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V photodegradation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22초

직물류 유물의 전시 및 보관환경 실태조사-대학박물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Museum Environment for Old Textile Collections -Focused on university Museums-)

  • 배순화
    • 복식
    • /
    • 제34권
    • /
    • pp.109-120
    • /
    • 1997
  • The conservation of collections in muse-ums is an important aspect for our her-itage. The control of museum environment is a vital factor in the preservation of cool-lections. Inappropriate or fluctuating envi-ronmental conditions can cause irreparable damage to works of arts. In this research we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ns of museum environment for old testiles using questionnaire and mea-sured dye fasing of old textiles on exhibi-tion for 2 months in a university museum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control of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is a vital factors I the preservation of old textiles in museum generally acceptable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standards for old textiles are 18-23$^{\circ}C$ and 50-65% R. H and light level for textiles on exhibition should be limited to 30-50 lux. 2, In university museums the limate control system in exhibition and storage area is in an early stage. Therefore to minimize the deterioration of old textiles the best method of controlling the envi-ronment is to have centralized climate control system in sorage area as well as in display area. 3. Conservator is needed to maintain collections scientifically. Only professional conservator by combining scientific tech-nical and artistic training has the exper-tise needed to maintain the physical in-tegrity of old textiles. In order to solve the inferior environment of museums the staff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condition of exhibition and storage. 4. Old textiles are susceptible to damage by light and associated heat. Dyed textiles which have been exhibited under the light without any UV filter were faded notice-ably within two months of exhibition. Light levels for textiles on exhibition should be limited to 30-50 lux. It is de-sirable to use special light source that can absorb UV. and UV filter is also recom-mended to reduce photodegradation of old textiles.

  • PDF

졸-겔 방법으로 제조한 TiO2박막 광촉매의 물성 분석과 광화학 반응 (Photochemical Rea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iO2 Thin Film Photocatalyst Fabricated by Sol-Gel Method)

  • 임희섭;이용희;손종윤;유윤식;이동환;성대동
    • 공업화학
    • /
    • 제16권2호
    • /
    • pp.187-193
    • /
    • 2005
  • 광촉매 $TiO_2$박막은 titanium (IV) isopropoxide, 에탄올, HCl을 일정한 비율로 졸-겔방법에 의해 제작하였다. SEM에 의한 표면관찰에서는 $500^{\circ}C$에서 5회 반복해서 코팅하여 제작한 것이 우수했다. EDX에 의한 성분비는 spin코팅이 O : Ti의 atom%가 61 : 39로 dip코팅보다 우수했다. 그리고 박막제작의 온도에 따라서 anatase상에서 rutile상으로 결정구조가 변화되어 가는 것을 XRD측정으로 알았다. 제작한 $TiO_2$박막에 UV빔을 조사해서 얻은 TOC의 광분해효율이 1 h 이내에 20~65%를 나타내었고, 그 이후에는 서서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비닐 케톤계 고분자와 폴리스티렌 블렌드의 광분해성 (Photodegradability of Blends of Polystyrene and Vinyl Ketone Polymers)

