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biquity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28초

Potential for the Uptake and Removal of Arsenic [As (V) and As (III)] and the Reduction of As (V) to As (III) by Bacillus licheniformis (DAS1) under Different Stresses

  • Tripti, Kumari;Sayantan, D.;Shardendu, Shardendu;Singh, Durgesh Narain;Tripathi, Anil K.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38-248
    • /
    • 2014
  • The metalloid arsenic (Z = 33) is considered to be a significant potential threat to human health due to its ubiquity and toxicity, even in rural regions. In this study a rural region contaminated with arsenic, located at longitude $85^{\circ}$ 32'E and latitude $25^{\circ}$ 11'N, was initially examined. Arsenic tolerant bacteria from the rhizosphere of Amaranthas viridis were found and identified as Bacillus licheniformis through 16S rRNA gene sequencing. The potential for the uptake and removal of arsenic at 3, 6 and 9 mM [As(V)], and 2, 4 and 6 mM [As(III)], and for the reduction of the above concentrations of As(V) to As(III) by the Bacillus licheniformis were then assessed.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 for As(V) and As(III) was determined to be 10 and 7 mM, respectively. At 3 mM 100% As(V) was uptaken by the bacteria with the liberation of 42% As(III) into the medium, whereas at 6 mM As(V), 76% AS(V) was removed from the media and 56% was reduced to As(III). At 2 mM As(III), the bacteria consumed 100%, whereas at 6 mM, the As(III) consumption was only 40%. The role of pH was significant for the speciation, availability and toxicity of the arsenic, which was measured as the variation in growth, uptake and content of cell protein. Both As(V) and As(III) were most toxic at around a neutral pH, whereas both acidic and basic pH favored growth, but at variable levels. Contrary to many reports, the total cell protein content in the bacteria was enhanced by both As(V) and As(III) stress.

Tracking Position Control of DC Servo Motor in LonWorks/IP Network

  • Song, Ki-Won;Choi, Gi-Sang;Choi, Gi-He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rol, Automation, and Systems
    • /
    • 제6권2호
    • /
    • pp.186-193
    • /
    • 2008
  • The Internet's low cost and ubiquity present an attractive option for real-time distributed control of processes on the factory floor. When integrated with the Internet, the LonWorks open control network can give ubiquitous accessibility with the distributed control nature of information on the factory floor. One of the most important points in real-time distributed control of processes is timely response. There are many processes on the factory floor that require timely response. However, the uncertain time delay inherent in the network makes it difficult to guarantee timely response in many cases. Especially, the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LonWorks/IP network show a highly stochastic nature. Therefore, the time delay problem has to be resolved to achieve high performance and quality of the real-time distributed control of the process in the LonWorks/IP Virtual Device Network (VDN). It should be properly predicted and compensated. In this paper, a new distributed control scheme that can compensate for the effects of the time delay in the network is proposed. It is based on the PID controller augmented with the Smith predictor and disturbance observer. Designing methods for output feedback filter and disturbance observer are also proposed. Tracking position control experiment of a geared DC Servo motor is performed using the proposed control method.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controller is compared with that of the Internal Model Controller (IMC) with the Smith predictor. The result shows that the performance is improved and guaranteed by augmenting a PID controller with both the Smith predictor and disturbance observer under the stochastic time delay in the LonWorks/IP VDN.

전화의 이용과 충족 그리고 대인매체로서의 전화의 속성: 이동전화, 면대면 채널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Gratification Obtained from Telephone Use and Characteristics of Telephone as Interpersonal Communication Medium)

  • 배진한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18권
    • /
    • pp.131-164
    • /
    • 2002
  • 이 연구는 개방형 설문의 사전조사와 온라인 서베이를 사용한 본조사에서 수집된 자료에 근거하여 전화 이용에서 얻어지는 충족, 대인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 전화의 적합성, 그리고 전화의 통화상대와 면대면 접촉 상대간의 중복정도를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응답자들은 전화 이용에서 사교 정보 거래 오락 응급 안도 등의 충족을 얻고 있으며, 특히 여성은 남성보다 더 큰 충족을 얻는다는 점이 밝혀졌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상대가 윗사람이고, 당면한 커뮤니케이션상황이 부탁이나 조언을 구하는 등 인간관계상 부담이 큰 경우 면대면 접촉을 보다 적합하다고 인식한 반면 친구나 동료에게 단순 정보를 전달할 때는 오히려 이동전화기 더욱 적절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전화보다는 이동전화의 통화상대가 면대면 접촉 상대와의 중복도가 더 큰 것으로 밝혀져 이동전화는 즉시성 직접성이라는 매체 고유의 기술적 강점에도 불구하고 내집단의 경계를 뛰어넘는 집단간 커뮤니케이션보다는 내집단 성원간의 관계를 더욱 굳건히 하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모바일 쇼핑동기와 패션애플리케이션 수용 (Mobile Shopping Motives and Fashion Application Acceptance)

