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V차단

검색결과 273건 처리시간 0.021초

HPLC를 이용한 화장품 중의 자외선 차단제 동시분석방법 연구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sunscreen agents in cosmetics by HPLC)

  • 이용화;양재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77-584
    • /
    • 2012
  • 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HPLC)을 이용하여 화장품에 들어있는 자외선차단제류 등을 동시 분석하였다. 화장품 시료를 Tetrahydrofurane(THF)에 직접 용해시키고 $0.45{\mu}m$ 필터로 여과하여 물/메탄올/THF를 이동상으로 하여 Extend C18의 비극성 컬럼을 사용하여 기울기용리조건에서 20분 안에 분리하여 UV/Vis detector방법으로 정량하였다. HPLC분석결과 검량선은 $50{\sim}800{\mu}g/mL$ 농도범위에서 상관계수가 $r^2$=0.9992 이상의 좋은 직선성을 나타내었으며 검출한계는 $0.01{\mu}g/mL$였다.

아마직물의 방추성과 복합기능성 향상을 위한 연구 (Improvement of Wrinkle Recovery and Functional Properties in Linen Fabrics)

  • 강미정;권영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11호
    • /
    • pp.1859-1869
    • /
    • 2010
  • This study provides improved wrinkle recovery and UV protection capabilities as well as an antibacterial and deodorizing function to linen fabrics for summer shirt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By setting catalyst concentration to 1.2% and DMDHEU concentration to 6% respectively and applying a heat treatment to them at $160^{\circ}C$ for 5 minutes, the decrease of fabric strength could be minimized and the crease resistance of linen fabrics improved. Compared to the treatment with DMDHEU only, the crease resistance of linen fabrics could be maintained and degradation of their properties could be more effectively prevented by applying the mixture of the UV absorber and the nano silver to the DMDHEU resin. The UV protection of fabrics could be improved by adding the UV absorber. Although the separate treatment of resin or the nano silver had no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UV protection properties for treated fabrics, they could increase the UV protection capability when they were combined with the UV absorber. Linen fabrics could possess an antibiosis and deodorizing capability by applying the mixture of the UV absorber, the nano silver, and the resin. The UV protection, crease resistance and flexibility of finished fabrics were maintained even after laundering. Washed treated fabrics maintained excellent antibiosis and odor free capabilities compared to untreated fabrics.

천연 괴화 염색 면직물의 자외선 차단 효과 (UV Protection Effect of Natural Dyed Cotton Using Flos Sophorae)

  • ;안춘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906-922
    • /
    • 2020
  • Efficacy of Flos Sophorae as UV protective dye was examined in comparison to standard dyes of quercetin and rutin. Cotton was dyed using Flos Sophorae extract, quercetin, and rutin with 2 different concentrations for each dye. Each type of dyeing applied a temperature of 70℃ or 90℃ and a time of 30 min or 60 min. Color values of dyed samples were examined using a spectrocolorimeter. HPLC-DAD analysis indicated the amount of quercetin and rutin contained in Flos Sophorae used in the study. UPF values of dyed samples were measured using an ultraviolet transmittance analyzer.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dyeing cotton with Flos Sophorae extract, quercetin, or rutin increased the UPF value and decreased the UVA and UVB transmittance (%) regardless of dyeing conditions. A higher rank of UPF values were shown in cotton dyed using the Flos Sophorae extract that implied the possible concerted effect of quercetin, rutin, and flavonoid compounds contained in Flos Sophorae. The results indicated that Flos Sophorae is an effective natural dye that can improve the UV protective function of summer cotton fabric.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재료에 따른 광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cal Properties by Material of Soft Contact Lens)

  • 손병호;정주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7-30
    • /
    • 2009
  • 목적: 현재 판매되어지고 있는 SCL의 건조 및 젖음 상태에 따라 UV 및 가시광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방법: 시중에 유통 중인 5가지 종류의 재료를 건조 및 젖음 상태에 따라 Spectrophotometer로 측정하여, SCL의 광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5가지 재료 중에서 젖음 및 건조 상태의 구별없이 일정한 투과값을 가진 재료도 있었다. 측정된 SCL의 가시광선 범위 투과율은 약 80% 이상의 투과율이 나와 광학적으로 우수하였다. 또한 대다수 SCL의 경우 UV에서 젖음 상태의 투과율이 건조 상태보다 높은 투과율을 나타냈다. 결론: 측정된 SCL의 재료 중에는 가시광선 범위에서 우수한 광학적 성능을 보였지만 대다수 SCL의 경우 UV 범위에서 높은 투과율이 나타냈다. 그러므로 앞으로 UV를 차단 기능이 있는 신소재 개발의 필요성이 강조될 것이다.

