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na fishery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2초

Dynamic analysis and improvement of the sinking performance of the Vietnamese tuna purse seine using numerical methods

  • HUNG, Dinh Xuan;LEE, Chun Woo;PARK, Subong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2권1호
    • /
    • pp.1-8
    • /
    • 2016
  • In this study, numerical method was used to assess technical properties and improve the Vietnamese tuna purse seine. The data were extracted from the two national level project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average lead-line sinking speed reached 0.139 m/s and 0.143 m/s and maximum sinking depth was 61.6 m and 65.8 m for The gears 2003 and 2014 respectively. The maximum tension on ring line of The gear 2003 was 4,742 kgf and 2014 was 4,219 kgf. The improved tuna purse seines I, III and IV showed similar sinking speed results with 0.220 m/s, 0.219 m/s and 0.219 m/s respectively. The average lead-line sinking speed of the improved gear II was lowest with 0.215 m/s. The maximum lead-line sinking depth of the four improved gears I, II, III and IV were 116 m, 112 m, 115 m and 114.9 m respectively. Maximum tension on ring line of the improved gears I, II, III and IV were 5,657 kgf, 5,406 kgf, 5,645 kgf and 5,654 kgf respectively. The improved tuna purse seine IV is the most suitable for Vietnamese tuna purse seine fishery, Which corresponds with tuna purse seiner scale and its fishing supporting equipment at the present.

Comparison of circle hook and J hook catch rate for target and bycatch species taken in the Korean tuna longline fishery

  • Kim, Soon-Song;Moon, Dae-Yeon;Boggs, Christofer;Koh, Jeong-Rack;An, Doo-Hae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2권4호
    • /
    • pp.210-216
    • /
    • 2006
  • The circle hook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catch rates of target and bycatch species between J hook and circle hooks in the tuna longline fishery of the eastern Pacific Ocean between $1^{\circ}48'S-7^{\circ}00'S\;and\;142^{\circ}00'-149^{\circ}13'W$ from July 15 to August 12, 2005. In the target species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3 types hook, between size 4.0 traditional tuna hooks(J-4) and size 15 circle hooks(C15), and between C15 and size 18 circle hooks(C18) were revealed, bu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J-4 and C18. In the bycatch species group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3 types hook, between J 4 and C15, and between J-4 and C18,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revealed between C15 and C18. Large circle hook(C18) had the lowest catch rate for tunas and for other fishes, and the small circle hook(C15) had lowest rate for billfishes and sharks. The length distributions for bigeye tuna are very similar for the 3 hook types. There were very slight differences in length size between hook types in the bycatch species.

Physical, chemical composition and umami compound of dried immature and mature roes of skipjack tuna (Katsuwonus pelamis)

  • Phetchthumrongchai, Thithi;Chuchird, Niti;Roytrakul, Sittiruk;Chintong, Sutasinee;Klaypradit, Wanwimol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5권7호
    • /
    • pp.390-402
    • /
    • 2022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immature and mature skipjack tuna (Katsuwonus pelamis) roes in fresh and dried forms. Fresh roes were studied for histological structure and also dried by three methods: hot air drying (HD), vacuum drying (VD) and freeze drying (FD). The obtained roe powders were analysed for proximate composition, color value, fatty acid composition, amino acid profile, equivalent umami concentration (EUC) and protein pattern. Unyolked oocytes were more common in immature roes, while fully yolked oocytes were more common in mature roes. All dried tuna roes contained high content of protein and lipid (69.31%-70.55% and 11.14%-16.02%, respectively). The powders obtained by FD provided the highest lightness value (L*). The main fatty acid found in all roe powders was docosahexaenoic acid (DHA) (23.49%-27.02%). Glutamic acid, leucine, and aspartic acid were the three most abundant amino acids found in the powders (13.58-14.61, 8.06-8.42, and 7.81-8.39 g/100 g of protein, respectively). The mature roe powder obtained from HD provided the highest EUC value (73.09 g monosodium glutamate/100 g of samples). The protein band at molecular weight of 97 kDa (vitelline) represented the major protein. Therefore, dried tuna roe could be a functional ingredient source of protein and lipid rich in DHA and it also has potential to be used as taste enhancer with umami compound.

