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ype 1

검색결과 49,030건 처리시간 0.066초

유한요소 해석을 이용한 정형용 흉·요추 보조기의 형태에 따른 생체역학적 분석 (Biomechanical Analysis of Different Thoracolumbar Orthosis Designs using Finite Element Method)

  • 김영현;전성철;정덕영;이성재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45-50
    • /
    • 2012
  • 흉 요추 보조기는 후만증 관련 증상의 진행을 예방하고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노인성 후만증 환자의 재활을 위하여 이용되고 있다. 최근 다양한 형태의 흉 요추 보조기가 개발되고 있으나 생체역학적 효과에 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형태 (Type 1, one-connecting frame type; Type 2, two-connecting frame type; Type 3, all-in-one type)의 흉 요추 보조기와 몸통 (trunk)의 유한요소 모델을 구현하여 보조기 착용 후 운동성 변화에 따른 몸통에서의 압력 분포 및 보조기의 응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신전 운동 시 몸통에서 확인되는 압력의 분산은 일체형의 형태를 가지는 Type 3에 의해서 가장 고르게 이루어졌으며 connecting frame 형태의 Type 1과 Type 2의 압력 분포 패턴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보조기 착용에 따른 몸통의 운동성은 Type 2 ($11.3{\sim}13.9^{\circ}$), Type 1 ($12.1{\sim}15.4^{\circ}$)와 비교하여 Type 3 ($8.5{\sim}9.4^{\circ}$)에 의하여 가장 크게 제한되었다. 모든 Type의 보조기는 20% 미만의 파단 가능성을 보였다. 따라서, 보조기 착용에 따른 등압 분포 및 운동성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일체형의 흉 요추 보조기가 후만증 환자 재활에 있어 높은 효과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학교구강보건계속관리사업을 위한 치과의료인력 수요 추계 (Estimation of Number of Dentists Required for the Systematic School Dental Programmes)

  • 권호근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5권1호
    • /
    • pp.115-123
    • /
    • 1982
  • The systematic school dental health programmes have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effective national dental health measur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number of dentists required for the systematic school dental programmes in Korea applying the methodology recommended by WHO.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study was obtained by a mass oral examination to the 1241 prim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Kang Wha area. First and 6th grade students from primary school and 3rd year students from middle school were specifically selected for the examinat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below: 1) For the Type I program recommended by WHO, 1.8 dentists per 10,000 primary school children were estimated to be necessary. For the Type II program 2.5 dentists, Type III program 2.0 dentists, Type IV program 3.6 dentists per 10,000 primary school children were estimated to be necessary. In order to extend the systematic school dental programmes to the middle students, 2.0 dentists for the Type I program and 2.4 dentists for the Type II program 2.2 dentists for the Type III program, 3.6 dentists for the Type IV program per 10,000 students were estimated to be necessary. 2) If we assume that prophylaxis are done by hygienist, for the Type I program 1.3 dentists and 0.5 hygienist, for the Type II program 1.8 dentists and 0.7 hygienist, for the Type III program 1.3 dentists and 0.7 hygienist, for the Type III program 2.2 dentists and 1.4 hygienists per 10,000 primary school students were estimated to be necessary. In order to extend this program to the middle school, 1.4 dentists and 0.6 hygienist for the Type I program, 1.6 dentists and 0.8 hygienist for the Type II program, 1.4 dentists and 0.8 hygienist for the Type III program, 2.2 dentists and 1.4 hygienist for the Type IV program per 10.000 students were estimated to be necessary.

