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TAUT Model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2초

기술수용 모델의 비교분석 : UTAUT1과 UTAUT2를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f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Focusing on UTAUT1 and UTAUT2)

  • 정병규
    • 벤처혁신연구
    • /
    • 제1권2호
    • /
    • pp.109-121
    • /
    • 2018
  • 새로운 기술이 끊임없이 나오고 있으며 새로운 기술이 도입되는 초기에는 기술적인 관점에서 많이 접근해왔다. 아무리 새로운 기술도 고객이 외면하면 효용성이 없으므로 고객의 관점에서 이러한 새로운 기술을 어떻게 수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기술수용에 관한 연구는 지속되어 오고 있으며 다양한 연구 모형이 존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Venkatesh 등이 제안한 UTAUT1과 UTAUT2를 모형이 적용되는 맥락, 모형에 사용된 변수, 요인간 영향력의 차이 관점에서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어떠한 모형도 모든 산업에 그리고 모든 상황에 적용되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각 모형이 가장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맥락을 찾고 여기에 맞게 적용하는 것이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외생변수, 내생변수, 새로운 매개 및 조절변수, 새로운 결과 메카니즘을 끊임없이 찾아 그 적합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UTAUT 모델을 통한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스포츠몰입과 웨어러블 디바이스 수용 간의 관계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s Commitment and Behavioral Intention of Sports Wearable Devices through UTAUT Model)

  • 전성범;임진선;이철원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5호
    • /
    • pp.291-30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여가스포츠 참여자 중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자와 잠재적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스포츠몰입(Sports Commitment)과 웨어러블 디바이스 수용의도 간의 관계를 UTAUT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표집된 239부의 설문지가 최종적으로 사용되었으며, SPSS 21과 AMOS 2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도출된 결과는 첫째, UTAUT 주요 4개 변인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수용의도와 사용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스포츠몰입 변인은 수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스포츠몰입과 웨어러블 디바이스 수용의도 간의 인과관계 사이에서 UTAUT 주요변인의 완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Factors Influencing the Reuse of Mobile Payment Services in Retail

  • KIM, Soon-Hong;YOO, Byong-Kook
    • 유통과학연구
    • /
    • 제18권3호
    • /
    • pp.53-65
    • /
    • 2020
  • Purpose: This study tests the suitability of a new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r a mobile payment system by checking 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hange is from the UTAUT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and UTAUT 2 models. Research, Data, and Methodology: We surveyed 250 students at Incheon University who are using the mobile payment system.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243 valid questionnaire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one month in October 2018.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Results: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confirmed whether the newly added hedonic motivation, switching cost, and perceived risk variables in the UTAUT2 model are good explanatory variables. Mobile payment usage experience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mobile payment reuse inten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UTAUT2 model brought about more influential change than the variables of the UTAUT model. Conclusions: This study found that consumers' psychological factors added in the UTAUT2 model greatly influenced the reuse intention for mobile payment. As an implication of this study, mobile payment providers need to develop strategies that could meet hedonic motivation, switching cost and perceived risk for their customers.

확장된 UTAUT 모형에 기반한 개인차원에서의 클라우드 컴퓨팅 수용 (Cloud Computing Acceptance at Individual Level Based on Extended UTAUT)

  • 정철호;남수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호
    • /
    • pp.287-294
    • /
    • 2014
  • 클라우드 컴퓨팅은 새로운 컴퓨팅 기술이고 조직에서는 정보자원을 전략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사용자 관점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원격의 어플리케이션에 접근하고, 데이터를 저장하며, 개인간 협업을 지원하는 등의 이슈를 수반한다. 조직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효과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우선 사용자의 채택이 전제조건이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개인차원의 클라우드 컴퓨팅 수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기존의 UTAUT 모형을 수정하고 확장한 모형을 제안하고, 설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 모형의 타당성을 검정한다.

대학생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UTAUT2 모델의 응용 (Influential Factors of College Students' Intention to Use Wearable Device -An Application of the UTAUT2 Model)

  • 손현정;이상원;조문희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68권
    • /
    • pp.7-33
    • /
    • 2014
  • 본 연구는 확장된 UTAUT2 모델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주요 잠재적 수용자인 대학생들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인포테인먼트 기능으로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의도에 대한 분석을 위해 기존의 UTAUT 모형에서 상정하고 있는 핵심변수 네 가지 즉,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 외에 쾌락적 동기, 가격 효용성, 인지된 위험을 추가한 확장된 UTAUT2 모델을 설계하고, 이를 적용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았다. 그 결과, 기존의 UTAUT 모델의 주요 변인인 성과기대, 사회적 영향 및 촉진조건이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UTAUT2 모델에서 추가된 변인인 쾌락적 동기와 가격 효용성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쳤음을 발견하였다. 한편, 본 연구의 주요 목적 중 하나는 UTAUT2 모델의 이론적인 검증이었는데, UTAUT1 모델의 주요 변인들뿐만 아니라 UTAUT2 모델에 새롭게 추가된 변인인 쾌락적 동기 변인과 가격 효용성 변인이 모두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의도를 잘 설명하는 변인임을 확인함으로써 UTAUT2 모델이 새로운 ICT 기술의 수용을 타당하게 설명할 수 있는 모델임을 밝혔다. 따라서 UTAUT2 모델에 관한 이론적인 검증은 새로운 ICT 기술 수용 및 다른 다양한 연구주제에 관한 연구를 통해서 계속 진행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 준다.