  • PDF

자외선 차단 소재 개발을 위한 전기방사 TiO2 복합나노섬유의 제조 및 특성 (Fabrication and Evaluation of Electrospun TiO2 Nanocomposite Fibers for the Development of UV-protective Textile Materials)

  • 이경;이승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11호
    • /
    • pp.1767-1778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s applying $TiO_2$ (titanium dioxide) nanoparticles to polypropylene nonwoven fabrics via electrospinning for the development of UV-protective materials. To fabricate uniform nanocomposite fibers, three types of $TiO_2$ nanoparticles were applied: powder, colloid, and $TiO_2$ coated polymer pellets. $TiO_2$/polyurethane (PU) and $TiO_2$/poly(vinyl alcohol) (PVA) nanocomposite fibers were electrospun and the morphology was examined using a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Layered fabric systems with electrospun $TiO_2$ nanocomposite fiber webs were developed at various concentrations of $TiO_2$ in a range of the web area density. The effects of $TiO_2$ concentration and web area density on UV-protective properties were examined. When $TiO_2$ colloid was added into a PVA polymer solution, uniform nanocomposite fiber webs in which $TiO_2$ particles were evenly dispersed were produced. Water-soluble PVA nanofiber webs were given a heat treatment to stabilize the electrospun PVA fibrous structure against dissolution in water. $TiO_2$/PVA nanoeomposite fiber webs with 2wt% $TiO_2$ and 3.0g/$m^2$ web area density exhibited an ultraviolet protection factor of greater than 50, indicating excellent UV protection.

정제된 시벅턴오일을 이용한 천연 자외선차단 크림의 제조 (Preparation of Natural Sunscreen Cream Using Refined Sea Buckthorn Oil)

  • 김동환;핑정위엔;이승범
    • 공업화학
    • /
    • 제35권4호
    • /
    • pp.329-334
    • /
    • 2024
  • 정제된 시벅턴오일을 사용하여 자외선차단 크림을 제조하고, 자외선 흡수능 및 유화안정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중심합 성계획모델 반응표면분석법(CCD-RSM)로 실험 조건을 설계하였다. 실험의 독립변수는 유화제 첨가량, 유화시간, 점증제 첨가량으로 설정하였고, 반응치로는 ESI, MDS, 290 nm에서의 흡광도로 설정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RSM 최적화를 통해 산출된 회귀방정식 계수의 F-value와 P-value을 통해 반응치에 가장 영향을 주는 주효과도와 교호효과도를 분석하였고 P-value를 통해 계수의 통계적 유의성을 평가하였다. 반응표면분석법을 통해 산출된 최적 유화조건은 유화제 첨가량(4.39 wt%), 유화시간(25.42 min) 및 점증제 첨가량(1.24 wt%)으로 산출되었고, 이때 반응치 값은 ESI (98.5%), MDS (322.9 nm), 그리고 UV 흡광도(2.73)이다. 산출된 최적 조건으로 실제 실험을 진행한 결과 평균 오차율은 ± 2.7% 로 측정되었다.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가진 항균성 안 의료용 소재에 관한 연구 (Study on Ophthalmic Materials Possessing UV-Blocking/Antimicrobial Functions)

  • 예기훈;성아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60-464
    • /
    • 2010
  • 2-hydroxy-4-methoxy-benzophenone과 titanium(VI) isopropoxide를 나노 금과 나노백금을 사용하여 자외선 차단과 항균성을 갖는 기능성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였다. 콘택트렌즈는 캐스트 몰드 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으며, $70^{\circ}C$에서 약 40분, $80^{\circ}C$에서 약 40분 건조하였다. 마지막으로 $100^{\circ}C$에서 약 40분 열처리 공정을 거쳐 공중합 하였다.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굴절률은 1.434 ~ 1.436, 함수율은 35.24% ~ 36.32% 그리고 가시광선 투과율은 88.3% ~ 90.8%를 나타내었다. 생성된 고분자는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는 데에 필요한 물리적 특성을 만족하였으며, 안 의료용 기능성 소재로의 응용이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홍화의 홍색소로 염색한 셀룰로오스계 직물의 광변퇴색 고찰 (A Study on Photofading of Cellulose Fabrics Dyed with Safflower Red Colorants)