  • 이미진;이규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호
    • /
    • pp.153-163
    • /
    • 2013
  • 스마트기기의 보급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기업은 애플리케이션을 마케팅의 수단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특히 패션기업은 애플리케이션을 소비자와 소통하는 수단으로 이용하여 브랜드 노출과 이미지 개선을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기기 사용증가에 주목하여 모바일 쇼핑동기를 알아보고, 소비자의 패션애플리케이션 수용에 대한 지각과 패션애플리케이션의 여러 가지 속성에 대한 속성 중요도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20-40대 남녀를 대상으로 한 실증적 연구 결과, 모바일 쇼핑동기는 편리성, 편재성, 충동성, 경제성으로 구분되었고, 패션애플리케이션의 속성은 콘텐츠, 지속적 관리, 디자인/가시성, 다운로딩, 커뮤니티로 구분되었다. 모바일 쇼핑동기는 패션애플리케이션 속성 중요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패션애플리케이션 수용은 패션애플리케이션 속성 중요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패션애플리케이션의 잠재적 사용자라고 할 수 있는 모바일 쇼핑 사용경험자를 대상으로 연구함으로써 아직까지 활성화되지 않은 패션애플리케이션 속성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하였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 가치관과 대인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의 이동전화의 매체인식: 기성세대의 이중성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Communication Values on Perception of Mobile Phone As Interpersonal Communication Medium)

  • 배진한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21권
    • /
    • pp.87-113
    • /
    • 2003
  • 이 연구는 대인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의 이동전화 이용을 우리의 전통적인 커뮤니케이션 가치관과 연결시켜 다뤄보자는 의도에서 출발했다. 온라인조사방법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어린 세대보다 나이 많은 세대에서 전통적 커뮤니케이션 가치관이 더 큰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전통적 커뮤니케이션 가치관은 특히 나이 많은 세대에 있어서는 대인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 이동전화의 매체인식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즉, 전통적 커뮤니케이션 가치관에 공감하는 정도가 높은 나이 많은 세대는 어린 세대에 비해 이동전화의 효율성은 내심 인정하면서도 우리 사회의 전통적 커뮤니케이션 가치관에 영향을 받아 이동전화의 적합성은 낮게 평가하는, 소위 ‘이동전화에 대한 매체인식의 이중성’의 일단을 보여주었다는 것이다. 특히 커뮤니케이션 상대가 윗사람이고 커뮤니케이션 상황이 개인적인 부탁을 해야하는 인간관계의 부담이 큰 상황일수록 나이 많은 세대의 이러한 '이중성'은 어린 세대에 비해 더 극명하게 드러났다.

  • PDF

모바일 교통정보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의도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e Intention and Satisfaction of Mobile Transportation Information Applications)

  • 이창희;김명수;금기정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167-176
    • /
    • 2013
  • PURPOSES : Lately, a traffic information market has been developed with a rapid speed owing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In this situation, a study on the use intention and the satisfaction of mobile transportation information applications of users will be diverse implications and a strategic foundation to local governments and transportation information related enterprises that should provide satisfactory info as public goods to much more users. METHODS : Going along with the flow, this study establishes features of the mobile transportation information applications aiming to the users and analyzes empirical causality for effects of the use intension and the satisfaction. Through this study's analysis, targeting users having experienced transportation information applications among smart phone users, a survey was conducted and characteristics of the transportation information applications were lighted and the effects of the use intention and the satisfaction were analyzed using a technology acceptance model. RESULTS : The analysis result was that Accuracy, Riskiness, Ubiquity and Interactivity as all attributes of transportation information application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respectively.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have affected significantly users' satisfaction respectively, so consequentially this shows effect relationship leading to reuse intention. CONCLUSIONS :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all for the transportation information applications were shown to influence significantly on the satisfaction. With this kind of result, if users obtain positive outcomes such as travel time reduction or effective roles on their tasks through the transportation information applications, they feel the satisfaction for using and eventually these affect positively to the reuse intention of those transportation information applications.

