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V-B조사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33초

환경 스트레스에 의한 벼의 Peroxidase, Superoxide dismutase 및 Diterpene cyclase 활성비교 (Comparision of Peroxidase, Superoxide dismutase and Diterpene cyclase Activity under Environmental Stress Conditions in Rice)

  • 정형진;신동현;박재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07-113
    • /
    • 2000
  • UV-B와 도열병병원균 접종들의 환경 스트레스에 의한 벼의 POD, SOD및 Diterpene cyclase등의 활성 변화를 조사하여 해 본 결과, 일품벼에서 POD 와 SOD활성이 가장 놓았고, 도열병진전에 따른 PDO활성은 감수성 품종인 일품과 화성은 증가하였으나 저항성 품종인 다산은 감소하였다. 키토산 처리에의한 SOD의 활성 변화는 처리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키토산 처리후 14일에서의 감수성품종인 화성의 SOD활성은 무처리 식물체에 비하여 높았다. UV-B조사 시간이 길수록 감수성품종인 일폼의 POD활성은 감소하였고, 저항성 품종인 다산은 증가하였다. 특히UV-B의 조사시간에 따른 다산의 POD활성은 차가 없었으나, 화성의 활성은 40분 조사처리시 2배 놓았다 UV-B처리에 비해 p.oryzae를 접종시는 diterpene cyclase의 활성이 놓아졌으며, 병원균 접종후 5일까지 효소활성이 검진적으로 증가하였다.

  • PDF

전기분해와 UV 조사에 의한 수중의 Rhodamine B의 제거(I) (Removal of Rhodamine B in Water by Ultraviolet Radiation Combined with Electrolysis(I))

  • 박영식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39-445
    • /
    • 2008
  • The feasibility study for the application of the removal and mineralization of Rhodamine B (RhB) was performed in a batch electrochemical reactor. The electro/UV process was consisted of DSA (dimensionally stable anode) electrode and UV-C or ozone lamp.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RhB removal by the ozone lam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UV-C lamp. Optimum current of the electro/UV process was 1 A. The electrochemical, UV and electro/UV process could completely degrade RhB, while a prolonged treatment was necessary to reach a high level RhB mineralization. It was observed that RhB removal in electro/UV process is similar to the sum of the UV and electrolytic decolorization.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COD of RhB could be degraded more efficiently by the electro/UV process (90.2 %) than the sum of the two individual oxidation processes [UV (19.7%) and electrolytic process (50.8%)]. A synergetic effect was demonstrated between the UV and electrolysis.

자외선 조사가 포도잎의 Stilbene 함량 및 잿빛곰팡이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UV Irradiation on Stilbene Contents and Gray Mold Incidence in Grapevine Leaves)

  • 최성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5호
    • /
    • pp.493-500
    • /
    • 2012
  • 포도 잎에서 병 발생을 경감하기 위한 수단으로 자외선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자외선을 조사한 포도 잎에서 stilbene 화합물의 함량 변화와 Botrytis cinerea 생장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자외선의 조사는 포도 잎에서 resveratrol, piceatannol, piceid의 함량을 크게 증가시켰으며, 특히 resveratrol과 piceid는 B. cinerea의 포자 발아와 균사 생장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다. 자외선 조사에 의해 포도 잎에 축적되는 resveratrol과 piceid의 농도는 B. cinerea의 생장을 억제하기에 충분할 것으로 생각되며 자외선을 조사한 포도 잎에 B. cinerea의 포자를 접종하였을 때 괴사 반점의 형성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stilbene 화합물은 체내 이동성이 거의 없고 자외선에 직접 노출된 잎에서만 함량이 증가하므로 병 발생 경감의 수단으로 자외선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수관 전체에 자외선을 균일하게 조사하는 방법의 도입이 필요해 보인다.

자외선 조사에 의한 버섯의 ergocalciferol(비타민 D) 함량의 증진 (Enhancement of ergocalciferol (vitamin D) content in mushrooms by UV irradiation)

  • 최성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81-386
    • /
    • 2017
  • Ergocalciferol은 vitamin D의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팽이(Flammulina velutipes), 느타리 (Pleurotus ostreatus), 애느타리(Pleurotus ostreatus), 새송이(Pleurotus eryngii), 양송이(Agaricus bisporus), 표고(Lentinula edodes), 목이(Auricularia auricula-judae) 등 7종의 버섯을 대상으로 자외선 조사에 따른 ergocalciferol(EC, 비타민 $D_2$) 함량의 증진 효과를 조사하였다.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버섯의 ergocalciferol 함량은 극히 낮았으나 자외선 조사에 의해 ergocalciferol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자외선 A, B, C 중 특히 자외선 B가 EC 함량 증진에 효과적이었다. 버섯에서 ergocalciferol의 생성은 자외선에 직접 노출되는 부위 즉 깊이 1 mm 이내의 버섯 표면에서만 일어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세절하지 않은 생 버섯에 자외선을 조사할 경우 팽이 버섯과 같이 체적에 비해 표면적인 넓은 종류의 버섯에서 ergocalciferol 생성이 많았고, 건조 및 세절할 경우에는 EC 생성의 기질인 ergosterol의 함량이 높은 버섯에서 ergocalciferol 생성이 많았는데, 새송이, 표고, 양송이 등이 이에 속하였다.

