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ltrasonic Scanning

검색결과 284건 처리시간 0.032초

STAM 토모그라픽 영상의 분해능 해석 (An Analysis on the Resolution of Tomographic Images in STAM)

  • 황기환;고대식;전계석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3-38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음향-광 효과를 이용한 STAM 시스템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토모그라픽 영상의 분해능을 해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BFP 토모그라픽 복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초음파변환기 회전장치와 시료 회전장치에 대한 측방향과 축방향 분해능을 해석하였다. Matlab을 이용한 분석결과, 축방향 분해능은 두 회전장치 모두 약 1.5 파장정도로 좋은 분해능을 나타내었다. 측방향 분해능은 시료 회전장치인 경우 x와 yqkdgid에서 0.53 파장의 동일한 분해능을 보였으며 초음파변환기 회전장치인 경우에는 x와 yqkdgid에서 각각 0.56 및 0.70 파장의 분해능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STAM 시스템은 시료회전장치를 사용할 때 더 좋은 분해능을 얻을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Generation of sub-micron (nano) bubbles and characterization of their fundamental properties

  • Kim, Sangbeom;Kim, Hyoungjun;Han, Mooyoung;Kim, Tschungil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4권3호
    • /
    • pp.382-388
    • /
    • 2019
  • Although nanobubbles attract significant attention, their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s have not been thoroughly defined. There are diverse opinions about the definition of nanobubbles and controversy regarding methods that verify their characteristics. This study defines nanobubbles as having a size less than $1{\mu}m$. The generation of these sub-micron (nano) bubbles may be verified by induced coalescence or light scattering. The size of a sub-micron (nano) bubbles may be measured by optical, and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Also, the size may be estimated by the relationship of bubble size with the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However,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accurately define the average bubble size. The zeta potential of sub-micron (nano) bubbles decreases as pH increases, and this trend is consistent for micron bubbles. When the bubble size is reduced to about 700-900 nm, they become stationary in water and lose buoyancy. This characteristic means that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sub-micron (nano) bubbles by volume may be possible by irradiating them with ultrasonic waves, causing them to merge into micron bubbles. As mass transfer is a function of surface area and rising velocity, this strongly indicates that the application of sub-micron (nano) bubbles may significantly increase mass transfer rates in advanced oxidation and aeration processes.

Thermal resistance effect of graphene doped zinc oxide nanocomposite in fire retardant epoxy coatings

  • Rao, Tentu Nageswara;Hussain, Imad;Riyazuddin, Riyazuddin;Koo, Bon Heun
    • Journal of Ceramic Processing Research
    • /
    • 제20권4호
    • /
    • pp.411-417
    • /
    • 2019
  • Graphene doped zinc oxide nanoparticles (G-ZnO) were prepared using modified hummer's technique together with the ultrasonic method and characterized by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X-ray powder diffraction (XRD),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and high-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HRTEM). Different samples of epoxy resin nanocomposites reinforced with G-ZnO nanoparticles were prepared and were marked as F1 (without adding nanoparticles), F2 (1% w/w G-ZnO), and F3 (2% w/w G-ZnO) in combination of ≈ 56:18:18:8w/w% with epoxy resin/hardener, ammonium polyphosphate, boric acid, and Chitosan. The peak heat release rate (PHRR) of the epoxy nanocomposites was observed to decrease dramatically with the increasing G-ZnO nanoparticles. However, the LOI value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increase in wt % of G-ZnO nanoparticles. From the UL-94V data, it was confirmed that the F2 and F3 samples passed the flame test and were rated as V-0. The results obtained in the present work clearly revealed that the synthesized samples can be used as efficient materials in fire-retardant coating technology.

Microwave Assisted Synthesis of Graphene-Bi2MoO6 Nanocomposite as Sono-Photocatalyst

  • Tang, Jia-Yao;Zhu, Lei;Fan, Jia-Yi;Sun, Chen;Oh, Won-Chun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8
    • /
    • 2022
  • In this investigation, Bi2MoO6 deposited graphene nanocomposite (BMG) was synthesized using a simple microwave assisted hydrothermal synthesis method. The synthesized BMG nanocomposite was characterized by X-ray diffrac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with energy dispersive X-ray analysis, and photocurrent analysis. The study revealed that the catalysts prepared have high crystalline nature, enhanced light responsive property, high catalytic activity, and good stability. XRD results of BMG composite exhibit a koechlinite phase of Bi2MoO6. The surface property is shown by SEM and TEM, which confirmed a homogenous composition in the bulk particles of Bi2MoO6 and nanosheets of graphene. The catalytic behavior was investigated by the decomposition of Rhodamine B as a standard dye. The results exhibit excellent yields of product derivatives at mild conditions under ultrasonic/visible light-medium. Approximately 1.6-times-enhanced sono-photocatalytic activity was observed by introduction of Bi2MoO6 on graphene nanosheet compared with control sample P25 during 50 min test.

