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wo-step adhesive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36초

Effect of different air-drying time on the microleakage of single-step self-etch adhesives

  • Moosavi, Horieh;Forghani, Maryam;Managhebi, Esmatsadat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8권2호
    • /
    • pp.73-78
    • /
    • 2013
  •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three different air-drying times on microleakage of three self-etch adhesive systems. Materials and Methods: Class I cavities were prepared for 108 extracted sound human premolars. The teeth were divided into three main groups based on three different adhesives: Opti Bond All in One (OBAO), Clearfil $S^3$ Bond (CSB), Bond Force (BF). Each main group divided into three subgroups regarding the air-drying time: without application of air stream, following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 for 10 sec more than manufacturer's instruction. After completion of restorations, specimens were thermocycled and then connected to a fluid filtration system to evaluate microleakage.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wo-way ANOVA and Tukey-test (${\alpha}$ = 0.05). Results: The microleakage of all adhesives decreased when the air-drying time increased from 0 sec to manufacturer's instruction (p < 0.001). The microleakage of BF reached its lowest values after increasing the drying time to 10 sec more than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 (p < 0.001). Microleakage of OBAO and CSB was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BF in all three drying time (p < 0.001). Conclusions: Increasing in air-drying time of adhesive layer in one-step selfetch adhesives caused reduction of microleakage, but the amount of this reduction may be dependent on the adhesive components of self-etch adhesives.

Unground enamel에 대한 all-in-one adhesive의 1회 또는 2회 적용이 미세인장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ne or two applications of all-in-one adhesive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to unground enamel)

  • 손창용;김현철;허복;박정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6호
    • /
    • pp.445-451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미세인장결합강도 실험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unground enamel에 대한 all-in-one adhesive의 1회 또는 2회 적용에 따른 효과를 평가하였다. 발거된 하악 대구치의 설측 치관부를 사용하여 3개씩 5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SE군은 Clearfil$^{tm}$ SE Bond를 적용하였다. LP1 군, LP2 군은 Adper Prompt L-Pop$^{tm}$을 각각 1회 , 2회 적용하였다. XN1 군, XN2 군은 Xeno$^{R}$III를 각각 1회, 2회 적용하였다. 그런 다음 복합 레진 Z100을 적층 충전하였다. 법랑질 표면의 접착제를 아세톤으로 제거하고 주사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산 부식 양상을 관찰하였다 미세인장결합강도 측정을 위해 표본을 절단하여 레진과 치아의 접착 계면이 1 mm$^2$이 되도록 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의 결과는 One-way ANOVA를 사용해 분석한 다음 Duncan's post-hoc test로 사후 검정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all-in-one adhesive의 1회와 2회 적용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two-step self-etching adhesive와 all-in-one adhesive의 산 부식 양상 모두 얕고 불규칙 하였다.

Development of Two-Step Surface Treatment on Carbon Nanotube Cathode for Backlight Unit Application

  • Ha, Sang-Hoon;Jung, Dea-Hwa;Park, Ki-Jung;Kwon, Na-Hyun;Choi, Young-Jun;Chang, Ji-Ho;Cho, Young-Rae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9년도 9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152-155
    • /
    • 2009
  • A novel two-step surface treatment was developed and demonstrated for the carbon nanotube (CNT) cathode with highly efficient backlight unit application. An adhesive taping method was applied firstly and then followed by a post-heat treatment for the CNT cathode. During the postheat treatment process, some residues covering the CNTs were burned out. The post-heat treatment enhanced the emission current of the CNT cathode around 20% compared with that of no heat-treated sample.

  • PDF

A study on the compatibility between one-bottle dentin adhesives and composite resins using micro-shear bond strength

  • Song, Minju;Shin, Yooseok;Park, Jeong-Won;Roh, Byoung-Duck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0권1호
    • /
    • pp.30-36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 combined use of one-bottle self-etch adhesives and composite resins from same manufacturers have better bond strengths than combinations of adhesive and resins from different manufacturers. Materials and Methods: 25 experimental micro-shear bond test groups were made from combinations of five dentin adhesives and five composite resins with extracted human molars stored in saline for 24 hr. Testing was performed using the wire-loop method and a universal testing machine. Bond strength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wo 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Tukey's post hoc test. Results: Two way ANOVA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factors of dentin adhesives and composite resins, an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p < 0.001). All combinations with Xeno V (Dentsply De Trey) and Clearfil $S^3$ Bond (Kuraray Dental) adhesiv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icro-shear bond strength, but other adhesiv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composite resin (p < 0.05). Contrary to the other adhesives, Xeno V and BondForce (Tokuyama Dental) had higher bond strengths with the same manufacturer's composite resin than other manufacturer's composite resin. Conclusions: Not all combinations of adhesive and composite resin by same manufacturers failed to show significantly higher bond strengths than mixed manufacturer combinations.