  • 신윤숙;최승연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10호
    • /
    • pp.1-9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crease uv-cut ability of cotton, ramie, and rayon fabrics dyed with safflower red colorants. For this purpose, samples treated with uv-cut agent and tannic acid were compared with the untreated samples after ultraviolet(uv)-light exposure in terms of K/S value, color changes(${\Delta}E$), SEM, and tensile strength retention. K/S value rapidly decreased with increasing exposure time, but K/S value of the samples treated with both uv-cut agent and tannic acid decreased less than that of untreated samples. As increasing exposure time, $L^*$ and $b^*$ increased, $a^*$ decreased, and so ${\Delta}E$ increased, indicating less red character and more yellow character in color. This leads to change hue, value and chroma value. But color change of samples treated with both uv-cut agent and tannic acid was less than that of untreated samples. SEM pictures showed a severe degradation by uv exposure in all samples. Tensile strength slowly decreased for 21 days. And after this point, the decreased proceeded more rapidly. Tensile strength retention of the samples treated with uv-cut agent and tannic acid was higher than that of untreated samples.

쥐의 피부에 미치는 천연 대마 섬유의 UV-B 차단 효과 (Blocking Effect of Natural Hemp Fabrics on Mouse Skin)

  • 이상은;이경환;김은수
    • 한국전자현미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현미경학회 2007년도 제38차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71-74
    • /
    • 2007
  • 천연 대마섬유의 UVB 차단 효과를 조사하고자 mouse를 4개의 그룹으로 구분하여 자외선을 조사한 뒤 외이의 조직절편을 제작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자외선을 직접 조사한 실험군[U], 대마섬유로 차단한 뒤 자외선을 조사한 실험군[H],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차단한 후 자외선을 조사한 실험군[P],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대조군[C]으로 나누어 실험한 후 광학현미경하에서 피부 조직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대조군[C] 외이조직의 상피세포층 두께는 $16.3\;{\mu}m$이었지만, 자외선을 직접 조사한[U]군의 상피세포층은 $65.4\;{\mu}m$, [H]군은 $33.3\;{\mu}m$, [P]군은 $41.0\;{\mu}m$의 두께 변화를 보였다. 또한, 정상적인 외이의 상피세포의 단면적은 $22.0\;{\mu}m^2$이었으나, 자외선을 직접 조사한 [U]군의 상피세포층은 $37.7\;{\mu}m^2$, [H]군은 $30.1\;{\mu}m^2$, [P]군은 $30.2\;{\mu}m^2$이었다. 따라서 천연 대마섬유와 합성 폴리에스테르섬유 모두 UVB를 차단하는 능력을 갖고 있지만 전자가 후자보다 더 효과적으로 UVB를 차단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극지 식물플랑크톤의 유색 용존 유기물의 생산과 광반응성에 대한 자외선 영향 (UV Effects on Production and Photoreactivity of Chromophoric Dissolved Organic Matter in Media of Polar Marine Phytoplanktons)

  • 박미옥;하선용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712-720
    • /
    • 2022
  • 본 연구는 극지 식물플랑크톤의 자외선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Phaeocystis antarctica와 Phaeocystis pouchetii를 대상으로 유색 용존 유기물의 생산과 광반응성을 평가하였다. 강한 자외선에 노출 배양 시, 가시광선 파장대에서 유색 용존 유기물의 흡광도는 두 식물플랑크톤 모두 배양 초기에 비해 48시간 동안 감소하였다. 반면, 자외선 파장에서는 P. antarctica는 48시간 배양 후, 유색 용존 유기물의 흡광도는 초기 농도에 비해 약 30% 감소하였지만, P. pouchetii의 흡광도는 오히려 10% 증가한 경향을 보였다. 이 결과들은 강한 자외선에 노출될 경우, P. antarctica이 생산한 유색 용존 유기물은 광분해에 의한 감소로 인해 해수 중 수중 생태계에 자외선 차단 효과는 감소하는 반면, P. pouchetii가 생산한 유색 용존 유기물에 의한 광보호 효과가 더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자외선 영향 하에서 배양된 P. pouchetii의 배양액에서 시간에 따라 증가한 유색 용존 유기물의 형광 특성이 지구 거대물질로 알려진 humic-like (C-peak)와 일치하여, 이는 자외선 차단 물질로 알려진 MAAs 생물 생산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기후변화에 의한 성층화가 강화되는 극지 해양환경에서, 광반응성이 낮은 P. pouchetti가 용존 유기물의 증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