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lleung

검색결과 472건 처리시간 0.032초

울릉도산 참홍어(Beringraja pulchra)의 관능 및 영양 특성 (Sensory and Nutritional Characterizations of Mottled Skate Beringraja pulchra Caught off Ulleung Island, Korea)

  • 임양재;조현수;정경숙;황보규;강상인;허민수;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75-283
    • /
    • 2015
  • This study compared the sensory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mottled skate Beringraja pulchra caught off Ulleung Island (U-MS), Korea, with those caught off Daecheong Island (D-MS). Based on their trichloroacetic acid-soluble nitrogen content, free amino acid content, and taste value, the taste of intermediate weight female U-MS was superior to that of both other U-MS and D-MS. The urea content of U-MS was higher in females than males and increased in the order heavy>intermediate>light individuals. There was, however, no difference in urea content between U-MS and D-MS. The taste and flavor characterization results suggest that the level of ammonia, which was converted from urea, influenced the quality of fermented U-DS. With the exception of the light U-DS, the other U-MS exhibited no difference in terms of hardness.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of U-MS was higher in females than males and increased in the order intermediate > heavy > light individuals.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of U-MS was also higher than that of D-MS. The major amino acids of all MSs wer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leucine, and lysine.

Selection of Superior Trees for Larger Fruit and High Productivity in Sorbus commixta Hedl.

  • Kim, Sea-Hyun;Jang, Yong-Seok;Chung, Hun-Gwan;Choi, Myoung-Sub;Kim, Sun-Chang
    • Plant Resources
    • /
    • 제6권2호
    • /
    • pp.120-128
    • /
    • 2003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n analysis of the variation for leaf and fruit characteristics among the selected ten populations of Sorbus commixta Hedl. could be used for the conservation of gene resources and could provide information to superior trees selec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pproximately, the Mt. Sungin population at Ulleung island showed larger values in overall characteristics and populations. On the other hand, Mt. Halla population at Jeju island showed the smaller values of the overall characteristics and populations. ANOV A test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leaf characteristics among the populations as well as individual trees within populations. But, for fruit characteristics,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among the populations. Cluster analysis using single linkage method based on leaf and fruit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en selected populations of S. commixta in Korea could be clustered into three groups. Group I is Mt. Sungin at Ulleung island, Group II is Mt. Halla at Jeju island, and Group III comprises Osan, Mt. Kaji, Mt. Duckyoo, Mt. Balwang, Mt. Sobaek, Mt. O-dae, Mt. Jiri, and Mt. Taebaek. The selection level based on major agronomic traits, which are the Number of Fruit per Fruiting Lateral(NFL) over 50, and Fruit Length(FL) and Width(FW) over 10 mm, and Weight of 100 Fruit(WFI00) over 66 g, was applied on 100 sample trees, and five trees were selected. The selection effects from selected trees in NFL, FL, FW, and WF100 were evaluated as 132%, 151 %, 142%, and 264% compared to the mean of those 100 sample trees, respectively. Especially, Ulleung 2 showed excellent values that NFL and WFI00 were 95, and 69 g, respectively, suggesting a promising new cultivar for larger fruit and high productivity.

  • PDF

섬기린초에서 엽록체 DNA 염기서열의 종내 변이와 지리적 분포 양상 연구 (Intraspecific sequence variation of trnL/F intergenic region (cpDNA) in Sedum takesimense Nakai (Crassulaceae) and aspects of geographic distribution)

  • 이웅;박재홍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57-162
    • /
    • 2010
  • 우리나라의 울릉도와 독도에 분포하는 한국특산종인 섬기린초는 해안암석지대를 터전으로 넓게 분포하여 울릉도 생태계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섬기린초에 대한 엽록체 DNA의 trnL/F intergenic spacer 염기서열을 총 32개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정렬된 염기서열 중 하나의 6-bp indel (-ATTCAC-)에 의하여 두 개의 type (TYPE01: 297bp과 TYPE02: 291bp)을 확인하였다. 확인된 두 개의 엽록체 DNA type은 울릉도와 독도에서 뚜렷한 지리적 분포양상을 보여주었다. TYPE01은 울릉도(15개체)에서만 관찰되었고 TYPE02는 울릉도(12개체)와 독도(5개체)에서 확인되었다. 섬기린초는 하나의 6-bp indel에 의하여 서로 다른 두 개의 엽록체 DNA haplotype이 확인되고 뚜렷한 지리적 분포양상을 보여주기 때문에, 울릉도와 독도에 자생하는 개체군 내에 진화적으로 서로 다른 두 개의 계통이 있음을 추정할 수 있고 울릉도와 독도 간 원거리 분산 기작의 가능성을 지지하였다.