인간 진피섬유아세포에서 Bifidobacterium bifidum 배양액 및 추출액의 자외선B에 대한 보호 효능 (Protective Effects of Bifidobacterium bifidum Culture Supernatants and Intracellular Cell-Free Extracts on Human Dermal Fibroblasts against UV-B Irradiation)

  • 권기영;박귀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7호
    • /
    • pp.801-808
    • /
    • 2017
  • 본 연구는 장내세균 Bifidobacterium bifidum 배양액과 추출액을 사용하여 자외선B를 조사한 인간 진피섬유아세포에서 세포생존율과 세포 노화 및 세포주기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자외선B에 의한 세포 보호 효능을 평가하였다. 우선 자외선B를 조사한 결과 광량에 비례하여 HDFs의 생존율이 감소하였으며 $100mJ/cm^2$ 조사 시 67.3%로 떨어졌으나 B. bifidum 배양액과 추출액 처리 후 세포생존율을 증가시켜 자외선B에 대한 보호 효능이 있었다. 그리고 $SA-{\beta}-gal$ activity 변화를 측정한 결과에서 세포 노화율을 감소시켰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propidium iodide staining을 통하여 세포주기상 Sub-G1기 세포 수가 감소하였으므로 apoptosis를 억제하였고 이는 세포주기를 정상화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B. bifidum 배양액과 추출액 처리한 결과 세포 내 활성산소종이 감소함에 따라 p53과 p21의 발현을 감소시켰으며, 따라서 이에 본 연구에서 B. bifidum 배양액과 추출액은 UV-B로 인한 손상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음을 규명하였다.

Hairless Mice에서 UVB로 유도된 피부손상에 인삼추출물(Ginseol K-b1)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nax$ $ginseng$ C.A. Meyer Extract (Ginseol K-b1) on UVB-induced Skin Damage in Hairless Mice)

  • 장정화;황세희;이은주;;이진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24-230
    • /
    • 2012
  • $In$ $vivo$ 동물 모델에서 10주간의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손상 및 사람 피부섬유아세포에 Ginseol K-b1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반복적인 UV 조사에 의해 7주 후부터 hairless mice의 주름이 육안으로 확인되며, Ginseol K-b1 0.0625%(w/w) 농도로 함유한 사료의 10주간 섭취는 UV 조사군에 비해 유의적 ($p$<0.05)으로 주름 생성의 정도를 억제시켰다. 피부 표피 두께 역시 Ginseol K-b1섭취군은 UV 조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작았다. 2. UV 조사는피부 수분 함량 및 탄력도를 감소시키며, Ginseol K-b1의 섭취는 표피 수분량 저하 및 탄력 감소를 유의적($p$<0.05)으로 억제하였다. 3. Ginseol K-b1은 사람 섬유아세포의 세포 증식을 유의적($p$<0.001)으로 촉진시켰으며, 저농도(1.56~6.25 ${\mu}g/mL$)에서 콜라겐 생성량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에서 Ginseol K-b1은 피부 섬유아세포의 증식 및 콜라겐 생성을 촉진함으로써 피부 표면의 주름 생성 및 탄력 저하 억제를 통해 UV로 인한 피부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화장품이 아닌 먹는 피부 미용 소재로서의 가능성이 높음을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세포내 신호 전달 체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기작에 대한 명확한 설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UV-B 반복노출에 따른 항산화효소의 변성 및 활성저하와 RGP렌즈의 차단효과 (Denaturation and Inactivation of Antioxidative Enzymes due to Repeated Exposure to UV-B and Inhibitory Effect of RGP Lens)

  • 변현영;이은정;오대환;김소라;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37-246
    • /
    • 2015
  • 목적: 본 연구는 안구에 존재하는 항산화효소인 superoxide dismutase(SOD)와 catalase(CAT)가 UV-B에 반복적으로 노출되었을 때 유발되는 구조변성 및 활성저하의 상관관계를 밝히며, 자외선 차단 RGP렌즈의 사용으로 효소의 변성과 활성저하가 효율적으로 차단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법: SOD와 CAT의 표준품으로 각각의 효소용액을 제조하고 하루 30분, 1시간 및 2시간씩 312 nm의 UV-B에 1, 2, 3, 4 및 5일 동안 반복적으로 노출시켰다. 이 때 UV-B에 직접 노출시킨 항산화효소의 구조 및 활성변화를 자외선 차단기능이 있는 RGP렌즈로 UV-B를 차단시킨 경우와 비교하였다. UV-B 반복노출에 따른 SOD와 CAT의 구조변성은 전기영동분석으로 확인하였으며, 이들 효소활성은 분석키트를 이용하여 비색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UV-B에 반복노출된 SOD는 일일 30분 조사조건으로 반복노출되었을 때에도 전기영동분석에서 효소다중화(polymerization)가 관찰되었으나 활성의 변화는 10% 이내로 나타났다. 반면 UV-B에 반복노출된 CAT은 전기영동 시 효소밴드크기나 진하기가 감소하여 구조변성이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반복노출시간이 긴 경우 CAT은 전기영동분석에서 효소밴드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그 활성은 완전히 소실되었다. 또한 UV-B 조사로 인한 CAT의 변성은 63.7%의 UV-B 차단기능을 가진 RGP렌즈의 사용으로 어느 정도 억제되었으나 완전히 억제되는 것은 아니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UV-B 반복노출에 따른 항산화효소의 구조변성은 그 종류에 따라 효소활성의 감소정도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자외선으로 인한 항산화효소의 손상을 막기 위하여서는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자외선 노출시간을 최소화하거나, FDA Class I 차단제에 해당하는 UV 차단율을 가지는 콘택트렌즈를 착용 또는 이에 상응하는 UV차단율을 가지는 선글라스를 덧착용할 것을 권장한다.

