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rnover Experience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27초

내부마케팅이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Intramural Marketing Activities in Dental Hygienist'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Dental Hygienist)

  • 이춘선;임순환;한지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5-22
    • /
    • 2012
  • 본 연구는 내부마케팅이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치과의료기관의 마케팅 전략을 기획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자가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12.0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내부마케팅과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의 전체 평균은 내부마케팅의 수행도는 2.89, 중요도는 4.24, 직무만족도는 3.05, 이직의도는 2.79를 보였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상자가 인지한 내부마케팅 수행도는 기타(보건소 등)와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휴가에 대한 내부마케팅의 수행도가 높았으며, 충남지역이 전반적으로 수행도가 높았고 인천지역이 낮았다. 중요도는 교육훈련 요인에 대해 현 기관의 경력이 3년-5년 미만이 높게 나타났으며, 인천지역이 내부마케팅의 중요성을 가장 높게 인지하였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 정도는 26-10세 이하와 31-35세 이하가, 기타(보건소 등)가, 총 경력이 5년-10년 미만이 가장 높았다. 이직의도는 총 경력이 1년-3년 미만이, 현 기관의 경력이 1년-3년 미만이 가장 높았다. 4. 내부마케팅의 수행도가 좋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았으며, 내부마케팅의 수행도와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낮아졌다. 5.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내부마케팅 요인은 수행도의 의사소통과 복리후생이 있었으며, 이직의도는 내부마케팅의 수행도의 교육훈련과 보상제도가 변수로 선정되었다. 이상의 결과 치과의료기관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내부마케팅을 활용하여 치과 인력구성원의 직무만족을 높이고 이직의도를 낮춤으로써 치과의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치과위생사의 직업기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ntal hygienists' job expectation)

  • 황미영;오혜영;원복연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1138-1147
    • /
    • 201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association with dental hygienists' job expectation through correlation between curricular subjects for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and job. Methods : It carried out convenience sampling of dental hospitals where are located in Capital Area, and then conducte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274 dental hygienists who are working here. The statistical program was analyzed by using PSAW 18.0. Results : Research subjects' 60.2% experienced turnover. Its reason accounted for 31.7% with the working con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difference in experience of turnover according to dental hygienists' individual characteristic and working form,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age, marriage, annual salary, working institution, and career. In consequence of confirming association between curricular subjects and job, the majority showed high correlation. However, the correlation with oral physiology, clinical dental hygiene, and dental clinics showed low correlation as the insignificant variable. Conclusions :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high correlation between curricular subjects and job can be considered to reflect dental hygienists' job expectation. On the other hand, the working condition, professional sense, and turnover experience, which are factors related to dental hygienists' job expectation, were indicated to fail to meet job expectation.

수술실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on Turnover Intentions among Operating Room Nurses)

  • 김여진;박금숙;양은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352-362
    • /
    • 2016
  •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의료기관 인증관련 직무스트레스, 대응 및 이직의도와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수술실 간호사 16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6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였다. 수술실 간호사의 스트레스는 연령(F=5.629, p=.004), 결혼상태(t=-2.907, p=.004), 자녀유무(t=-2.623, p=.010)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인증관련 직무스트레스는 연령(F=11.924, p<.001), 결혼상태(t=-4.747, p<.001), 자녀유무(t=-4.434, p<.001), 수술실 근무경력(F=6.000, p=.003), 수술실 근무배경(t=-2.543, p=.012)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직의도는 연령(F=21.472, p<.001), 교육수준(F=4.997, p<.008), 종교유무(t=3.235, p=.001), 수술실 근무경력(F=13.599, p<.001), 직위(t=3.222, p=.002), 수술실 근무배경(t=-3.001, p=.003), 근무형태(t=-2.797, p=.006)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직의도는 스트레스, 인증관련 직무스트레스, 대응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들 요인이 이직의도를 설명하는 정도는 32.6%였다. 수술실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스트레스, 인증관련 직무스트레스, 대응으로 나타났으므로 수술실 간호사의 이직을 예방하고 감소시키기 위해 스트레스와 인증관련 직무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대응 능력을 기를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중재가 필요하다.

근무여건과 개인적인 특성에 따른 소진이 유아교육 교사의 이직에 미치는 영향 (Variables Affecting Turnover Among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ors)

  • 심숙영
    • 아동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39-349
    • /
    • 1999
  • Multiple regression and stepwise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work condition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burnout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personal fulfillment). Subjects were 144 early childhood educators. Teachers most likely to leave the profession were more educated, has less teaching experience and reported higher levels of burnout (i.e. high emotional exhaustion and lower personal fulfillment). Turnover was also predicted by high depersonalization, lower personal fulfillment, working overtime, and perceived choice of other jobs.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for early childhood programs were discussed.

  • PDF

국내 IS요원의 이직의도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f Determinants of Turnover Intention of IS Personnel)

  • 최무진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11권1호
    • /
    • pp.45-60
    • /
    • 2001
  • Recruiting and maintaining capable IS personnel is crucial to on-time application developments and information services that can gear to corporate strategic planning and to achieve corporate goals and objectives. A shortage of fine IS staff has been always a threat to providing satisfactory IS services and a constraint that holds companies back to expand further and operate more efficient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factors that satisfy IS personnel and then restrain them not to leave their current job positions. However, little study has been done about what these factors are and how these factors are related to the turnover intention each other especially using domestic data.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a structural turnover intention model and investigated relationships among the selected factors including demographic variables, career-related variables, job satisfaction, career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s. Major findings are: i) overall, career-related variabl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ignificantly determine the turnover intention, ii) contrary to the U.S. studies, our IS people tend to show lower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they become older and get more experience, and iii) contrary to the U.S.'s findings, career-related variables are nega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Implications and discussions of these findings are also described.

