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V detection

검색결과 548건 처리시간 0.022초

MBE 부호화용 스펙트럼 V-UV 구간 검출에 관한 연구 (On a Detection of V-UV Segments of Speech Spectrum for the MBE Coding)

  • 김을제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2년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제11권 1호
    • /
    • pp.43-48
    • /
    • 1992
  • In the area of speech vocoder systems, the MBE vocoder allows the high quality and low bit rate. In the MBE parameters detection, the dicision methods of V/UV region proposed until now are dependent highly to the other parameters, fundamental frequency and formant information. In this paper, thus, we propose a new V/UV detection method that uses a zero-crossing rate of flatten harmonices spectrum. This method can reduce the influences of the other parameters for the V/UV regions detection.

  • PDF

HPLC-UV검출방법으로 유도체화를 통한 비테인과 콜린의 동시분석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betaine and choline using derivatization by HPLC with UV detection)

  • 이인숙;팽기정
    • 분석과학
    • /
    • 제28권2호
    • /
    • pp.112-116
    • /
    • 2015
  • Extraction of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choline and betaine) from plant samples (spinach) using ion exchange resin (AG1, OH form) is a very simple and inexpensive approach. However, it is very hard to determine amounts of choline and betaine simultaneously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ultraviolet (HPLC-UV) detection. Unlike choline, betaine has low molar absorptivity in UV-visible (UV-Vis) region, which makes it difficult to carry out UV-Vis detection of betaine. The mixture of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choline and betaine) was derivatized using 2-bromo acetophenone as a derivatizing agent. As a result, choline did not react with the derivatizing agent, whereas betaine formed a betaine derivative. This betaine derivative exhibited detectable UV absorption with baseline separation between choline and the betaine derivative. Thus, with this method, choline and betaine can be determined simultaneously by using the HPLCUV method through one-step derivatization, which is an easy, sensitive, and reliable method.

UV/IR센서 결합에 의한 불꽃 영상검출의 설계 및 분석 (Design and Analysis of Flame Signal Detection with the Combination of UV/IR Sensors)

  • 강대석;김은종;문필재;신원호;강민구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45-51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자외선(UV, ultraviolet) 및 적외선(IR, infrared) 센서를 결합함으로서 불이 연소하면서 방출하는 빛의 파장을 활용한 영상신호를 검출하는 결합형 불꽃영상 검출시스템은 적외선 센서와 자외선 센서 기반의 신호처리 알고리즘 설계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설계한 듀얼모드인 결합형 불꽃영상 검출시스템은 단독형 적외선 또는 자외선 센서 기반의 영상검출 알고리즘의 검출 성능결과를 비교한다.

UV 화염감지기의 감지성능에 대한 분진분위기의 영향 (Influence of Dust Environment on the Detection Capability of Ultraviolet Flame Detector)

  • 김홍;호예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13-119
    • /
    • 1997
  • UV 화염감기의 분진분위기에서의 성능저하를 고찰하기 위하여 세제분말, 탄진 및 분말 소화약제의 분진운을 형성하였고 LPG 및 가솔린 화염을 사용하여 UV 화염감지기의 감지성능을 고찰하였다. 분진 분위기 하에서의 UV 화염감지기의 성능을 분진의 농도와 분진층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뚜렷한 증가를 보였으며, 분진의 화학적, 물리적 특성에 커다란 영향을 받았다. 따라서 UV 화염감지기를 분진 분위기에서 사용한 경우 특별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려된다.

  • PDF

Determination of trace bromate in various water samples by direct-injection ion chromatography and UV/Visible detection using post-column reaction with triiodide