전기분해와 UV 조사에 의한 수중 Rhodamine B의 제거(II) (Removal of Rhodamine B in Water by Ultraviolet Radiation Combined with Electrolysis(II))

  • 김동석;박영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667-674
    • /
    • 2009
  • This study h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 of NaCI as electrolyte of single (electrolysis and UV process) and complex (electrolysis/UV) processes for the purpose of removal and mineralization of Rhodamine B (RhB) dye in water. It also evaluated the synergetic effect on the combination of electrolysis and UV proces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RhB removal of UV process was decreased with increase of NaCl, while RhB removal of electrolysis and electrolysis/UV process was increased with increase of NaCI. The decolorization rate of the RhB solution in every process was more rapid than the mineralization rate identified by COD removal. The latter took longer time for further oxidation. Absorption spectra of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RhB showed a continued diminution of the RhB concentration in the bulk solution: concomitantly, no new absorption peaks appeared. This confirmed the decolorization of RhB, i.e., the breakup of the chromophores. It was observed that RhB removal in electrolysis/UV process is similar to the sum of the UV and electrolysis.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COD of RhB could be degraded more efficiently by the electrolysis/UV process than the sum of the two individual process. A synergetic effect was demonstrated in electrolysis/UV process.

UV-B 조사에 의한 웨빙용 PET필라멘트의 취화 거동 (Degradation behavior in UV-B irradiation of PET filaments for webbing)

  • 김유겸;김갑진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51-254
    • /
    • 2003
  • 자동차에 장착되어 폐차시까지 사용되는 안전벨트용 웨빙은 일정 수준이상의 인장강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착용자를 사고로부터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섬유 제품이다. 그러나 차량에 처음 장착되었을 때의 초기 인장강도가 사용 기간 증가에 따라 점차 저하된다. 웨빙의 사용 시간 증가에 따른 인장강도 저하의 주요 원인을 구성 PET 필라멘트의 취화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웨빙의 구성 소재인 PET 필라멘트가 환경 요인에 의하여 취화되는 과정을 확인하고자 온도와 UV-B 자외선 조사에 의한 가속실험을 실시하였다. (중략)

  • PDF

자외선 조사에 의한 고추 유묘의 탄수화물 합성과 항산화물질 변화 (Changes in Carbohydrate, Phenolics and Polyamines of Pepper Plants under Elevated-UV-B Radiation)

  • 성좌경;이수연;박재홍;이상민;이용환;최두회;김태완;송범헌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8-43
    • /
    • 2008
  • 고추 유묘기에 탄수화물 합성, 페놀화합물 및 폴리아민에 대한 자외선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고추 유묘는 $1.2W\;m^{-2}$ 강도의 자외선 하에서 0부터 9시간까지 조사되었다. 수용성 당과 전분은 자외선 처리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았다. 수용성 당은 처리 전 ($6.7mg\;g^{-1}\;fw$)에서 자외선 9시간 처리 후에 $5.2mg\;g^{-1}\;fw$으로 약 22% 감소하였다. 전분은 자외선 처리 후 3시간 만에 30%까지 급격히 감소한 후 처리기간에 상관없이 변화가 없었다. 자외선 흡수물질에 대한 흡광도 분석을 한 결과, 처리 3시간 이후에 최고 흡광도를 나타내었으며 이를 토대로 하여 페놀화합물과 안토시아닌을 조사하였다. 흡광도 분석결과와는 다르게 안토시아닌 함량은 자외선 처리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자외선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주요 단순 페놀산 함량은 크게 영향을 받았는데, cinnamic acid, ferulic acid, sinapic acid 및 syringic acid는 자외선 처리 후 2~8배 증가하였다. 식물체내 주요 항산화물질의 하나인 폴리아민도 자외선에 의해 70~15% 증가하였다. 위의 결과로 볼 때, 자외선은 식물체의 탄수화물의 합성을 억제하며, 식물체는 스트레스에 저항하기 위하여 방어물질인 페놀화합물 및 폴리아민의 합성을 촉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