  • PDF

MDCT의 3차원 볼륨렌더링을 이용한 복강축과 위창자간막동맥의 변위 형태에 관한연구 (A Study on Variation Types in Celiac Axis and Superior Mesenteric Artery using 3D Volume Rendering of MDCT)

  • 이정근;장영일;장성주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6권2호
    • /
    • pp.131-139
    • /
    • 2013
  • 복부 전산화단층촬영 후 3차원 볼륨렌더링으로 재구성한 영상을 분석하여 복부대동맥에서 분지하는 복강축과 위창자간막동맥을 기준으로 해부학적 변위를 분류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복부 전산화단층혈관촬영을 시행한 613명 환자의 3차원 볼륨렌더링 영상을 이용하여 해부학적 변위를 형태별로 분류한 결과 552명(Type I, II)은 정상 구조에 속하였고, 61명(Type III~XII)은 변위로 분류하였다. Type I이 339명 (55.31%), Type II가 213명(34.74%)으로 나타났으며 변위로 분류된 경우는 Type III은 18명(2.93%), Type IV는 12명 (1.95%), Type V는 11명 (1.79%), Type VI는 9명 (1.46%), Type VII는 6명 (0.97%)으로 나타났으며, Type VIII~XII는 각각 1명 (0.16%)으로 전혀 새로운 변위형태로 분류되었다. 결론적으로 복강축과 위창자간막동맥을 기준으로 변위를 분류한 결과 그동안 간동맥 중심의 해부학적 변위 분류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던 9가지의 새로운 변위형태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는 새로운 혈류지도를 만드는 중요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의 초지형 (The Grassland Type in Korea)

  • 박봉규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9권3_4호
    • /
    • pp.7-13
    • /
    • 1966
  • The investigation on the grassland type was conducted by the data in the previous these (Park 1963, '64, '65, '66).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I defin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lves of DS and the main species of the grass in Korea(Table Ⅰ) Grassland Stage ; Waste type………6 community-types Short grass type………3 community-types Pteridium type………1 community-types Tall grass type………4 community-types Sasamorpha type………1 community-types Shrubby Stage; Lespedeza type Pioneer tree type………6 species Forest Stage; Deciduous broad leave tree type………6 species Evergreen broad leaved tree type………3 species Evergreen needle leaved tree type………7 species 2) I defin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lves of DS and the grassland type in Korea(Table 2). Of grassnland type, the range of valves of DS, 50-220 belongs to waste type; 130-310 short grass type; 230-640 tall grass type; 210-450 pteridium type; 510-970 sasamorpha type; 730-1450 shrubby type; 3) I decided; The succession stage centering on the Sasamorpha purpuracens in Korea(Table 3). 4) I decided the climate type and the grassland succession in Korea(Table 4).

  • PDF

Interval Type-2 퍼지 논리 시스템 기반의 비선형 모델 설계 (Design of Nonlinear Model by Means of Interval Type-2 Fuzzy Logic System)

  • 김인재;오성권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17-320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Type-1 퍼지 논리 시스템과 Type-2 퍼지 논리 시스템을 설계하고, 불확실한 정보를 갖는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각각의 성능을 비교한다. Type-1 퍼지 논리 시스템은 외부잡음에 민감한 단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 Type-2 퍼지 논리 시스템은 불확실한 정보를 잘 표현할 수 있으며 효율적으로 취급한다. 따라서 Type-2 퍼지 논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2가지의 모델을 설계한다. 첫 번째 모델은 규칙의 전 ${\cdot}$ 후반부가 불확실성을 표현 할 수 없는 Type-1 퍼지 집합으로 구성된 Type-1 퍼지 논리 시스템을 설계한다. 두 번째는 규칙 후반부만 Type-2 퍼지 집합으로 구성한 두가지의 Type-2 퍼지 논리 시스템을 설계한다. 여기서 규칙 전반부의 입력 공간 분할에는 Min-Max 방법의 균등분할을 사용하고, 규칙 후반부 멤버쉽 함수의 중심 결정에는 입자 군집 최적화(Particle Swarm Optimization)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동정한다. 또한 입력 데이터에 인위적으로 가하는 노이즈의 정도에 따른 각각 모델의 성능을 비교한다. 마지막으로 비선형 모델 평가에 주로 사용되는 가스로 시계열 데이터를 제안된 모델에 적용하고, 실험을 통하여 불확실한 정보를 다루기에 Type-1 퍼지 논리 시스템 보다 Type-2 퍼지 논리 시스템이 효율적이라는 것을 보인다.

  • PDF

Type-2와 Type-1 TSK FLS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Type-2 and Type-1 TSK FLS.)