Fabrication of Metal Nanohoneycomb Structures and Their Tribological Behavior

  • Kim, Sung-Han;Lee, Sang-Min;Choi, Duk-Hyun;Lee, Kun-Hong;Park, Hyun-Chul;Hwang, Woon-Bong
    • Advanced Composite Materials
    • /
    • 제17권2호
    • /
    • pp.101-110
    • /
    • 2008
  • Metal nanohoneycomb structures were fabricated by E-beam evaporation and a two-step anodization process in phosphoric acid. Their tribological properties of adhesion and friction were investigated by AFM in relation to the pore size of the nanohoneycomb structures. Variations of the adhesive force are not found with pore size, but formation of the pore greatly reduces the adhesive force compared to the absence of pore structure. The coefficient of friction increased nonlinearly with pore size, due to surface undulation around the pore. Tribological properties do not differ greatly between the original nanohoneycomb structure and the metal nanohoneycomb structure.

자가 중합 복합 레진과 두 단계 산 부식 접착제의 친화성에 대한 중간 접착제와 흐름성 레진의 효과 (EFFECT OF AN INTERMEDIATE BONDING RESIN AND FLOWABLE RESIN ON THE COMPATIBILITY OF TWO-STEP TOTAL ETCHING ADHESIVES WITH A SELF-CURING COMPOSITE RESIN)

  • 최속경;염지완;김현철;허복;박정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5호
    • /
    • pp.397-405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자가 중합복합 레진과 두 단계 산 부식 접착제의 친화성에 대한 중간 접착제와흐름성 레진의 효과를 미세 인장 결합 강도를 통해 비교하는 것이었다. 20개의 발거된 대구치를 사용해 접착제와 부가적인 적용(활성제, 중간 접착제, 흐름성 레진)에 따라 XP bond 그룹 (XA, XB, XF 그룹), Prime & Bond NT 그룹 (NA, NB, NF 그룹), Optibond solo plus 그룹 (OA, OB OX 그룹)으로 나누었다. 접착제 적용 후 활성제, 중간 접착제, 흐름성 레진을 각각 적용하고 상부에 자가 중합 레진을 축성하였다. 24시간 동안 실온의 증류수에 보관 후 각 그룹당 10개의 시편을 준비하였다. 모든 시편의 미세인장 결합 강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모든 그룹에서 중간 접착제와 흐름성 레진의 적용은 활성제 적용보다 더 높은 결합 강도를 보였다. 2. 선택된 방법에 관계없이, Optibond solo plus 그룹은 가장 낮은 미세인장 결합강도를 보였다. 3. 파절 양상은 대부분 접착성 파절을 보였고 일부 레진 내에서 응집성 파절을 보였다. 이번 연구의 결과로부터, 중간 접착제와 흐름성 레진의 적용이 낮은 pH를 가지는 두 단계 산 부식 접착제와 자가 중합복합 레진의 상아질 접착에 더 효과적이라 예상된다.

$SiH_2$$CI_2$ 환원에 의해 형성된 WSix 박막 특성 (Characteristics of Tungsten Silicide Film Formed by Dichlorosilane Reduction)

  • 최동규;고철기
    • 전자공학회논문지A
    • /
    • 제29A권9호
    • /
    • pp.15-19
    • /
    • 1992
  • Tungsten silicied (WSix) has been widely used for interconnection line to improve the speed and reliability of devices. It is known that WSix formed by silane reduction has poor step coverage and poor adhesion. In this research, WSix by dichlorosilane reduction showed excellent adhesion in cellophane adhesive tape test, and improved step coverage by two times. The crystal structure of the as-deposited WSix film by silane reduction was transformed from the hexagonal to the tetragonal structure during annealing treatment, while that by dichlorosilane reduction kept the stable tetragonal structure. The fluorine concentration in the WSix film by dichlorosilane was lower than that by silane.

  • PDF

Load cycling에 따른 소수성 실험용 상아질 접착제의 nanoleakage 양상 (The nanoleakage patterns of experimental hydrophobic adhesives after load cycling)

