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V crosslinker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1초

PEGDMA를 이용한 PEO 필름의 광가교 (Photocrosslinking of PEO Films Using PEGDMA)

  • 구광회;장진호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08년도 제39차 학술발표회
    • /
    • pp.11-12
    • /
    • 2008
  • Poly(ethylene oxide)(PEO) of molecular weight of 300,000 was crosslinked by UV irradiation in the presence of crosslinker. The photochemical crosslinking of PEO was enhanced by the addition of dimethacrylate crosslinkers in the film. Percent conversion of the polymer into gel as well as water absorbency were investigated gravimetrically. Gel fraction of PEO films increased with increasing crosslinker concentration. In the case of photocrosslinked PEO films with benzophenone, gel fraction reached about 95%. The thermal behavior of crosslinked PEO films was characterized by thermogravimetric analysis. The maximum decomposition temperature increased with increasing crosslinker concentration.

  • PDF

Polyorganophosphazene 하이드로젤의 합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lyorganophsphazene Hydrogels)

  • 김영백;박덕수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89-93
    • /
    • 1997
  • 여러 가지의 친수성기와 소수성기를 함유하는 폴리포스파진을 합성하고 이들 고분자의 가교 반응을 수행하였다. 사용한 치환기는 (2-메톡시에톡시)에톡시기와 2,2,2-트라이플로로에톡시, 페닐옥시, 알라닌 등이었다. 합성된 고분자의 가교는 감마선 조사, 자외선 조사 및 가교제와 감광제를 사용한 자외선 조사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가교시켰다. 세가지 방법 중에서 가교제와 감광제를 사용한 자외선 조사가 가장 좋은 결과를 주었다. 얻어진 고분자를 물에 담궈 하이드로젤을 얻어내었으며 이들의 성질을 간략히 조사한 결과 모든 경우 최저 임계온도를 나타내는 행동을 하였다.

  • PDF

가교제 변화에 따른 광학용 아크릴 점착제의 점착물성에 대한 연구 (The Effect of Crosslinker Type on Adhesion Properties of Transparent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for Optical Applications)

  • 백승석;장세정;황석호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9권3호
    • /
    • pp.199-203
    • /
    • 2014
  • 아크릴 단량체인 2-ethylhexyl acrylate (2-EHA), 2-hydroxyethyl acrylate (2-HEA), isobornyl acrylate (IBOA)를 광중합을 통하여 3원 공중합체 시럽을 합성하였다. 이관능기 아크릴 단량체인 1,6-hexanediol diacrylate (HDDA),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PEGDA, Mn = 250, 575, 700)를 가교제로 사용하여 semi-IPN형 감압성 점착제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PSAs)를 UV-광가교 시켜 제조하였다. 가교제 변화에 따른 감압성 점착제의 점착특성, 저장탄성율, 그리고 광학특성을 고찰하였으며, 점착특성과 저장탄성율은 가교제의 화학구조와 분자량에 의존하였다. 광학특성은 모든 감압성 점착제에서 92.5 % 이상의 광투과도 (at 550 nm), 1.0 % 이하의 haze값, 0.3 이하의 색차계값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가교제의 종류에 영향을 받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Thermally Crosslinkable Second-Order Nonlinear Optical Polymer Using Pentaerythritol tetrakis(2-mercaptoacetate) as Crosslinker

  • 한관수;심상연;이용석;장웅상;김낙중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9권11호
    • /
    • pp.1168-1171
    • /
    • 1998
  • Two kinds of second-order nonlinear optical copolymers were prepared by the copolymerization of the vinyl monomers containing NLO chromophore, methacrylic acid, and methyl methacrylate or butyl methacrylat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s (Tg of copolymers were around 130 ℃. The copolymers were soluble in common organic solvents such as tetrahydrofuran (THF), cyclohexanone, and N,N-dimethylformamide (DMF). The crosslinked copolymer was obtained by thermal treatment using pentaerythritol tetrakis(2-mercaptoacetate) as a crosslinker and became insoluble in tetrahydrofuran (THF) and N,N-dimethylformamide (DMF). Poling was carried out at 120 ℃ for 20 min and identified with UV-Vis spectroscopy. Electro-optic coefficient (r33) measurement showed a value of 35 pm/V for polymer 2 at 633 nm. Temporal stability of copolymers was improved owing to the crosslinked network, which was successfully obtained at 170 ℃ for 30 min after poling.