아말감 수복시(修復時) Cavity varnish와 Bonding agent 도포(塗布)에 따른 접합성(接合性)에 관(關)한 주사전자현미경적(走査電子顯微鏡的) 연구(硏究)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MARGINAL ADAPTIBILITY IN APPLYING THE CAVITY VARNISH AND DENTIN BONDING AGENT IN AMALGAM RESTORATIONS)

  • 김석훈;조영곤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5권1호
    • /
    • pp.107-119
    • /
    • 199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arginal adaptability of the amalgam restorations in applying the cavity varnish (Copalite$^{(R)}$) and dentin bonding agent (Scotchbond 2$^{(R)}$) under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or this study, eighteen sound extracted human molars were selected. Class I cavities in 12 teeth and class V cavities in 6 teeth were prepared using an air turbine with No. 701 tungsten carbide bur and finished using a low speed handpiece with No. 557 fissure bur. The prepared specimens were then divided into three groups including 4 class I cavities and 2 class V cavities in each group and restored as follows ; Group I. All the prepared cavities were restored with amalgam only (Control). Group II. Two layers of Copalite$^{(R)}$ cavity varnish were applied to the cavities with a gentle stream of air after each application and cavities were restored with amalgam. Group III. The enamel cavity margins were etched with 37% phosphoric acid gel for 60 sec., rinsed for 30 sec. and dried. One layer of visible lightcured Scotchbond Dental Adhesive$^{(R)}$ was applied and immediately cured for 20 seconds with visible light-cure unit and cavities were restored with amalgam. All the specimens were cut at the neck of the teeth and the occlusal halves of specimens were sectioned buccolingually in the longitudinal axis centering the amalgam restorations, using the disk. The cut specimens were ground with sandpapers (400, 600, 800, 1000 grit), and cleaned for 5 minutes in the ultrasonic cleaner (Brason Co. U.S.A.). In the cut surfaces, the amalgam - tooth interfaces were examined under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JSM, 35C type, JEOL).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amalgam-tooth interfaces were reduced more significantly in the Copalite$^{(R)}$ and Scotchbond 2$^{(R)}$ application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2. In the class I cavities, the Scotchbond 2$^{(R)}$ application group showed the findings similar to the Copalite$^{(R)}$ application group in the cavity floor, and the marginal adaptability was better in the side wall than in the cavity floor. 3. In the class I cavities, the Scotchbond 2$^{(R)}$ application group showed better marginal adaptability in the occlusal margin than in the gingival margin. 4. The marginal adaptability was in the order of the Scothbond 2$^{(R)}$ application group, the Copalite$^{(R)}$ applicat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 PDF

복합적층판(復合積層板)의 기계적(機械的) 체결부(締結部)에 관한 파손연구(破損硏究) (Damage Study on the Mechanical Fastening in Laminated Composites)

  • 송관형
    • 대한조선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8-66
    • /
    • 1990
  • 기계적 체결방법은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고 본드접착에 의한 결합보다 신뢰도가 높은 장점이 있으나 원공으로 인한 높은 응력집중을 초래하고 국부적으로 집중된 응력 재분포의 메카니즘이 등방성 재료와는 달리 매우 복잡하고 실적 데이타 및 실험자료가 거의 없어, 복합재료구조물의 결합방법으로 많은 연구 검토를 필요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시편은 $[0^{\circ}/45^{\circ}90^{\circ}/-45^{\circ}]_s$ 적층판으로 W(시편의 폭)/d(핀의 직경) 및 L(edge의 거리)/d를 변화시키면서 실험을 수행하여 기하학적 형상 및 적층강도 변화에 따른 파손강도 및 파손양상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이론해석 값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라 최적기법으로 만든 새로운 변수 $\alpha,\;\beta,\;\gamma$를 재료상수로 취급하여 W/d및 L/d와 체결강도와의 관계식을 이용하면, 동일한 재료로 제작한 적층판의 체결강도를 8%이내의 오차로 예측 가능하다. 초음파 탐상법(Ultrasonic C-scanning)으로는 손상영역 탐색 및 손상영역 확대과정을 파악하고, X-ray로는 몇 단계 하중상태에서 손상부를 촬영하였고,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s)을 이용 원공주위 파손부의 균열의 진전상태를 미시적으로 관찰하였다. 파손강도 및 파손양상에 대한 실험결과와 FEM이론해석 모델에 예측한 값과의 차이는 $L/D=2{\sim}3$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일치하였다.