  • PDF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ccupational Stress on Workers' Turnover Intention)

  • 이정언;주천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449-456
    • /
    • 2014
  •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직무스트레스를 독립변수, 직무소진을 매개변수, 이직의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직무스트레스를 상대적으로 많이 경험하며, 직무소진에 대한 경향성이 현저하여 본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실증분석 결과 직무스트레스가 심화될수록 직무소진의 정도가 높아지며,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소진을 매개로 하여 이직의도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이에 따라 기업의 관리자는 구성원이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지 않도록 직무재설계와 같은 인사관리의 구조적인 측면에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필요하다.

남자간호사의 성역할 갈등,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Relationship of Gender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to Turnover Intention for Men in Nursing)

  • 황하만;김명자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2-41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conflict for men in nursing,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Methods: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between August 1 and September 1, 2015 from 225 men in nursing currently working in 36 Korean general hospitals, each with ${\geq}100$ beds. Frequency and percentages were analyzed,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ANOVA, and Duncan's test were used.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role conflict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men. In contrast,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role conflict were found in association with the following job-related characteristics: work experience at the present hospital, work department, work unit, and type of work.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detected between male gender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male gender role conflict and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and decrease the turnover intention of men in nursing, measures to reduce gender role conflict are needed.

고객센터 상담원의 이직의도 철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Retractation of Turnover Intention of Customer Center Counselor)

  • 이인석;배재홍;신호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호
    • /
    • pp.333-342
    • /
    • 2020
  • 본 연구는 이직의도 철회 경험이 있는 상담원이 이직의도 철회시 어떠한 요인들이 중요한 역할을 했는지 알아보기 위해 모 통신사 고객센터 상담원을 대상으로 3개월에 걸쳐 인터뷰 설문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업무이동, 동기부여, 자기효능감, 정서조절이 상담원 이직의도 철회에 주요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상사지원, 동료지원은 이직 의도 철회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 정서조절과 업무이동은 이직의도 철회에 있어 다른 요인보다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에서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는 고객센터 부서의 상담원 이직률을 낮춰 조직의 안정화를 극대화하고, 또한 고객센터 상담원의 이직의도 철회에 관련된 연구에 이론적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Examining the Predictors of Turnover Behavior in Newly Employed Certified Nurse Aides: A Prospective Cohort Study

  • Hsiao-Ching Chen;Jiun-Yi Wang;Ya-Chen Lee ;Shang-Yu Yang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4권2호
    • /
    • pp.185-192
    • /
    • 2023
  • Background: The turnover rate of nurse aides in Taiwan is high. However, the predictors of turnover behavior in the newly employed are still unclear. Objective: To examine the predictors of turnover behavior in newly employed licensed nurse aides. Methods: A longitudinal study design was used and subjects were newly employed certified nurse aides from a nurse aid training association in Taiwan. A total of five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The questionnaire was mainly used to collect information on turnover behavior, personal socioeconomic background, workplace psychosocial hazards, worker health hazards, and musculoskeletal disorders. Results: A total of 300 participants were recruited in the study. Cox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short working experience (hazard ratio [HR] = 0.21, p < 0.01), work as non-home nurse aides (HR = 0.58, p = 0.01), low monthly salary (HR = 0.68, p < 0.01), high work mental load (HR = 1.01, p = 0.01), low workplace justice (HR = 0.97, p < 0.01), high workplace violence (HR = 1.60, p < 0.01), high burnout (HR = 1.01, p = 0.04), poor mental health (HR = 1.06, p = 0.04), and high total number of musculoskeletal disorder sites (HR = 1.08, p = 0.01) contribute to a higher risk of turnover.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employment period, work as a home nurse aide, monthly salary, work mental load, workplace justice, workplace violence, work-related burnout, mental health, and total number of musculoskeletal disorder sites are predictors of turnover behavior in newly employed certified nurse aides.

메르스 대유행 시 코호트 격리된 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that were cohort quarantined during the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MERS) outbreak)

  • 정희자;최애리;이건정;김지영;정선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175-184
    • /
    • 2017
  • 본 연구는 메르스 대유행 시 코호트 격리된 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추후 감염병 유행 시 간호사 인적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메르스 대유행 시에 코호트 격리된 3개의 병원에서 메르스 확진환자나 의심환자 간호에 직접 참여하였거나, 메르스 확진 혹은 의심환자를 직접 돌보지는 않았으나 이들 환자가 있는 병동 혹은 병원에 근무한 267명의 간호사이다. 원 자료의 수집은 2015년 10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test, ANOVA 및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근무기간과 평소 스트레스로 나타났으며, 메르스 확진환자를 직접 간호한 간호사들의 경우 높은 메르스 스트레스를 경험하였음에도 불구하고(p<.001) 이직의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에서 주목해야 할 부분은 치명적인 감염을 야기할 수 있는 메르스 환자 간호에 직 간접적으로 참여한 간호사가 경험한 메르스 스트레스보다 평소 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따라서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고, 성공적인 인력관리를 위해서는 감염성 질환과 관련된 특수한 상황에서의 간호사의 스트레스 관리 뿐 아니라 평소 직무특성을 고려한 스트레스 완화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