  • 지광희;오성권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21-324
    • /
    • 2008
  • Type-2 퍼지 집합은 Type-1 퍼지 집합에서는 다루기 어려운 언어적인 불확실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다. TSK 퍼지 로직 시스템(TSK Fuzzy Logic Systems; TSK FLS)은 Mamdani 모델과 함께 가장 널리 사용되는 FLS이다. 본 연구의 Interval Type-2 TSK FLS 모델은 전반부에서 Type-2 퍼지 집합을 이용하고 후반부는 계수가 상수인 1차식을 사용한다. 전반부의 파라미터는 오류역전파 방법(Back-propagation)을 통한 학습으로 결정되고, 후반부 파라미터(계수)들은 Least squre method(LSM)를 사용하여 결정된 값을 사용하여 모델을 구축한다. 본 논문에서는 Type-1 TSK FLS과 Type-2 TSK FLS의 성능을 가스로 공정 데이터를 적용하여 비교 분석한다. 또한 랜덤 화이트 가우시안 노이즈를 추가한 테스트 데이터를 사용하여 노이즈에 대한 성능을 분석한다.

  • PDF

Body Plethysmograph를 이용한 Airway Resistance Curve의 임상적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Airway Resistance Curve by the Body Plethysmograph)

  • 천선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2호
    • /
    • pp.218-225
    • /
    • 1995
  • 연구배경: 기도저항은 body plethysmograph를 이용하여 flow/alveolar pressure의 관계를 측정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는데, 기도저항이 정상인 경우 oscillooscope 상에서 얻어지는 resistance curve가 거의 linear 하나 증가된 경우에는 그 모양이 기울어지거나 loop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아 이러한 curve를 분석하여 환자의 임상평가에 도움이 되는 결과를 얻고자 하였다. 방법: 기도저항이 증가되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body plethysmograph에서 quiet breathing시에 얻어진 resistance curve의 형태를 분석하여 폐기능을 비교하였다. 결과: 1) Resistance curve는 type 1: linear, type 2: ovoid, type 3: sigmoid, type 4: scoop, type 5: paisley의 5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1예를 제외한 type 3과 type 4 및 5는 loop을 형성하였다. 2) Curve의 형태가 특정 질환에 특징적이지는 않았으나 급성질환은 주로 type 1, 및 2, 만성기류폐쇄는 주로 type 3, 4 및 5에 속하였으며, 기관지 천식이나 오래된 폐결핵은 그 정도에 따라 type 1 에서 5까지의 형태를 모두 보였다. 3) Type 1에서 type 5로 갈 수록, loop을 형성 할 수록 기도폐쇄가 심하고 기도저항이 증가되며 잔기량이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기도저항을 측정할 경우 기도저항의 측정치 뿐 아니라 resistance curve를 분석하여 기도폐쇄와 air trapping의 정도를 판단하는데 도움을 얻을수 있으며, resistance curve의 모양이 특정 질환에 특징적이지는 않았지만 호기시 loop이 형성되는 경우 심한 기도폐쇄를 시사하였다.

  • PDF

상악 임플랜트 Overdenture에서 Bar Attachment 설계에 따른 유지력 변화에 관한 연구 (COMPARATIVE STUDIES OF RETENTIVE FORCES IN MAXILLARY OVERDENTURE BAR ATTACHMENTS)