포텐셜 자료를 이용한 울릉분지와 독도 주변 지체구조 연구 (Tectonic Structure Modeling around the Ulleung Basin and Dokdo Using Potential Data)

  • 박계순;박준석;권병두;김창환;박찬홍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65-175
    • /
    • 2009
  • 연구지역을 포함하는 동해는 환태평양 화산 및 지진대 뒤쪽에 형성된 전형적인 후열도해이다. 기존 연구에 의하면 동해는 인장력을 받아 열리기 시작하여 현재 동해의 모습을 갖추었다고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러한 동해의 지체구조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선상에서 측정된 중 자력 자료 및 인공위성 중력 자료를 이용하여 울릉분지와 독도 주변 동해 지역의 지체구조 연구를 수행하였다. 3차원 심도역산 결과, 연구지역의 모호면은 13-25km정도의 심도를 갖으며 지각의 두께와 반비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또한, 동해의 확장과 함께 생성된 울릉분지는 인장력으로 인해 그 중심으로 갈수록 지각 두께가 감소하는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울릉분지 6-1광구 유기물의 열적 성숙도 특성 (Characteristics on Thermal Maturity of Organic Matter, Block VI-1 in the Ulleung Basin)

  • 정태진;이영주;류병재;오재호;김지훈;이성숙;박세진
    • 한국석유지질학회지
    • /
    • 제10권1_2호
    • /
    • pp.1-9
    • /
    • 2004
  • 울릉분지의 VI-1에서 최근에 상업적인 가스전이 발견되어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이와 같은 상업적 가스전을 발견할 때까지 많은 시추 탐사가 이루어졌으며, 많은 탐사 자료가 축적되었다 이들 탐사자료를 이용하여 VI-1 광구 내의 석유 시스템 규명에 필요한 유기물의 열적 성숙 특성을 연구하였다. 광구 내에서 유기물의 열적 성숙은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돌고래 5 구조에서 석유 생성대의 심도가 가장 얕으며, 이를 중심으로 하여 북쪽과 서쪽으로 가면서 석유 생성대 상한에 도달하는 심도가 깊어진다. VI-1광구의 변형대 2 지역에서는 구조 운동 이전에 현재의 열적 성숙도에 도달한 반면 다른 지역에서는 구조운동 이후에도 열적 성숙이 진행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 PDF

울릉도 나리분지의 입지유형별 토양특성 (Soil Characteristics by the Site Types around Nari Basin in Ulleung Island)

  • 정재민;문현식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6호
    • /
    • pp.45-50
    • /
    • 2010
  • 울릉도 나리분지 주변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입지유형별 (사면, 지형, 임분) 토양특성을 분석하였다. 사면별 토양분석 결과, 토양 pH와 유효인산 함량은 북사면이 다른 조사지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전질소 함량은 나리분지가 가장 낮았다. 지형별 분석 결과, 토양 pH는 산정의 5.13에서 나리분지의 5.59, 전질소 함량은 평지인 나리분지의 0.63%에서 산복의 0.87%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분별 토양특성 중 토양 pH, 전질소 및 유효인산 함량은 전조사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 식생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유효인산 함량은 사면별로는 2.79-8.46 ppm, 지형별로는 3.99-8.46 ppm, 임분별로는 5.03-11.59 ppm으로 나타나 일반 산림토양과 비교하면 아주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동해 울릉분지의 탄산칼슘 포화상태 (Calcium Carbonate Saturation State in the Ulleung Basin, East Sea)

  • 김소윤;정성희;이동섭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4권3호
    • /
    • pp.389-399
    • /
    • 2019
  • 동해 울릉분지의 탄산칼슘 포화상태를 1999, 2014, 2017, 2018년도 해양 조사를 통해 수집된 pH, 용존무기탄소(DIC), 총알칼리도(TA)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1999년에 비해 2010년대에 전 수심에서 탄산염 포화상태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2018년 현재 방해석과 선석의 포화면 수심은 각각 약 500 m와 200 m로 상승하였다. 탄산칼슘 포화상태를 결정하는 주된 화학종인 탄산이온은 상층과 심층에서 다른 분포를 보였다: 상층에서는 약 $175{\mu}mol\;kg^{-1}$로 비교적 높고, 심층에서는 $50{\mu}mol\;kg^{-1}$ 이하로 아주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탄산이온 농도의 감소 경향은 심층보다 상층에서 두드러졌는데, 이는 2000년대에 대기에서 이산화탄소의 침투가 주로 상층에서 일어나는 것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항온항습 환경에서 울릉도 시추코어의 건조·수포화 열전도도 (Thermal Conductivity of Dry and Saturated Cores from Ulleung Island 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