  • PDF

한우 암소의 흉위, 초음파 측정 배장근단면적, 등지방두께, 근내지방도에 대한 발육곡선 추정 및 신체충실지수 효과 (Effects of Body Condition Score and Estimation of Growth Curves for Chest Girth and Ultra Sonic Longissimus Muscle Area, Backfat Thickness and Marbling Scores in Hanwoo(Korean cattle) Cows)

  • 이득환;이길환;조충일;김내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5호
    • /
    • pp.581-590
    • /
    • 2008
  • 한우암소의 도축형질에 대한 월령별 발육성장경향을 알아보고 종축으로 활용한 한우 암소의 유전평가에 사전 보정을 위한 참고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한우 초음파 성적 27,410기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 고려한 형질은 초음파 측정 시 조사된 흉위 및 신체충실지수 및 도축성적으로써 배장근단면적, 등지방두께 및 근내지방도 등 이었다. 분석결과 번식우로써 활용되는 생후 15개월령 이상부터 약 7년령까지 흉위, 배장근단면적, 등지방두께 및 근내지방도는 신체충실지수에 대한 곱의 보정을 실시함이 유전분석의 편의성을 배제하여 분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월령별 발육특성에서는 흉위의 경우 성 성숙이 완전 이루어지고 번식우로서 공용되는 3세 이전에 99% 이상의 발육이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배장근단면적의 경우에는 흉위의 발육곡선보다는 다소 성장이 늦었지만 흉위와 유사한 발육성장특성을 보였다. 반면에 등지방두께의 경우에는 환경요인에 의한 영향이 많았으며 7년령까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경향을 보였고 근내지방도의 경우에 5년생까지 거의 성숙이 완료되었지만 개체간 변이가 상당히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추정된 성장곡선 함수식은 한우 암소의 유전평가를 실시할 때 월령에 대한 환경요인의 사전 선형보정을 위한 함수식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분무열분해로 합성한 수전해용 Co3O4의 입자형태에 따른 산소발생 활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xygen Evolution Activity of Co3O4 with different morphology prepared by Ultrasonic Spray Pyrolysis for Water Electrolysis)

  • 김인겸;나인욱;박세규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4권6호
    • /
    • pp.854-862
    • /
    • 2016
  • 최근 화석연료를 대체할 친환경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수소에너지가 미래 대체에너지원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수소를 생산하는 방법 중 수전해 기술은 에너지효율과 안정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지만, 산소발생반응시 발생하는 높은 과전압은 여전히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무열분해 공정을 통하여 Co 전구체로부터 $Co_3O_4$를 제조하였다. 또한, urea, sucrose, citric acid의 유기물첨가제를 사용하여 다양한 입자 크기와 표면형상을 가지는 $Co_3O_4$를 제조하였고, 필요에 따라 추가로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합성한 $Co_3O_4$의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X-선 회절 분석(XRD)으로 결정성을 조사하였고, 주사전자현미경(SEM)과 투과전자현미경(TEM)으로 입자형상 및 표면을 분석하였다. 질소 흡 탈착 시험을 통해 촉매의 비표면적 및 기공부피를 측정하였고, 질소도핑을 확인하기 위해 X-선 광전자 분광법(XPS)을 사용하였다. 촉매의 산소발생반응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3전극 셀에서 선형주사전위법(LSV)으로 전기화학적 거동을 분석하였다.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은 $Co_3O_4$가 가장 우수한 활성을 보였고, 이는 분무열분해법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형성과 높은 비표면적의 영향인 것으로 판단된다.