  • 김정호
    • 청정기술
    • /
    • 제4권2호
    • /
    • pp.54-60
    • /
    • 1998
  • 카보닐기를 측쇄에 가지는 폴리페닐비닐케톤(PPVK)과 폴리스티렌(PS)을 블렌드한 후 이 블렌드에 자외선이 조사되었을 때 자외선 조사시간에 따른 광분해성 변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PPVK의 카보닐기중 일부가 수소화된 수소화 폴리페닐비닐케톤(PPVK(H))도 폴리스티렌과 블렌드한 후 광분해성을 조사하여 광분해에 있어서의 카보닐기의 역할에 대해 연구하였다. PPVK의 페닐기가 메틸기로 대치된 폴리메틸비닐케톤(PMVK)도 폴리스티렌과 블렌드된 후 광분해성이 조사되었고 스티렌과 메틸비닐케톤(MVK)을 공중합한 폴리스티렌메틸비닐케톤(SMVK)에 대해서도 광분해성을 측정하여 PS/PMVK 블렌드와 비교하여 보았다. PPVK 또는 PPVK(H)를 PS와 블렌드한 경우의 광분해성은 PPVK를 블렌드한 경우가 PPVK(H)를 블렌드한 경우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순수한 PPVK가 PPVK(H)보다 광분해성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부터 이는 자연스러운 결과라고 할 수 있겠으며 또한 PPVK(H)는 PPVK의 카보닐기의 일부가 수소화된 고분자라는 점을 감안할 때 이 실험 결과로부터 카보닐기가 광분해에 참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PMVK를 PS에 블렌드 하였을때의 광분해성은 PPVK를 PS에 블렌드한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따라서 PS의 광분해를 위하여 비닐케톤 폴리머를 PS에 블렌드할 경우에는 PMVK가 가장 효과적이고 다음으로 PPVK, PPVK(H)의 순서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스티렌과 메틸비닐케톤을 공중합시킨 SMVK가 PS와 PMVK 블렌드보다 더 높은 광분해성을 보여주어 비닐케톤 폴리머를 PS와 블렌드 시키는 것 보다는 스티렌과 직접 공중합 시키는 것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광반응을 이용한 Triclosan 분해에서의 UV 광세기와 파장의 효과 (The Effect of UV Intensity and Wavelength on the Photolysis of Triclosan (TCS))

  • 손현석;최석봉;;조경덕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9호
    • /
    • pp.1006-101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항균제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triclosan (TCS)의 광분해시, 광분해 효율을 결정하는 OH 라디칼의 기여도를 조사하였다. TCS의 광분해 반응은 365 nm에서 모든 광세기 조건과 254 nm에서 낮은 광세기 조건들에서, 반응 초기 약 5분에서의 분해양상은 유사일차 속도반응 모델을 따르고 있었다. 또한 TCS의 광분해시 메탄올을 $H_2O$ 대신에 용매로 사용하였을 경우 OH 라디칼의 저해작용에 의하여 TCS 분해속도가 감소되었다. TCS의 광분해 속도는 파장이 감소하고, 광세기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TCS의 광분해시 254 nm에서는 $5.77{\times}10^{-5}$ einstein $L^{-1}min^{-1}$이상의 광세기와, 365 nm에서는 $1.56{\times}10^{-4}$ einstein $L^{-1}min^{-1}$ 보다 낮은 광세기 조건에서 photon의 기여도가 증가함을 보였다. 또한 photon의 기여도가 큰 광세기 조건들에서의 TCS에 의해 이용된 quantum yield는 254 nm보다 365 nm에서 높은 효율을 보였다. TCS의 중간부산물로서는 dibenzodichloro-p-dioxin (DCDD)와 dibenzo-p-dioxin가 365 nm하의 $1.37{\times}10^{-4}$$1.56{\times}10^{-4}$ einstein $L^{-1}min^{-1}$의 광세기 조건에서 모두 검출되었다. Dichloro-phenol과 phenol 역시 광반응의 부산물로서 모든 실험에서 발견되었다. 실험 결과를 토대로 TCS의 광분해 메커니즘을 제안하였다.