  • 이근수;이상규;이태종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21권4호
    • /
    • pp.220-230
    • /
    • 2018
  • 상온 환경에서 PEDB (Portable Electronic Divided Bar) 시스템을 이용하여 암석의 열전도도를 측정할 경우 실내온도 변화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항온항습기 내에서 열전도도를 측정하면 상온 환경에서 측정할 때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항온항습 상태에서 열전도도를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울릉도의 GH3, GH4 시추공에서 채취된 45개 시편에 대해 항온항습기 내에서 건조 및 수포화 열전도도를 측정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16개 시편에 대해 밀도 및 유효공극률을 측정하여 열전도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열전도도와 유효공극률 및 밀도의 상관성 분석결과, 수포화 시료보다는 건조시료에서 보다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특히 "수포화/건조 열전도도비"는 유효공극률과 매우 높은 상관성($R^2=0.90$)을 보였다.

한국의 화산지형 연구 (Volcanic landforms in Korea)

  • 김태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79-96
    • /
    • 2011
  • 화산지형은 분화에 따른 건설적인 작용으로 만들어지는 화산체와 파괴적인 작용에 의한 화구지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반도에는 두 유형의 화산지형이 모두 출현하고 있으나 현재 화산지형으로 인식되고 있는 사례는 제4기의 분화활동과 관련된 백두산, 제주도, 울릉도 그리고 중부지방의 추가령 일대에 국지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그 결과 우리나라에서 화산지형은 특수한 지형으로 분류되고 있다. 해방 이후 국내 연구자에 의한 화산지형 연구는 제주도는 1970년대, 울릉도와 추가령은 1980년대 그리고 백두산은 199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또한 제주도의 오름과 용암동굴에 관한 연구도 198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그러나 지형학의 다른 분야에 비하여 연구자와 연구성과는 매우 적은 편으로, 한반도 화산지형이 갖고 있는 가치를 고려할 때 앞으로 지형학자들의 적극적인 연구활동이 기대되는 분야이다.

동해 전역에 장기간 발달하는 아표층 엽록소 최대층과 수괴의 물리 화학적 특성과의 상관관계 (Prevailing Subsurface Chlorophyll Maximum (SCM) Layer in the East Sea and Its Relation to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ater Masses)

  • 노태근;이동섭;김규범;장경일;나태희;김경렬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4권4호
    • /
    • pp.413-430
    • /
    • 2012
  • 하계 울릉분지에서 관측된 SCM층은 울릉분지에만 국한되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동해 전역에서 관측되었다. 각기 다른 시기에 관측된 여러 문헌 자료와 하계 동해 전역에서 관측된 자료에 의하면 SCM층이 나타나는 시기는 5월부터 10월 하순까지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SCM층 바로 상층부에 표층보다 높은 용존산소가 관측되었고, SCM층이 영양염의 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수심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침강이나 낮은 광량에 대한 식물플랑크톤의 생리적인 적응보다는 식물플랑크톤이 활발하게 성장하고 있음 시사한다. SCM층에서 식물플랑크톤이 오랜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한 영양염 공급과정으로 수직 확산, 소형 및 중형동물플랑크톤의 재생산등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과정은 SCM층에서 식물플랑크톤 질소 요구량의 약 50% 정도만 설명할 수 있어 SCM층의 질소 요구량에 대한 추가적인 공급기작으로는 난수성 소용돌이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난수성 소용돌이가 발달하지 않은 해역과 시기에 관측된 SCM층에 영양염은 고온 저염의 특성을 가지면서 영양염이 고갈된 표층수 아래에서 대한해협을 통해서 유입되는 영양염이 비교적 풍부한 해수가 울릉분지내로 유입되어 북상하면서 유광층까지 직접으로 상승하거나 수평이동 응력의 차이로 발생하는 난류혼합등에 의해서 추가적으로 공급되는 것으로 사료된다(Fig. 17). 그리고 동해 전역에서 5월에서 10월까지 존재하는 SCM층은 표층에서 심층으로의 유기물 수송에 상당히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