기후변화가 중서부태평양 가다랑어(Katsuwonus pelamis)의 어획분포와 생물학적 특성에 미친 영향 (Effects of Climate-induced Variation in the Catch Distribution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kipjack Tuna Katsuwonus pelamis in the Western and Central Pacific Ocean)

  • 김은정;문대연;김수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89-497
    • /
    • 2015
  • To reveal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in the distribution, growth, and maturation of skipjack tuna Katsuwonus pelamis in the western tropical Pacific, we compared two El $Ni{\tilde{n}}o$-Southern Oscillation (ENSO) signals and the sea surface temperature (SST) in the main fishing area with fishery and biological data. An index of skipjack tuna distribution was calculated using Korean purse seine fishery data from 1985 to 2003. Biological data for skipjack tuna were collected monthly from Korean catches during the 1994-2003 period. The catch was more closely related to the SST in the main fishing area than to the ENSO signals. However, cross-correlated function analysis showed delayed interactions between abiotic and biotic factors. The El $Ni{\tilde{n}}o$ events preceded the eastward movement of the fishing center by 2-3 months. El $Ni{\tilde{n}}o$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kipjack tuna catch, and the change in the Southern Oscillation Index (SOI) preceded the catch fluctuation by ca. 5-7 months. In addition, negative El $Ni{\tilde{n}}o$ effects on gonad maturation and the mean length of skipjack tuna were detected with time lags of 12 and 7 months, respectively. The length frequency indicated that the regime-specific growth pattern at each discrete period seemed to be related to the ENSO.

한국(韓國) 및 관련각국((關聯各國)의 다랑어 선망어업(旋網漁業) 발달과정(發達過程) (Development of Tuna Purse Seine Fishery in Korea and the Countries Concerned)

  • 현종수;이병기;김형석;예영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4권1호
    • /
    • pp.30-46
    • /
    • 1992
  • 한국(韓國)의 다랑어 선망어업기술(旋網漁業技術)은 한국(韓國)에서 발달한 대부분의 어업기술(漁業技術)이 일본(日本)을 거쳐서 도입된 것과는 달리 미국(美國)에서 직수입(直輸入)된 것이기는 하나 세부적으로는 일본(日本)의 기술을 응용한 것도 더러 있다. 따라서 한국(韓國)의 다랑어 선망어업(旋網漁業)의 발달과정(發達過程)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미국(美國)과 일본(日本)에 있어서의 발달과정(發達過程)을 규명할 필요가 있으므로 여러 가지 문헌(文獻)과 집적된 자료(資料)들에 의하여 그것을 규명해 보았다. 미국(美國)에 있어서의 선망어법(旋網漁法)의 탄생은 1826년의 일이므로 그 역사는 165년이나 되었고, 초기에는 다른 어종과 함께 부산물(副産物)로서 잡아왔지만 1903년부터는 그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어업(漁業)이 시작되었으므로 그 역사만 하더라도 90년 쯤 전의 일이다. 그러다가 2차대전(次大戰) 이후에 power block의 발명과 나일론 그물, 그리고 어선(漁船)과 장비(裝備)의 첨단적인 개량으로 오늘날과 같은 대형선망조업(大形旋網조業)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 후 미국선망어선(美國旋網漁船)들은 돌고래 보호를 위한 규제 때문에 동부태평양(東部太平洋)에서는 조업이 불가능하게 되었고, 또 고임금(高賃金), 노동력부족(勞動力不足) 등으로 채산(採算)을 맞추지 못해 선단수(船團數)는 1980년에 비해 1/3가량 줄어든 상태이다. 일본(日本)은 일찍부터 일본(日本) 북서태평양연안(北西太平洋沿岸)에서 연승(延繩)과 소형선망(小型旋網)으로써 다랑어를 어획(漁獲)하여 왔으며, 2차대전(次大戰)이후 독자적으로 과거의 선망어법(旋網漁法)을 다랑어용으로 개량하는 한편 1948년부터 미국식선망어법(美國式旋網漁法)을 도입하여 해외(海外) 다랑어 어장(漁場)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특히 정부출자기관(政府出資機關)인 일본해양자원개발(日本海洋資源開發) 센터 (JAMARC)의 태평양(太平洋) 해역에서의 시험탐사(試驗探査)는 높이 평가할 만 하며, 또한 일본연승어선(日本延繩漁船)들의 활발한 해외조업(海外操業)과 어장정보교환(漁場情報交換)은 선망어업(旋網漁業)의 발전에 많은 도움을 주어 왔다. 미국(美國)과 일본(日本)의 선망선(旋網船)은 어선(漁船)의 크기, 조업형태(操業形態), 운영형식(運營形式) 등이 각기 다르며 장단점이 있다. 특히 일본어선(日本漁船)은 미국어선(美國漁船)에 비하여 선체가 작고 더러는 쌍두리 조업을 하고 있으며, 망지(網地)는 미국어선(美國漁船)이 땋은 실 nylon(braided twine)으로 된 결절망지(結節網地)를 쓰는 데 비하여 무결절망지(無結節網地)를 쓴다. 한국(韓國)은 1970년대(年代)에 미국(美國)으로부터 직접 이 어선(漁法)을 도입하였고, 어선(漁船)과 장비(裝備), 조업방법(操業方法)도 전적으로 미국식(美國式)이다. 한국(韓國)의 선망어법(旋網漁法)은 10년 이상의 실패 끝에 1986년부터 정상 궤도에 오르기 시작했고, 1997년 현재 총 37척이 Gua과 Samoa를 기지(基地)로 하여 모두 남서태평양(南西太平洋)에서 조업하고 있으며 성적도 좋은 편이다. 다만, 이제는 독자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태평양도서국(太平洋島嶼國)에의 입어문제(入漁問題)와 어자원보호(魚資源保護) 측면에서의 연안국(沿岸國)의 조업제제(操業規制) 움직임에 대해서도 대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우리나라 김과 참치의 수출 결정요인 분석 : 중력모형을 이용하여 (Analysis of Determinants of Export of Korean Laver and Tuna: Using the Gravity Model)