다양한 치태조절기구가 타이타늄 임프란트의 표면조도와 형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arious Plaque Control Devices on Roughness and Morphology of Titanium Implant Surface)

  • 최승환;임정수;송인택;김형섭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8권2호
    • /
    • pp.337-350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surface roughness and morphologic changes after use of various plaque control devices to titanium implant surfaces. The study materials were 6 ITI titanium implants($Bonefit^{(R)}$) and 5 plaque control devices. 6 implants were divided into 6 different groups and instrumented by each plaque control devices as follows. 1) Group I : untreated control 2) Group II : Titanium curette(Titanium $curette^{(R)}$, 3i) 80 vertical/horizontal strokes 3) Group III : Plastic curette($Implacare^{(R)}$, Hu-Friedy) 80 vertical/horizontal strokes 4) Group N : Plastic tip-ultrasonic scaler($Amdent^{(R)}$, Amdent) 160 seconds 5) Group V : Rotating interdental brush($Identobrush^{(R)}$, Identoflex) 160 seconds 6) Group VI : Abrasive rubber cup polisher($Zircate^{(R)}$, Prophy paste, Dentsply) 160 sec-onds. All specimens were prepared for evaluation by surface roughness tester, optical stereomicroscopy(OM)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The Ra and Rt mean values of the tested specimens were 1) Group I ($Ra=0.170{\pm}0.007{\mu}m$, $Rt=1.297{\pm}0.016{\mu}m$) 2) Group II ($Ra=0.209{\pm}0.006{\mu}m$, $Rt=1.602{\pm}0.110{\mu}m$) 3) Group III ($Ra=0.179{\pm}0.001{\mu}m$, $Rt=1.429{\pm}0.055{\mu}m$) 4) Group IV ($Ra=0.182{\pm}0.005{\mu}m$, $Rt=1.511{\pm}0.085{\mu}m$) 5) Group V ($Ra=0.301{\pm}0.008{\mu}m$, $Rt=1.882{\pm}0.131{\mu}m$) 6) Group VI ($Ra=0.147{\pm}0.010{\mu}m$, $Rt=1.059{\pm}0.021{\mu}m$) In Ra values, experimental group II, V, VI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when compared with control. OM and SEM observation showed that experimental group III, IV were minimal changes when compared with control and group VI was smoothest among other experimental groups. The results suggested that plastic curette and plastic tip-ultrasonic scaler were predictable devices to titanium implant surface.

  • PDF

마애불 암반의 단열특성과 지질맵핑을 이용한 안정성 해석 (Rock Mass Stability of the Buddha Statue on a Rock Cliff using Fracture Characteristics and Geological Face-Mapping)

  • 임명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539-544
    • /
    • 2023
  • 연구 대상은 경상북도 ◯◯시 ◯◯동에 위치한 마애여래입상 암반으로서 안정성이 우려되는 중생대 백악기 화강섬록암 마애불상이다. 안정성 해석을 위해 마애불 암반의 3차원 face mapping과 절리의 지질공학적 특성, 3차원 스캐닝, 초음파속도, 편광현미경 분석, 전자현미경 분석 및 XRD 분석을 수행하였다. 더불어 손상상태 조사, 평사투영해석, 암반분류 및 한계평형해석으로 마애불 암반의 안전율을 산정하였다. 구간별로 손상 및 가능한 붕괴의 유형과 규모는 암석의 풍화도와 절리면의 배향과 특성에 따라 다르나 쐐기파괴와 전도파괴가 소규모로 예상된다. face-mapping 자료, RMR, 암석의 물성·역학시험, 평사투영해석 및 한계평형해석으로 종합·검토한 결과, 마애불 암반의 건기 시와 우기 시의 허용안전율 1.2에 미달하여 안정성이 우려된다. 손상유형은 박리, 균열, 입상분해 및 초목생장, 균열 방향별 점유율은 전면이 가장 우세한 것으로 나타난다. 마애불 암석은 화강섬록암이며, 표면 변색의 물질은 K, Fe, Mg로 판명되었고, 4조의 절리 중 J1은 인장절리이고 나머지는 전단절리이다. 초음파탐사로 추정한 일축압축강도는 514kgf/cm2로서 대부분 연암과 일부 풍화암에 해당한다. 암반분류 결과 5등급으로 추산되며, 마애여래입상 전면부 불안정성이 예상된다. 기존의 문화재 안전진단의 방법과 더불어 이들 기법은 석조문화재의 객관적인 해석 및 안정성 검토의 합리적인 도구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