  • PDF

메타분석을 활용한 통합기술수용모형의 개선 연구: KCI 등재 논문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UTAUT) Improvement using Meta-Analysis: Focused on Analysis of Korea Citation Index(KCI)-Listed Researches)

  • 황정선;이홍주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47-56
    • /
    • 2017
  • 통합기술수용모형(UTAUT)은 기술수용모형(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의 한계점을 개선하기 위해 8가지의 기존 이론을 종합하여 제시된 것으로, 최근 신기술의 수용 및 확산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하여 UTAUT를 이용한 연구의 주요요인에 대해 분석과 연구모형의 일관성에 대한 검증을 하였다. 이를 통해 주요요인의 관계와 추가적 요인에 대한 결과를 제시하고 해석하였다. 아울러 선행연구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차이점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메타분석 결과, 추가적 요인으로 만족감, 쾌락동기, 태도, 지각된 즐거움이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확장된 UTAUT 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국내 연구의 경우 행동의도를 높이는 활동이 실제 행동으로 이어지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신기술이나 신제품의 수용 및 확산을 연구하는 연구자 및 신제품을 출시하고자 하는 기업에 도움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한다.

  • PDF

기술수용통합모델(UTAUT)에 기반한 공항의 셀프서비스 기술수용이 이용 행동의도 및 쾌락동기에 미치는 영향 - 개인혁신성의 조절효과를 포함하여 - (The Effect of Acceptance of Airport Self-Service Technology Based on Technology Acceptance Integrated Model(UTAUT) for Motivation of Utilization Behavior and Hedonic Motivation - Including the Moderator Effect of Personal Innovation -)

  • 이수미;박학순;이종성;김기웅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08-115
    • /
    • 2018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xplore the determinants affecting behavioral intention to adopt airport self-service. Based on the theoretical model incorporating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UTAUT) and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in this study, a revised and extended model was proposed in order to better explain Airport Self-service adoption. Moreover, the aim was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hedonic motivation on Airport Self-service adoption. The proposed model was empirically tested using survey data provided by 323 respondents and was analyzed us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빅데이터 시스템 도입을 위한 통합모형의 연구 : TOE, DOI, UTAUT를 기반으로 (A Study on an Integrative Model for Big Data System Adoption : Based on TOE, DOI and UTAUT)

  • 이선우;이희상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1권4_spc호
    • /
    • pp.463-483
    • /
    • 2014
  • Data are dramatically increased and big data technology is spotlighted innovative technology among the latest information technologies. Organizations are interested in adoption of big data system to analyze various data format and to identify new business opport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 unified model for a system adoption through analysis of impact that affects behavioral intention and usage behavior of using big data. This study in addition to Technology-Organization-Environment (TOE), that is used the introduction of organizational studies, and Diffusion of Innovation (DOI) have implemented an extended unified model including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UTAUT) that is usually used in personal level adoption study. The hypothesis was set up after implementing research model, and then got 411 effective survey data to target the member of organizations. As a result, all models (UTAUT, TOE, DOI) are affect to behavioral intention and usage behavior. It is verified that the suggested unified model was appropriate.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의 수용에 관한 연구: 확장된 통합기술수용모형과 혁신저항모형의 통합적 접근 (A Study on Wearable Healthcare Device Adoption : An Integrated Approach of UTAUT2 and MIR)

  • 진석;안현철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8권3호
    • /
    • pp.159-202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users' wearable healthcare device adoption using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the hedonic motivation and price value of UTAUT2, and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tention to use wearable healthcare device and innovation resistance formed by perceived risks. Design/methodology/approach The research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is based on UTAUT2(Extended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and MIR(Model of Innovation Resistance). In specific,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hedonic motivation and price value of UTAUT2 and innovation resistance formed by perceived risks of MIR are adopted in our research model. To validate the research model, we carry out the analysis of the survey data using Smart PLS 3.0 to test the hypotheses. Findings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hedonic motivation, and price value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intention to use wearable healthcare devices. It also finds that perceived risk affects innovation resistance and in turn, innovation resistance affects the intention to use wearable healthcare devices.

당신은 왜 팟캐스트 서비스를 사용하는가? : UTAUT 모형 (Why Do You Use A Podcast Service? : A UTAUT Model)

  • 김형열;김태성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3권2호
    • /
    • pp.153-176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d factors affecting the use intention of podcast service users based on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UTAUT).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facilitating condition, hedonic motivation, innovativeness, and media credibility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model. The survey data from the users of the podcast portal 'podbbang' were analyzed with Smart PLS 2.0 to test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odcast service user's effort expectancy, facilitating condition, hedonic motivation, and media credibility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use intention.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dcast service user's performance expectancy, social influence, innovativeness, and use intention were not identified as signif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