  • 김은지;김봉태
    • 수산경영론집
    • /
    • 제51권4호
    • /
    • pp.85-96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eterminants of export in Korean fishery products. For the analysis, laver and tuna, which account for almost half of seafood exports, were selected, and a gravity model widely used in trade analysis was applied. As explanatory variables, GDP, number of overseas Koreans, exchange rate, FTA, and WTO were applied, and fixed effect terms were included to take into account multilateral resistance that hinders trade. The analysis period is from 2000 to 2018, and the Poisson Pseudo Maximum Likelihood (PPML) method was applied to solve the problem of zero observation and heteroscedasticity inherent in trade dat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GDP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oth laver and tuna. The number of overseas Koreans was significant in canned tuna exports, but not in laver and the other tuna products. As the exchange rate increased, the export of laver and tuna for sashimi increased. The impacts of the FTA were confirmed in the exports of dried laver and raw tuna, which supports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y. WTO was not significant for laver and tuna.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make good use of the FTA to expand exports of seafood.

심해성 어류, 다랑어류, 새치류 및 어류가공품의 총수은 및 메틸수은 함량 (Contents of Total Mercury and Methylmercury in Deep-sea Fish, Tuna, Billfish and Fishery Products)

  • 강석호;이명진;김재관;정유정;허은선;조윤식;모아라;박광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2-4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내 유통되고 있는 수산물(심해성 어류, 다랑어류 및 새치류) 및 어류가공품의 총수은 및 메틸수은 오염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수산물 101건과 어류가공품 44건을 수거하여 수은분석기 및 가스크로마토그래피 전자포획검출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산물은 모두에서 총수은이 검출되었고 메틸수은은 92건에서 검출되어 91.1%의 검출률을 나타내었다. 총수은과 메틸수은의 함량은 각각 새치류 $1.968{\pm}0.505$, $0.496{\pm}0.057mg/kg$, 심해성어류 $0.665{\pm}0.091$, $0.252{\pm}0.033mg/kg$, 다랑어류 $0.577{\pm}0.085$, $0.218{\pm}0.025mg/kg$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황새치의 평균값이 총수은은 1.968 mg/kg, 메틸수은은 0.496 mg/kg으로 가장 높았다. 총수은 대비 메틸수은 함량은 심해성 어류인 쏨뱅이류가 66.5%로 가장 높았다. 어류가공품의 총수은 메틸수은함량은 원육함량 100%인 냉동식품이 가장 높았으며 원재료 함량과 비례하여 나타났다. 심해성 어류, 다랑어류 및 새치류를 통한 총수은 및 메틸수은의 주간섭취량은 JECFA에서 설정한 PTWI의 4.72, 5.24%로 조사된 어류를 통한 우리나라 국민들의 노출량은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서부태평양수산위원회 보존관리조치가 우리나라 다랑어선망어업에 미친 영향과 향후 대응 방안 (Study on effects and strategies of Korean tuna purse seine fishery affected by conservation management measures of Western and Central Pacific Fisheries Commission)

  • 이미경;이성일;이춘우;김두남;구정은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2권3호
    • /
    • pp.197-208
    • /
    • 2016
  • The WCPFC CMMs related to tropical tunas have been strongly restricting fishing capacity and operating activities of main fisheries, especially purse seine fishery. In terms of changes in fishing trend by implementing relevant measures of FAD set, the number of FAD set by Korean purse seine fleet showed a decreasing pattern with the lowest level of FAD set proportion among major distant water fishing nations. With regards to the FAD closure,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fishing effort but a drop in catch, especially bigeye tuna during the period of FAD closure. Moreover, it showed closely similar trends between the number of FAD set and bigeye tuna catch. In terms of measures related to the high sea area including a ban on fishing on the HSP and limitation of fishing days on the high sea by flag state, proportions of catch and effort on the high sea had sharply declined after implementing those measures. As relevant measures are expected to be strengthened, it should pay attention to change of coastal nations policies and focus on improving fishing efficiency of unassociated school set with multi-pronged efforts.