Pd이 삽입된 TiO2 광촉매의 광학 특성 및 페놀 분해 성능 평가 (Optical Properties and Phenol Destruction Performance of Pd-inserted TiO2 Photocatalysts)

  • 도정연;김태호;심환석;정하민;최재훈;강미숙
    • 공업화학
    • /
    • 제28권5호
    • /
    • pp.547-553
    • /
    • 2017
  • 본 연구는 $TiO_2$ 골격에 Pd을 삽입시켰을 때 나타나는 광 촉매 성능의 차이에 초점을 두고, $TiO_2$와 x mol% $Pd-TiO_2$(x = 0.25, 0.5, 0.75 그리고 1.0)의 5가지 촉매를 제안하였다. 전형적인 졸-겔 방법을 사용하여 촉매를 합성하고 각 촉매의 페놀 광 분해 성능을 평가하였다. XRD, TEM, SEM/EDS, UV/Vis 분광법, 광 발광 분광법 등을 이용하여 촉매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확인하였고, 광 발광 분광법 및 광 전류 측정으로 광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Pd 이온을 첨가하면 촉매의 밴드 갭이 감소하고, 광 생성된 전자와 정공 사이의 전하 분리가 쉽게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0.75 mol% $Pd-TiO_2$ 촉매상의 페놀 광 분해 성능은 순수한 $TiO_2$보다 3배 더 높았는데, 이는 광 촉매 반응 중에 Pd 이온이 전자캡쳐 역할을 하여 일어난 결과로 여겨진다.

황산티타늄과 탄소나노튜브로부터 가수분해로 제조된 CNT-TiO2 나노복합체의 광촉매활성 (Photo-catalytic Activity of CNT-TiO2 Nano Complex Prepared from Titanium Oxysulfate and Carbon Nanotube by Hydrosis)

  • 김상진;정민정;이영석
    • 공업화학
    • /
    • 제21권1호
    • /
    • pp.58-62
    • /
    • 2010
  • $TiOSO_4$와 다층벽탄소나노튜브(MWCNT)를 사용하여 가수분해법으로 CNT-$TiO_{2}$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TiO_{2}$-CNT 복합체의 CNT는 아나타제 $TiO_{2}$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으며 MWCNT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결정성 탄소의 비율과 O/Ti 비율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CNT-$TiO_{2}$복합체의 광활성 및 오염물 흡착능력을 UV 조사 시간에 따른 메틸렌블루의 분해정도로 확인하였다. MWCNT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높은 흡착능과 광분해능을 나타내었다. 이는 MWCNT의 높은 비표면적, 산소포함 관능기, 낮은 밴드갭 에너지, 높은 전기전도성, 높은 부피 대 표면적 비율, 균일한 구조 및 특성으로 인하여 CNT-$TiO_{2}$ 복합체의 광활성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용이한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법을 사용하여 합성한 이원계 Cu (I) 셀렌 그래핀 나노복합체의 광촉매 염료분해 효과 (Photocatalytic Dye Decomposition Effect of Binary Copper (I) Selenide-graphene Nanocomposites Synthesized with Facile Microwave-assisted Technique)

  • 아즈가 알리;오원춘
    • 공업화학
    • /
    • 제27권5호
    • /
    • pp.483-489
    • /
    • 2016
  • 본 연구에서 쉽고 빠른 마이크로 조사법을 사용하여 합성한 $Cu_2Se$-그래핀 나노복합체를 광촉매 분해 효과를 연구하였다. 제조된 나노복합체는 XRD, SEM, TEM, 라만분광분석, XPS 및 UV-Vis 흡수분광법을 사용하여 특성화하였다. 그리고 광촉매 분해특성을 가시광선 조사하에 표준염료인 로다민 B의 분해를 통하여 연구하였다. $Cu_2Se$-그래핀 복합체는 상당히 우수한 광촉매 분해 효과를 나타내었고, 이는 180 min 동안 가시광선 조사하에서 약 95%의 분해 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이들 결과로부터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Cu_2Se$-그래핀 복합체는 염료 오염물질에 대한 적합한 촉매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감광성 DMNB 기를 함유한 새로운 포지형 감광성 폴리이미드의 합성 및 물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New Positive Photosensitive Polyimide Having Photocleavable 4,5-Dimethoxy-2-nitrobenzyl (DMNB) Groups)