  • 손차영;정창모;전영찬;임장섭;정희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50-661
    • /
    • 2005
  • Statement of problem: It could be hypothesised that attachments, which provide more retention against vortical and horizontal dislodgement, will be associated with more favorable parameters of oral function. Purpose: This study was to provide data of initial retentive force and retention loss of different bar attachment systems recommended for use with maxillary implant overdentures. Material and method: 4 implants were placed in the anterior region of edentulous maxilla, five different systems of bar attachment were fabricated as follows: cantilevered Hader bar using clips (Type 1), Hader bar using clips without cantilever (Type 2), Hader bar using clip and ERA attachment orange male (Type 3), Hader bar using clip and ERA attachment white male (Type 4), and Bar using magnets (Type 5). Each samples were placed in the universal testing machine for determination of retentive forces(at initial and after every 200 cycles up to 1,000 cycles). Results and Conclusion 1. Attachment type 1 showed the biggest initial retentive force followed by type 3, type 2, type 4, and lastly type 5(P<0.001). 2. After 1,000 cycles of repeated removals of attachments, significant loss of retentive forces was taken place except for attachment type 5. 3. After 1,000 cycles of repeated removals, the loss of retentive force between type 1 and type 2, which used Hader bar and clip attachments. was greater in type 1 that had wider clip formation. And between type 3 and type 4, which used ERA attachments, the loss of retentive force was greater in type 4 that had white male attached (P<0.001). 4. After 1.000 cycles of repeated removals, attachment type 3 showed the biggest retentive force followed by type 2, type 4, type 1 and lastly type. 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ttachment type 3 and 4, and type 4 and 1(P<0.001).

HELICOIDAL SURFACES WITH POINTWISE 1-TYPE GAUSS MAP

  • Choi, Mie-Kyung;Kim, Dong-Soo;Kim, Young-Ho
    • 대한수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215-223
    • /
    • 2009
  • The helicoidal surfaces with pointwise 1-type or harmonic gauss map in Euclidean 3-space are studied. The notion of pointwise 1-type Gauss map is a generalization of usual sense of 1-type Gauss map. In particular, we prove that an ordinary helicoid is the only genuine helicoidal surface of polynomial kind with pointwise 1-type Gauss map of the first kind and a right cone is the only rational helicoidal surface with pointwise 1-type Gauss map of the second kind. Also, we give a characterization of rational helicoidal surface with harmonic or pointwise 1-type Gauss map.

Leopard danio 반문의 유전 양상과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Genetic Analysis of Pigmentation Pattern in the Leopard Danio)

  • 이병문;강거영;송춘복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53-361
    • /
    • 1998
  • Zebra danio와 leopard danio의 부모세대(Po)간의 상반교재를 병행한 교배실험에서 5개체의 small spotted type이 출현한 1개의 실험구를 제외하고는 모두 wild type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F하(1)세대 간의 상반교배로 태어난 F하(2)세대는 wild type과 spotted type의 비율이 모두 3 : 1로 나타났다. F하(1)세대와 Po세대와의 상반교배를 병행한 역교배실험에서는 부모세대를 zebra danio로 사용한 경우, wild type과 spotted type이 178 : 1, 2.7 : 1, 3.9 : 1로 출현하는 실험구를 제외하고는 모두 wild type으로 나타났고, spotted type을 사용한 역교배 및 검정교배실험에서 40개체의 small spotted type으로 출현하는 실험구를 제외하고는 모두 1 : 1의 비율을 나타내었다. Z x F(LZ) 교재실험구 중 두 개의 반복구(각각 2.7 : 1, 3.9 : 1 )에서 wild type과 spotted type의 비율이 3 : 1로 나타났으나, F하(1)세대간의 교배실험과 검정교배실험 결과, zebra danio 암컷이 이형접합자(Pp)였다고 추정되었다. Spotted type과 small spotted type으로 나타나는 예외적인 결과에 대해 아직까지 확실히 규명되지 않았지만, 모든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반문을 조절하는 유전자의 인자형은 zebra danio가 동형 우성 (PP)이고, leopard danio가 동형 열성(pp)이며, 유전자는 상염색체 상에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정 후부터 15일째까지의 생존율 비교 실험에서 $Z{\times}Z$ (83.8${\pm}$6.7%)와 $L{\times}L$(80.6${\pm}$4.8%)는 생존율에 있어서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이들과 다른 교배군인 $Z{\times}L$(73.2${\pm}$2.0%) 이나 $L{\times}Z$(70.6${\pm}$4.2%) 와는 유의차를 보였다. 따라서 D. frankei로 알려졌던 leopard danio는 zebrafish의 aquarium morph인 반문 돌연변이체이지만 leopard danio 사이에 교배가 이루어질 경우에는 유전적으로 안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 반면에, wild type zebrafish와는 다소의 유전적인 부조화가 존재한다고 추정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