  • Kim, Jungrae;Sul, Hyewon;Song, Jung-Min;Kim, Geon-Yoon;Kang, Chang-Hee
    • 분석과학
    • /
    • 제33권1호
    • /
    • pp.42-48
    • /
    • 2020
  • Bromate is a disinfection by-product generated mainly from the oxidation of bromide during the ozonation and disinfection process in order to remove pathogenic microorganism of drinking water, and classified as a possible human carcinogen by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f Cancer (IARC) 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For the purpose of determining the trace level concentration of bromate, several sensitive techniques are applied mostly based on suppressed conductivity detection and UV/Visible detection after postcolumn reaction (PCR). In this study, the suppressed conductivity detection method and the PCR-UV/Visible detection method through the triiodide reaction were compared to analyze the trace bromate in water samples and estimated for the availability of these analytical methods. In addtion, the state-of-the-art techniques was applied for the determination of trace level bromate in various water matrices, i.e., soft drinking water, hard drinking water, mineral water, swimming pool water, and raw water. In comparison of two analytical methods, it was found that the conductivity detection had the suitable advantage to simultaneously analyze bromate and inorganic anions, however, the bromate might not be precisely quantified due to the matrix effect especially by chloride ion. On the other hand, the trace bromate was analyzed effectively by the method of PCR-UV/Visible detection through triiodide reaction to satisfactorily minimize the matrix interference of chloride ion in various water samples, showing the good linearity and reproducibility. Furthermore, the method detection limit (MDL) and recovery were 0.161 ㎍/L and 101.0-108.1 %, respectively, with a better availability compared to conductivity detection.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지방족 화합물의 간접 분광광도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ies on Indirect Photometric Detection of Aliphatic Compound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강삼우;강전택
    • 대한화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06-412
    • /
    • 1989
  •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있어서 지방족 화합물인 알코올 케톤 및 에스테르의 간접 분광광도 측정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비발색단 또는 약한 발색단을 가지고 있는 이들 시료들은 검출시약으로 UV 흡수물질인 p-클로로페놀 또는 p-니트로페놀을 이동상에 첨가하므로 UV 검출기로서 간접적으로 검출할 수 있었고 검출한계로 Submicrogram 수준까지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최적조건하에서 몇가지 혼합시료들을 좋은 분리도와 비교적 높은 감도로서 분리 및 정량할 수 있었다.

  • PDF

광화학 반응을 이용한 티오카바메이트류의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검출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Liquid Chromatographic Detection Method for Thiocarbamates by Using Photochemical Reaction)

  • 이대운;박영훈;최용욱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53-461
    • /
    • 1993
  • 테프론 코일과 저압 수은 램프를 사용, 간단하게 제작된 광화학 반응기를 이용한 HPLC 검출 방법을 연구하였다. 4종의 티오카바메이트 시료들을검출함에 있어 UV, 형광 및 전기화학 검출기 등에서 광화학 반응을 통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후컬럼 검출법의 유용성을 알아보았다.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분리된 티오카바메이트류에 254nm의 UV을 조사할 경우 4종의 시료는 모두 광반응이 일어나 형광을 통해 분리된 티오카바메이트류에 254nm의 UV을 조사할 경우 4종의 시료는 모두 광반응이 일어나 형광을 나타내거나, 전기화학 검출기에 큰 검출 응답을 나타내었다. UV 검출법의 경우 광반응 생성물은 광반응전보다 검출감도는 감소하였으나 장파장쪽에서 검출이 용이하였다. 형광 검출법의 경우 광반응전 4종의 티오카바메이트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나, 광반응 후 MPTC,CPTC는 Ph 4.0, 50% 아세토니트릴 이동상 조건에서 5.0~9.3ng의 검출한계를 나타내었다. 전기화학 검출법에서는 광반응전 시료가 매우 작은 검출 응답을 보였고, 광반응 후 시료는 5~20배 이상의 검출감도가 증대되었으며 13.3~0.02ng의 검출한계를 나타내었다. 이때 최적 검출조건은 50% 아세토니트릴 $-0.5{\times}10^{-2}$ M 인산 완충용액, pH 7.0 이었다. 또한 티오카바메이트의 광반응물과 OPA-MERC를 반응 코일내에 유도체를 형성시켜 형광검출기로 검출해냄으로써 광분해물에서 1차 아민이 생성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적응적 UV-histogram과 템플릿 매칭을 이용한 거리 영상에서의 고속 인간 검출 방법 (Fast Human Detection Method in Range Data using Adaptive UV-histogram and Template Matching)