광증감제에 의한 Acrylonitrile의 광중합 속도 (I) (Kinetics of Pholopolymerization of Acrylonitrile Using Sensitizer)

  • 설수덕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4권1호
    • /
    • pp.3-10
    • /
    • 1999
  • 아크릴로니트릴(AN) 단일중합체를 항온장치가 부착된 광중합반응기내에서 합성하여 최적반응조건하에서 중합속도모델식을 구하였다. AN의 농도($1.8{\sim}7.58mo1/1$), 증감제의 종류($NaSCN,\;KSCN,\;Ba(SCN)_2,\;NH_4SCN,\;ZnCl_2,\;Na_2SeO_3$) 및 농도($10{\sim}60%$), 반응온도($10{\sim}70^{\circ}C$), 에너지 세기($1,000{\sim}9,900{\mu}J/cm^2$)를 변화시켰다. 광증감제의 농도에 관계없이 반응온도 $50^{\circ}C$, 반응시간 3시간에서 균일한 분자량분포를 얻고, 이중 광증감제로 50%의 NaSCN의 경우 다음과 같은 중합속도 모델식을 구하였다. $R_p=0.0142[M]^{0.82}[I]^{0.49}[S]^{0.52}$ exp(-1.33/RT).

  • PDF

수용해성 사이클로포스파젠 유도체를 이용한 면섬유의 내구성 방염가공 (Durable Flame-Retardant Finish of Cotton Fabrics Using a Water-soluble Cyclophosphazene Derivative)

  • 김정환;장진호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64-71
    • /
    • 2021
  • Large amount of formaldehyde could be released inevitably during the flame-retardant (FR) treatments or from the finished fabrics using Provatex reagent and Proban polymers which have been used as durable FRs for cotton. A water-soluble cyclophosphazene derivative was synthesized as an ecofriendly phosphorus-based FR for cotton fibers. Dichloro tetrakis{N-[3-(Dimethylamino)propyl]methacrylamido} cyclcophosphazene (DCTDCP) was synthesized through the substiutution reaction of Hexachloro cyclophosphazene and N-[3-(Dimethylamino)propyl] methacrylamide at a mole ratio of 1 : 4, which can be cured dually by both alkaline treatment and UV irradiation. More crosslinked networks were produced through the addition of Triacryloyl hexahydrotriazine and Acrylamide as a UV-curable crosslinker and a comonomer respectively. Both flame retardancy and washing durability of the FR cotton were improved synergistically. The durability improvement may be caused by the covalent bond formation of the FR with cellulose and the high degree of polymerization of DCTDCP, which can be verified by the pyrolysis and combustion behaviors analyzed by LOI, TGA, and microcalorimeter.

테오필린 분자 날인 고분자의 합성 및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Theophylline Molecularly Imprinted Polymers)

  • 유호식;김범수;김대수
    • 폴리머
    • /
    • 제32권2호
    • /
    • pp.138-142
    • /
    • 2008
  • 분자 날인 기술은 표적 분자에 대해 높은 선택도를 갖는 합성 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형 분자로 테오필린(theophylline)을, 가교제로 폴리에스터-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사용하여 UV 중합을 통해 분자 날인 고분자(MIP)를 합성하였다. 기능성 단량체 종류가 MIP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메타크릴산(mathacrylic acid), 아크릴산(acrylic acid), 그리고 아크릴 아미드(acrylic amide)를 기능성 단량체로 각각 사용하여 MIP를 합성하였다. MIP는 비날인 고분자(NIP)보다 테오필린에 대해 훨씬 더 높은 재결합 능력을 보였다. 메타크릴산을 사용하여 합성한 MIP는 가장 높은 재결합 능력을 보였다. MIP의 선택도는 테오필린과 분자구조가 유사한 카페인(caffeine) 용액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클로로포름보다 극성인 증류수를 용매로 사용하였을 경우 MIP의 테오필린 재결합 성능은 감소하였다.

