호;김진국
    • Applied Microscopy
    • /
    • 제24권2호
    • /
    • pp.48-62
    • /
    • 1994
  • The acute irradiation effect on rat Purkinje cell was carried out. Anesthetized rats, weighing 200-250g each, were exposed their heads to the linear accelerator (ML-4MV) with the doses of 3,000 rads or 6,000 rads respectively. Irradiated rats were sacrificed by perfusion fixation under anesthesia, six hours, two days and six days following the irradiations. Rats were perfused with the fixative of 1% glutaraldehyde-1% paraformaldehyde solution (pH 7.4). Small pieces of cerebellar cortices were taken out. Tissue blocks were washed out, and were refixed in the 2% osmium tetroxide solution. After dehydration, tissues were embedded in the araldite mixture. Ultrathin sections stained with uranyl acetate-lead citrate solution, were examined with an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observed were as follow; 1. Many dark Purkinje cells exhibited most severe cellular alterations on 6 hours. But after the 2 or 6 days, the cells exhibited only some alterations of cytoplasmic organelles. 2. Many granular and agranular endoplasmic reticula exhibited the fusion of cisterns. These reticular alterations were most severe on 6 hours following irradiation. But the alterations were hardly found on 6 days. 3. In the Golgi region, alterations including the adhesion of lamelliform cisterns, enlarged saccules, and increased number of vesicles, etc, were seen on 6 hours. But the Golgi complexes were almost recovered on 6 days. 4. Lysosomes were abundant on 6 hours or 2 days, but some residual bodies were found on 6 days. 5. Mitochondrial changes were also most severe at on hours, and they were recovered thereafter. From th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cerebellar Purkinje cells reacted to the high doses of irradiation by hyperactive protein synthesis, autolytic activities and energy metabolism. The reaction was most active in the early stage. It implies that motor-control function of Purkinje cells are severely disturbed in the early stage of irradiation.

  • PDF

N-nitroso-N-methylurethane으로 유도된 급성 폐손상에서 호중구에 의한 산화성 스트레스의 역할 (Neutrophilic Respiratory Burst Contributes to Acute Lung Leak in Rats Given N-nitroso-N-methylurethane)

  • 김성은;김덕영;나보경;이영만
    • Applied Microscopy
    • /
    • 제33권1호
    • /
    • pp.1-16
    • /
    • 2003
  • 급성호흡곤란증후군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을 포함한 급성폐손상의 기전을 산화성스트레스와 연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N-nitroso-N-methylurethane (NNNMU)은 실험동물에 있어서 사람에서 보이는 ARDS와 유사한 병리학적인 소견을 보이므로 ARDS의 모델로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흰쥐에서 NNNMU로 급성폐손상을 유도한 뒤 이를 Lung weight/Body weight ratio, 폐포세척액(BAL)내의 단백함량을 측정하여 확인하고, 동시에 호중구의 침윤에 의한 산소기형성, 이에 따른 산화성스트레스를 확인하기 위하여 BAL 내의 호중구수의 산정 및 폐장의 MPO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동시에 광학현미경, 전자현미경 및 세포화학적 전자현미경법을 이용하여 호중구에 의한 급성폐손상, 호중구의 침윤 및 미세구조의 변화 및 산소기의 생성을 확인하였다. 대조군에 비하여 NNNMU를 투여한 흰쥐에서는 BAL 내의 단백질이 증가하고 BAL 내의 호중구의 증가, 폐장의 MPO 활성도의 증가로 호중구의 침윤이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광학현미경상 호중구의 침윤, 폐포내 호중구의 유입 및 vascular cuffing 등이 관찰되었다. 전자현미경 소견상 제2형 폐포세포는 산화성 스트레스의 전형적 소견을 보이고 조직의 손상은 호중구에 의한 손상으로 생각되었으며 세포화학적 전자현미경법으로 산소기의 생성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할 때 NNNMU에 의한 급성폐손상은 호중구의 산소기 생성에 의한 산화성스트레스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