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canic landforms in Korea

한국의 화산지형 연구

  • Kim, Taeho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1.12.13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Volcanic landforms are classified into the volcanic edifice produced through constructive processes of eruption and the crater generated by destructive processes of eruption. Both landforms are distributed around Korean Peninsula including attaching islands. However, only a few regions such as Mt. Baekdu, Jeju Island, Ulleung Island, and Chugaryeong, which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volcanic eruption occurred during the Quaternary, could be considered as a volcanic landform. It results in categorizing the volcanic landform as an unusual topography in Korea. The study of Korean researchers on the volcanic landform were regularized in 1970s on Jeju Island, in 1980s on Ulleung Island, and in 1990s on Mt. Baekdu, respectively. Oreums and lava tubes in Jeju Island have been also examined since 1980s. Compared with other fields of geomorphology, researches as well as researchers on the volcanic landform are very few in Korea. Geomorphologists are expected to perform an active research in that the volcanic landform of Korea have diverse values.

화산지형은 분화에 따른 건설적인 작용으로 만들어지는 화산체와 파괴적인 작용에 의한 화구지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반도에는 두 유형의 화산지형이 모두 출현하고 있으나 현재 화산지형으로 인식되고 있는 사례는 제4기의 분화활동과 관련된 백두산, 제주도, 울릉도 그리고 중부지방의 추가령 일대에 국지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그 결과 우리나라에서 화산지형은 특수한 지형으로 분류되고 있다. 해방 이후 국내 연구자에 의한 화산지형 연구는 제주도는 1970년대, 울릉도와 추가령은 1980년대 그리고 백두산은 199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또한 제주도의 오름과 용암동굴에 관한 연구도 198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그러나 지형학의 다른 분야에 비하여 연구자와 연구성과는 매우 적은 편으로, 한반도 화산지형이 갖고 있는 가치를 고려할 때 앞으로 지형학자들의 적극적인 연구활동이 기대되는 분야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