자외선 경화형 2-EHA/AA 점착제의 점착 물성 및 열 안정성에 미치는 실리카 함량 및 경화제 효과 (Effect Of Silica Concentration and Crosslinking Agent on Adhesion Properties and Thermal Stability Of UV Cured 2-EHA/AA PSAs)

  • 김호겸
    • 접착 및 계면
    • /
    • 제16권2호
    • /
    • pp.55-62
    • /
    • 2015
  • 자외선 경화를 통한 2-EHA/AA 점착제 제조 시 나노 충전제로 실리카를 도입하는 경우 실리카의 표면 처리 여부와 실리카 함량이 점착제의 점착 물성 및 열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서로 다른 반복단위 길이를 가진 경화제에 따른 실리카의 보강 효과 차이도 관찰하였다. 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실리카의 경우 실리카 표면과 고분자 매트릭스 간 계면 상호 작용으로 고분자 매트릭스 내 분산 정도를 높여 겔 함량의 저하 없이 0.3 wt%의 농도까지 점착 물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경화제로 PEGDMA를 사용할 때 분자 내 상대적으로 긴 에틸렌옥사이드 반복단위에 기인하는 분자 유연성으로 EGDMA를 사용한 계에 비해 실리카 보강 역할에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열 분해 후 잔존량을 통해 실리카와 고분자 간 강한 계면 결합으로 인한 열 장벽 효과로 점착제의 열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광학용 아크릴 점착제내 단량체 화학구조에 따른 점착특성 (Effect of Chemical Structure of Acrylate Monomer on the Transparent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for Optical Applications)

  • 백승석;장세정;이상원;황석호
    • 폴리머
    • /
    • 제38권5호
    • /
    • pp.682-686
    • /
    • 2014
  • 2-Ethylhexyl acrylate와 2-hydroxyethyl acrylate의 기본구조에 다양한 곁사슬 화학구조를 가지는 단량체의 종류를 변화시키면서 광중합된 고투명 3원 공중합체 시럽을 합성하였다. 시럽에 가교제로 1,6-hexanediol diacrylate와 광개시제를 혼합한 후 UV-광원을 조사시켜 점착제(PSAs)를 제조하여 점착특성과 광학특성을 고찰하였다. PSAs의 점착물성은 단량체 종류에 따른 조성비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나, 광학적 특성이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분자이면서 헤테로 원소를 포함하고 있는 IBOA, THFA, ACMO 단량체가 n-BA, VAc, CHA 단량체보다 좋은 점착물성을 보여주었다.

금속 양이온 배위형 D-$\pi$-A 발색단을 포함하는 폴리머의 합성 및 박막화와 광학특성 (Synthesis, Film Fabrication, and Optical Properties of Polymers Containing Metal Cation Complex Type D-$\pi$-A Chromophore)

  • 정선주;김혜련;윤근병;한윤수;후지키 미치야;타카기 아키코;곽기섭
    • 폴리머
    • /
    • 제34권4호
    • /
    • pp.376-380
    • /
    • 2010
  • 분자내 전하이동(intramolecular charge transfer, ICT)이 가능한 도너-$\pi$-억셉터(D-$\pi$-A)타입의 발색단 을 근간으로 한 폴리머를 신규 합성하였다. 이 폴리머는 UV-visible spectra 측정결과 용액 상태에서 뿐만 아니라 고체박막 상태에서도 카르보닐기(carbonyl group)에서 기인하는 흡수와 함께 ICT에 의한 장파장 영역에서의 흡수가 관 찰되었다. $Eu^{3+}$ 이온의 첨가에 의해 장파장영역에서 일어나는 흡수의 적색이동(red shift)을 유도하였으며, 더불어 용 액과 박막의 색상도 황색에서 적색으로 변화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합성된 고분자의 형태 및 유기 용매에 대한 용해도 는 가교제의 함량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첨가된 가교제의 함량과 $Eu^{3+}$ 이온의 첨가는 성막 특성의 향상을 유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