  • 윤범식;김회율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9호
    • /
    • pp.119-128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이전 연구 방법에서의 UV-histogram을 확장하여 적응적 UV-histogram을 제시함으로써, 복잡한 구성의 장면에서 사람의 검출율을 높이는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 방법은 먼저 U-histogram에서 사람 영역을 1차 추출하고, 각각의 레이블링된 U에서 V-histogram을 생성함으로써, 이전 방법에서 구분할 수 없었던 사람 후보 영역을 정확하게 추출한다. 또한 제안 방법은 사람 판정시, 초점거리와 거리에 따라 적응적인 크기를 가지는 오메가 모양의 템플릿을 이용하여 검출의 정확도를 높였으며, 누적 영상을 이용하여 오검출을 템플릿 재매칭 함으로써, occlusion에도 강인한 특성을 가진다. 실험 결과는 Bae의 연구방법에 비하여 복잡한 환경에서 약 15%의 정확도 향상, 80%의 재현율 향상을 보이며, Xia의 연구방법에 비하여 20배 빠른 수행속도를 보여, 제안 방법의 성능이 우수함을 입증한다.

인체 감지 제어 기능을 갖는 UV LED Bar의 최적 설계 (The UV LED Bar Optimal Design with Human Detection and Control Function)

  • 김창선;이재학;고영진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1219-1226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다용도로 사용 가능한 UV LED 바의 최적설계를 하였다. UV LED는 자외선을 방출하기 때문에 사용목적상 일정하게 자외선을 방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정한 자외선이 방출되기 위해서는 동작 가능 입력 전압 범위 내에서 정전류원으로 구동되어야 하고 자외선 활용 특성 상 자외선 방출 유지 시간이 길기 때문에 방열이 특히 중요하다. 따라서 소비전력이 최소화 되도록 설계해야 한다. 또한 인체 보호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거리 감지 센서와 블루투스를 이용해 인체 감지 여부에 따라 동작할 수 있게 알고리즘을 구성하였다. 자외선 UVA를 방출하기 위해 365nm UV LED 3개가 직렬로 사용되었으며 입력 전압 12V와 정전류 500mA에서 동작하며 효율은 87.5%, 소비전력은 6.006W이다. 그리고 자외선 조사량은 루트론 계측기로 측정하였을 경우 10cm 거리에서 $5.35mW/cm^2$으로 측정 되었다.

HPLC에 의한 aflatoxin 분석법에 관한 연구 형광 및 자외선 흡광 검출의 비교 (Determination of Aflatoxins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Fluorescence or UV Absorbence Detection)

  • 김종규;강회양;민경진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6-44
    • /
    • 1996
  • A comparison was made of two detection methods(UV absorbence detection and fluorescence detection with pre-column derivatization, with trifluoroacetic acid) coupled with HPLC for th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aflatoxin $B_1, B_2, G_1$ and $G_2$. A good separation of the four aflatoxins was achieved on a reversed-phase $C_{18}$ column (30 cm x 3.9 mm) with methanol-acetonitrile-water(20+20+60) for absorbence detection or acetonitrile-water(25+75) for fluorescence detection at the flow rate of 1.0 ml/min. The calibration graphs were linear over the ranges 100 ppb-1 ppm for $B_1/G_1$ and 30~300 ppb for $B_2/G_1$ with absorbence detection, and 1~500 ppb for $B_1/G_1$ and 0.3~150 ppb for $B_2/G_2$ with fluorescence detec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greater than 0.94 and 0.99 for absorbance detection and for fluorescence detection, respectively. The detection limit was 100 ng for $B_1/G_1$ and 30 ng for $B_2/G_2$ with absorbence detection, and 1 ng for $B_1/G_1$ and 0.3 ng for $B_2/G_2$ with fluorescence detection. Recovery rates of aflatoxin $B_1, B_2, G_1$ and $G_2$ added to yeast-extract sucrose broth medium were 66.6%, 59.4%, 67.5% and 59.2%, respectively, for absorbence detection and 82.9%, 71.5%, 80.0% and 69.3%, respectively, for fluorescence detection. The four aflatoxins in culture medium were quantitatively detected by the two methods. The aflatoxins in the rice sample were not detected the absorbence detection method, but were below 10 ppb using the fluorescence detection method. Analysis of aflatoxins by both the absorbence and fluorescence methods coupled with HPLC showed acceptable linearity and good recovery. The absorbence detection was less timeconsuming and safer for treatment. The fluorescence detection was more elective and sensitive though elevated $B_1$ and $G_1$ contents were determined from the TFA-induced conversion of $B_1$ to $B_{2a}$ and $G_1$ to $G_{2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