  • 최옥자;류윤미;정민국;이명훈
    • 폴리머
    • /
    • 제26권6호
    • /
    • pp.701-709
    • /
    • 2002
  • 새로운 포지티브형 감광성 폴리이미드 전체를 합성하기 위하여, 폴리아믹산의 인부 카르복시산 기를 $K_2$CO$_3$/HMPA 조건 하에서 광분해성 감광성 기인 4,5-dimethoxy-2-nitrobenzyl bromide의 반응시켜 에스테르를 형성하고 나머지 카르복시산기를 화학적 이미드화시켜 poly[imide-co-(amic ester)]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고분자의 구조는 FT-IR, $^1$H-NMR 등으로 확인하였고, DSC와 TGA를 이용하여 열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 고분자에 자외선을 조사하면 감광성 기인 4,5-dimethoxy-2-nitrobenzyl 기가 분해되어 카르복시산 기를 형성함에 따라 고분자가 알칼리 현상액에 대해 용해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포지티브 패턴을 형성할 수 있었다. 여러가지 4,5-dimethoxy-2-nitrobenzyl ester 농도를 갖는 poly[imide-co-(amic ester)]의 겔분율 실험을 통하여 감광곡선을 얻었으며, 이를 통해 이 고분자의 감광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감도는 4000~6000 mJ/$\textrm{cm}^2$ 이었으며, 조도는 3.1~4.9 정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Ag2Se-Graphene/TiO2 Nanocomposites, Sonochemical Synthesis and Enhanced Photocatalytic Properties Under Visible Light

  • Meng, Ze-Da;Zhu, Lei;Ghosh, Trisha;Park, Chong-Yeon;Ullah, Kefayat;Nikam, Vikram;Oh, Won-Ch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11호
    • /
    • pp.3761-3766
    • /
    • 2012
  • $Ag_2Se$-Graphene/$TiO_2$ composite was synthesized by a facile sonochemical method. The as-prepared products were characterized by X-ray diffraction (XR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with energy dispersive X-ray (EDX) analysis,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and UV-vis diffuse reflectance spectrophotometer. During the reaction, both of the reduction of graphene oxide and loading of $Ag_2Se$ and $TiO_2$ particles were achieved. The as-prepared $Ag_2Se$-Graphene/$TiO_2$ composites possessed great adsorptivity of dyes, extended light absorption range, and efficient charge separation properties simultaneously. Hence, in the photodegradation of rhodamine B (Rh.B), a significant enhancement in the reaction rate was observed with $Ag_2Se$-Graphene/$TiO_2$ composites, compared to the pure $TiO_2$. The high activity can be attributed to the synergetic effects of high charge mobility, and red shift in absorption edge of $Ag_2Se$-Graphene/$TiO_2$ composites.

졸-겔법으로 제조한 TiO2-SiO2촉매에서 페놀의 광분해 반응 (Photodegradation of Phenol over TiO2-SiO2 Catalysts Prepared by Sol-gel Method)

  • 홍성수;이만식;이근대;주창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597-603
    • /
    • 2002
  •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phenol was carried out with UV-illuminated TiO$_2$-SiO$_2$ in aqueous suspension. TiO$_2$-SiO$_2$ catalysts were prepared by sol-gel method from the titanium isopropoxide and tetraethylorthosilicate at different Ti/Si ratio and some commercial TiO$_2$ catalysts were used as purchased. All catalysts were characterized by X-ray Diffraction(XRD) and BET surface area analyzer. The effect of reaction conditions, such as initial concentration of phenol, reaction temperature and catalyst weight on the photocatalytic activity was studied. In addition, TiO$_2$-SiO$_2$(49: 1) prepared by sol-gel method showed higher activity than commercial TiO$_2$catalysts on the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phenol. The addition of SiO$_2$ into TiO$_2$hepled to increase the thermal stability of titania which suppressed the formation of anatase into rutile. The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phenol showed pseudo-1st order reaction and the degradation rate increases with decreasing initial phenol concen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