저 사양 IoT 장치간의 암호화 알고리즘 성능 비교 (Comparison of encryption algorithm performance between low-spec IoT devices)

  • 박정규;김재호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79-85
    • /
    • 2022
  • 사물인터넷(IoT)은 다양한 플랫폼, 컴퓨팅 성능, 기능을 가지는 장치를 연결한다. 네트워크의 다양성과 IoT 장치의 편재로 인해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암호화 메커니즘은 이러한 증가된 요구 사항을 충족할 만큼 충분히 강력해야 하고 동시에 저 사양의 장치에 구현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효과적이어야 한다. 논문에서는 IoT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장치에 대한 최신 암호화 기본 요소 및 체계의 성능 및 메모리 제한 사항을 제시한다. 또한, IoT 네트워크에 자주 사용되는 저 사양의 장치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암호화 알고리즘의 성능에 대한 자세한 성능 평가를 수행한다. 데이터 보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바이너리 링에서 암호화 비대칭 완전 동형 암호화와 대칭 암호화 AES 128비트를 사용했다. 실험 결과 IoT 장치는 대칭 암호를 구현하는데 충분한 성능을 가지고 있었으나 비대칭 암호 구현에서는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OTT 특성이 지각된 가치, 사용자만족 및 OTT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쾌락적 혁신성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OTT Characteristics on Perceived Value, Use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in OTT: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Hedonic Innovativeness)

  • 박현선;김상현;손창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169-180
    • /
    • 2022
  •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으로 사람들이 실내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콘텐츠 소비가 증가하고, OTT(Over The Top) 서비스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OTT 서비스의 특성이 사용자가 지각하는 가치, 만족도, 지속적 이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437개의 응답을 수집하였고, AMOS 26.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OTT 서비스의 특성은 지각된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지각된 가치는 사용자 만족도와 지속적인 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 만족도 역시 OTT 서비스를 계속 이용하려는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OTT 서비스 특성과 지각된 가치 간의 관계에서 쾌락적 혁신은 편재성을 제외한 다른 모든 관계를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OTT 서비스 제공자가 사용자의 행동을 이해하는데 있엉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다.

Exploiting Natural Diatom Shells as an Affordable Polar Host for Sulfur in Li-S Batteries

  • Hyean-Yeol Park;Sun Hyu Kim;Jeong-Hoon Yu;Ji Eun Kwon;Ji Yang Lim;Si Won Choi;Jong-Sung Yu;Yongju Jung
    • Journal of Electrochem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5권1호
    • /
    • pp.198-206
    • /
    • 2024
  • Given the high theoretical capacity (1,675 mAh g-1) and the inherent affordability and ubiquity of elemental sulfur, it stands out as a prominent cathode material for advanced lithium metal batteries. Traditionally, sulfur was sequestered within conductive porous carbons, rooted in the understanding that their inherent conductivity could offset sulfur's non-conductive nature. This study, however, pivots toward a transformative approach by utilizing diatom shell (DS, diatomite)-a naturally abundant and economically viable siliceous mineral-as a sulfur host. This approach enabled the development of a sulfurlayered diatomite/S composite (DS/S) for cathodic applications. Even in the face of the insulating nature of both diatomite and sulfur, the DS/S composite displayed vigorous participation in the electrochemical conversion process. Furthermore, this composite substantially curbed the loss of soluble polysulfides and minimized structural wear during cycling. As a testament to its efficacy, our Li-S battery, integrating this composite, exhibited an excellent cycling performance: a specific capacity of 732 mAh g-1 after 100 cycles and a robust 77% capacity retention. These findings challenge the erstwhile conviction of requiring a conductive host for sulfur. Owing to diatomite's hierarchical porous architecture, eco-friendliness, and accessibility, the DS/S electrode boasts optimal sulfur utilization, elevated specific capacity, enhanced rate capabilities at intensified C rates, and steadfast cycling stability that underscore its vast commercial promise.

조직 내에서 테크노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테크노스트레스가 조직 내 스마트 기기 활용에 미치는 영향 (The Major Factors Influencing Technostress and the Effects of Technostress on Usage Intention of Mobile Devices in the Organization Context)

  • 홍세일;김병수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9권1호
    • /
    • pp.49-74
    • /
    • 2017
  • 스마트 기기의 발전은 종사자들의 업무환경뿐만 아니라 생활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스마트 기기는 업무 방식이나 절차를 간편하게 만들었으며, 언제 어디서든 팀원들과 자료를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등 많은 이점을 가져다주었지만, 한편으로는 업무의 과부화, 역할 모호성 등 많은 문제점 역시 야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업무 종사자들의 테크노스트레스가 업무 간 지속적인 기기활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어떻게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17명의 중소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델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테크노스트레스 선행요인 중 역할 모호성, 기술적 한계만이 테크노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고, 종사자들이 테크노스트레스를 느낄 때 정서 중심적 대처를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