대서양 황다랭이의 자원생물학적 연구 (A REVIEW OF SOME ASPECTS OF THE YELLOWFIN TUNA FISHERY IN THE ATLANTIC OCEAN)

  • 주우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7-47
    • /
    • 1977
  • 대서양 황다랭이(Yellowfin tuna)어업에 대한 최근의 자료를 국제대서양 참치 보존위원회(ICCAT)로부터 수집하며, 자원생물학적으로 분석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대서양에서의 상업적인 황다랭이 어업은 1955년에 시작되었으며, 한국은 1964년 연승에 의해 입어하기 시작하였고, 1972년 부터는 채낚기 어선도 출어하여 참치 어업이 이원화되었으나 아직은 연승에 의해 주로 어획하고 있다. 2. 대서양의 황다랭이 전체 어획량추이로 보면 어업이 시작된 이래, 연승어업의 portion이 극히 높았으나, 1966년부터 표층어업이 앞질러 1975년의 경우에는 전체 114.0천MT 중 연승은 25.5천 MT로 $23\%$에 불과하다. 그러나 한국은 연승어획국중에서는 1위를 마크하고 있다. 1. 대서양에서 황다랭이를 어획하기 위해 투입되는 모든 어획노력량을 연승의 낚시수로 환산한 바, 1974년의 경우 약 476백만 hooks 이었는데, 이중 연승은 163백만 hooks로 $34\%$이었다. 4. 황다랭이 어획량을 어획미수로 환산한바, 1973년에 8.6백만미로 평균 10.9kg짜리가 어획되었다. 5. 최근에 들어 오면서, 표층어업에서는 주군이 2세어군에서 1세어군으로, 그리고 연승에서는 3세어군에서 2세어군으로 야년화되어 가는 현상이 뚜렷했다. 6. 최근의 황다랭이의 평균 총사망계수(Z)는 1.5로 계산되었는데, 자연사망 계수를 0.8로 간주할 때 어획사망계수(F)는 0.7로 나왔다. 7. 1973년의 가입시 체중 계산은 2.7kg으로 나왔는데, 이는 ICCAT의 황다랭이 규제체중인 3.2kg 보다 훨씬 작다.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볼 때, 연승은 별문제가 없으나 채낚기 어업의 경우, 이들 규제체중 미달어체의 혼획을 낮추는 문제를 조사${\cdot}$연구할 필요가 있다. 8. 가입량크기(Recruitment strength)를 비교한 결과, 강한 년급군의 가입량은 약한 년급군의 가입량에 비해 3배나 컸으나, 이들이 번갈아 나타나므로서 어획량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시켰다고 생각된다. 9. 대서양 황다랭이와 최대특속적 어획량은 95-145천 MT로 계산되었다. 이는 현재의 어획수준에 해당하는 값으로, 현재 이상의 어획노력의 투입은 오히려 어획량을 감소시키거나, 혹은 희망적인 경우라 할지라도, 잉여의 노력량 투입공에 해당하는 만큼의 어획량 증가는 어렵다고 생각된다. 10. 오늘날까지의 우리나라의 입장은 원양어업의 신장을 위해 어떠한 형태로 든지의 국제적인 자원규제조치를 부정적인 측면에서 받아들여 왔음이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의 연안국의 전관수역의 확산 움직임과 우리가 현재 사용하는 채낚기 및 연승의 선망에 비한 어법의 열세 및 어획량 portion의 상대적 감소등을 감안할 때, 적어도 표층어업과 연승별 어획량 quota 제의 실현이 장기적인 안목에서는 우리에게 안정적인 조업을 할 수 있는 길이 될것이라 생각한다.

  • PDF

인도양 해역 우리나라 원양 연승어업의 어획물 종조성과 어획동향(2010-2015년) (Species Composition and Catch of Korean Tuna Longline Fisheries in the Indian Ocean from 2010 to 2015)

  • 구정은;이성일;김두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86-297
    • /
    • 2018
  • We analyzed scientific observer data to identify species composition and catch trends of Korean tuna longline fisheries in the Indian Ocean. The data were collected by Korean scientific observers onboard Korean tuna longline fishing vessels in the Indian Ocean from 2010 to 2015. The observers identified 94 species including 5 tuna, 6 billfish, 11 shark, 7 other fish, 5 seabird and 1 sea turtle. Albacore tuna Thunnus alalunga and southern bluefin tuna Thunnus maccoyii were the dominant tuna species, and swordfish Xiphias gladius were the most commonly captured billfish. During the survey periods, 87 seabirds were incidentally bycaught. Black-browed albatross Diomedea melanophris was the dominant seabird species in bycatch, especially in 2010. Cluster analysis showed difference in the species composition of catches between the eastern and western Indian Oc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