  • 손서진;장주혜;강석호;유현미;조병훈;손호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1호
    • /
    • pp.9-19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 실험용 소수성 상아질 접착제와 전통적인 3-step 상아질 접착제의 nanoleakage 양상을 load cycling 전, 후에 비교하여 상아질 접착제의 내구성을 예측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두 가지 실험용 소수성 상아질 접착제 즉, 에탄을 포함 상아질 접착제, 메탄을 포함 상아질 접착제를 만들었다. 대구치 30개의 치관부 3분의 1을 절단하고 임의로 3군으로 나누어 각각 Scotchbond Multi-Purpose (3M ESPE, St. Paul, MN, USA), 에탄올 포함 상아질 접착제 및 메탄을 포함 상아질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아질 접착 후, 복합레진으로 치관부를 수복하였다. 각각의 접착 시스템을 Load cycling 여부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고 각각의 치아를 접착 계면에 수직으로, 약 2.0 mm의 두께가 되도록 절단하여 치아마다 2개의 시편을 얻어 각 군 당10개의 시편을 얻었다. 시편을 50 % ammoniacal silver nitrate를 이용하여 염색한 후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혼성층의 nanoleakage를 관찰하였다. 은 침착의 분포는 image analysis software (Scion Image Beta 4.03, Scion Corp., Frederick, MD, USA)를 이용하여 gray value로 계산하였고 이 원분산 분석법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3종의 상아질 접착제에서 모두 nanoleakage가 관찰되었으나, 에탄올 포함 상아질 접착제와 메탄을 포함 상아질 접착제에서 Scotchbond Multi-Purpose 보다 적은 양의 nanoleakage 가 관찰되었다 (p < .0001). 각각의 상아질 접착제에서 load cycling에 따른 nanoleakage 양상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친수성기를 줄이고 소수성기를 극대화 한 실험용 상아질 접착제가 접착 계면의 내구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상아질 접착 후 저장기간에 따른 접착제의 접착력 변화 (THE CHANCE OF ADAPTABILITY CHANCE IN ADHESIVE SYSTEMS TO DENTIN SUBSTRTE ACCORDING TO STORAGE TIME)

  • 조영곤;반일환;유미경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3호
    • /
    • pp.204-214
    • /
    • 2005
  • 본 연구는 상아질에 2단계와 단일 단계 자가 산부식 접착제를 적용하여 복합레진을 접착한 후 저장기간에 따른 미세 인장 결합강도와 접착계면의 변화를 상호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발거된 상 하악 대구치 48개의 교합면측 상아질을 노출시켜 12개씩 4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사용된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 SE Bond 군, AdheSE 군, Adper 군, Xeno III 군으로 분류하여 접착제를 적용한 후, 동일 회사의 복합레진 을 4 mm두께로 접착시켰다. 각 군당 4개의 치아를 선택하여 증류수가 담겨진 용기에 집어넣고 37$^{\circ}C$의 항온기에 각각 1일 15일, 30일 동안 저장한 후 시편을 제작하여 각각 미세인장 결합강도의 측정과 주사전자 현미경 관찰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2단계 자가 산부식 접착제는 1일에서 30간의 저장기간 동안 결합강도가 점차적으로 감소하였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상아질과 접착제 간에 긴밀한 접착관계를 보였다. 반면에 단일 단계자가 산부식 접착제는 1일의 저장기간에 비해 30일의 저장기간에서 통계학적인 결합강도의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상아질과 접착제 간에 넓은 간극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나타난 두 종류의 30일 동안의 접착내구성은 2단계 자가 산부식 접착제가 단일 단계 자가 산부식 접착제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이아몬드 기구로 삭제한 와동에서 2단계 접착제의 미세누출 비교 (MICROLEAKAGE OF 2-STEP ADHESIVE SYSTEMS IN DIAMOND-PREPARED CAVITY)

  • 이명구;조권환;조영곤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5호
    • /
    • pp.437-444
    • /
    • 2007
  • 이 연구는 거친 입자와 미세한 입자의 다이아몬드 포인트로 형성한 5급 와동에서 서로 다른 2단계 접착시스템 사용시 법랑질과 상아질 변연에서의 미세누출 차이를 상호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40개의 발거한 대구치의 협면 치경부에 각각 $106-205\;{\mu}m$의 거친 다이아몬드 포인트 (EX-41)와 $53-63\;{\mu}m$의 미세한 다이아몬드 포인트 (TF-21F)를 이용하여 20개씩 5급 와동을 형성한 후 사용된 접착시스템과 복합레진에 따라 다음과 같이 4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1군은 EX-41 포인트로 형성한 와동에 Single Bond와 Z 250을 사용한 군, 2군은 TF-21F 포인트로 형성한 와동에 Single Bond와 Z 250을 사용한 군, 3군은 EX-41 포인트로 형성한 와동에 Clearfil SE Bond와 Clearfil AP-X를 사용한 군, 4군은 TF-21F 포인트로 형성한 와동에 Clearfil SE Bond와 Clearfil AP-X를 사용한 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은 $5^{\circ}C$$55^{\circ}C$의 증류수에서 500회 열 순환한 후 2% methylene blue용액에 1일 동안 침적하였다. 각 군의 치아를 협설로 절단하여 광학 입체현미경 하에서 법랑질과 상아질 변연에서의 색소침투 정도를 관찰하여 미세누출 점수를 평가하고, 각 군 간의 유의성을 검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 연구를 종합하면, 5급 와동에서 Single Bond는 이 연구에 사용한 다이아몬드 포인트의 종류에 따른 변연 미세누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Clearfil SE Bond는 거친 다이아몬드 포인트 보다는 미세한 다이아몬드 포인트를 사용하는 것이 법랑질과 상아질 변연 모두에서 낮은 미세누출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