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bular Cell

검색결과 288건 처리시간 0.029초

한탄바이러스의 섬유아세포 감염에 대한 Integrin 항체의 억제 효과 (The Suppressive Effects of Integrin Antibodies on the Infection of Hantaan Virus in Fibroblasts)

  • 박호선;김기득;김성광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5권1호
    • /
    • pp.55-66
    • /
    • 1998
  • 사람과 동일한 증상을 나타내는 동물 모델이 없는 신증후출혈열의 병리 기전을 이해하기 위하여 in vitro culture system을 이용하였다. 신증후출혈열의 주된 병변이 혈관내피세포외에 섬유아세포가 많이 존재하는 신세뇨관 간질 및 폐간질임을 기초로 하여 계태아와 Mongolian gerbil의 섬유아세포에서 fibronectin에 대한 수용체인 ${\alpha}_5{\beta}_1$, integrin에 대한 항체를 처리하여 한탄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영향을 관찰하였다. 초대 배양하여 사용한 계태아 섬유아세포 및 MGF 모두 한탄바이러스가 잘 감염되었으나 계태아 섬유아세포에 비하여 MGF에서 바이러스의 증식이 더 우수하였다. 계태아 섬유아세포와 MGF에서 ${\alpha}_5{\beta}_1$, integrin에 대한 항체 처리 5일 후 바이러스의 N 단백의 역가는 항체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32.6%, 72.6%로 virion의 역가는 26.8%, 28.7%로 감소하여 두 세포에서 모두 감염력을 가진 바이러스의 양은 거의 동일하게 감소 되었다. 또한 ${\alpha}_5$ subunit와 ${\beta}_1$, subunit에 대한 항체를 MGF 세포에 처리한 후 바이러스의 N단백의 역가는 65.2%, 59.7%로 ${\alpha}_5{\beta}_1$ integrin에 대한 항체 처리하였을 때(72.6%)와 거의 유사하게 감소하였고 감염력을 가진 바이러스의 양도 26.5%, 29.4%로 감소하여 ${\alpha}_5{\beta}_1$ integrin에 대한 항체 처리시(28.7%)와 거의 유사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alpha}_5{\beta}_1$ integrin이 한탄바이러스에 대한 수용체로써 작용할 가능성을 시사하였으며 또다른 기전으로는 ${\alpha}_5{\beta}_1$ integrin의 차단에 의한 이차적인 영향으로 한탄바이러스의 증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었다.

  • PDF

신장상피세포(腎臟上皮細胞)에서 호도약침액(胡桃藥鍼液)이 t-Butylhydroperoxide에 의한 세포막물질이동계(細胞膜物質移動系)의 장애(障碍)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Juglans sinensis Dode aquacupuncture(JS) on t-butylhydroperoxide-induced alterations in membrane transport function in renal epithelial cells)

  • 남상필;조태성;김철홍;윤현민;장경전;송춘호;안창범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0권6호
    • /
    • pp.128-139
    • /
    • 2003
  • Juglans sinensis Dode has been reported to have antioxidant activity. However, the effect of Juglans sinensis Dode aquacupuncture(JS) on reactive oxygen species(ROS)-induced alterations in membrane transport function in renal tubular cell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JS on the organic hydroperoxide t-butylhydroperoxide(tBHP)-induced inhibition of $Na^+$-dependent phosphate($Na^+$-Pi) uptake in opossum kidney (OK) cells, an established renal proximal epithelial cell line. tBHP inhibited $Na^+$-Pi uptake in a time-dependent manner. The inhibitory effect of tBHP was prevented by JS over concentration range of 0.05-1mg/100ml in a dose-dependent manner. Kinetic studies showed that tBHP caused an decrease in Vmax for $Na^+$-Pi uptake without any a significant change in Km. $Na^+$-dependent phosphonoformic acid binding, a irreversible inhibitor of renal $Na^+$-Pi uptake, was decreased by tBHP treatment. The reduction in Vmax and phosphonoformic acid binding by tBHP was prevented by JS. tBHP induced lipid peroxidation and its effect was completely inhibited by JS and antioxidant N,N'-diphenyl-p-phenylenediamine. These data suggest that the oxidant inhibits phosphate uptake by a reduction in the number of active carrier across the membrane. JS may prevent oxidant-induced inhibition of membrane transport function by a mechanism similar to antioxidants in renal epithelial cells. Although the precise constituents remain to be explored, JS may be employed as a useful candidate herb for drug development to prevent and treat oxidant-mediated renal failure.

  • PDF

골든 햄스터의 생식내분비계에 미치는 멜라토닌의 영향 (Effects of Melatonin on the Reproductive Endocrine System in Male Golden Hamsters)

  • 최돈찬;우대균;임시내
    • 환경생물
    • /
    • 제20권3호
    • /
    • pp.224-231
    • /
    • 2002
  • 광주기(하루 중 빛의 길이)는 골든 햄스터의 생식을 조절하는 주된 요인이다. 광주기 정보는 멜라토닌을 통하여 생식 내분비계로 전달된다. 따라서 멜라토닌이 생식에 미치는 효과를 여러 광주기에 노출시킨 햄스터에서 조사하였다. 단주기(하루 중 12시간 이하의 조명)에 노출시킨 동물들과 저녁에 멜라토닌을 주사한 동물들의 정소 무게는 현저하게 줄어들었으나, 장주기 (하루 중 12.5시간 이상의 조명)에 유지된 동물과 오전에 멜라토닌을 투여한 동물들의 정소 무게는 줄어들지 않았다. 퇴화된 정소를 조직학적으로 조사한 결과, 세정관 직경이 감소되었고, 세정관내 세포수가 두드러지게 줄어들었다. 또한 생식 능력이 퇴화된 동물의 혈중 여포자극호르몬과 황체호르몬의 수준도 생식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동물에 비해 뚜렷하게 감소하였다. 멜라토닌 수용체가 역전사 polymerase chain reaction으로 동정되었고 조직특이성 또한 조사하였다. 동정된 멜라토닌 수용체는 309염기였으며, 시상하부와 뇌하수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장기에서 발현되었다. 생식을 조절하는 핵심 물질인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GnRH) 유전자의 발현 또한 동정되었다. 그러나 멜라토닌 처리와 광주기 처리는 GnRH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종합하면, 광주기의 효과는 멜리토닌을 경유하여 발휘되며, 멜라토닌은 GnRH유전자의 발현보다는, 생성된 GnRH의 분비에 영향을 미쳐 생식내분비계에 간접적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두 종의 달팽이류 (Achatina fulica and Incilaria fruhstorferi) 사이의 타액관의 미세구조에 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ies on the Ultrastructure of Salivary Ducts between the Two Species of Snails, Achatina fulica and Incilaria fruhstorferi)

  • 장남섭;한종민;김상원;이광주;황선종
    • Applied Microscopy
    • /
    • 제30권1호
    • /
    • pp.89-100
    • /
    • 2000
  • 아프리카 왕달팽이 (Achatina fulica) 및 산민달팽이(Incilaria fruhstorferi)의 타액을 분비하는 관들을 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Achatina fulica의 소엽내관과 소엽간관은 대부분 원형또는 타원형의 도우넛(dough-nut)형태로서 관을 구성하는 내강세포는 세포의 경계가 불분명하며 세포질은 손가락 마주끼기와 같은 많은 주름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들의 세포상단에는 미세융모가 잘 발달해 있었다. 반면 Incilaria fruhstorfer의 소엽내관과 소엽간관은 불규칙한 단층원주상피로 구성되어 있고, 전자밀도가 높은 세포질 속에는 다소 불규칙한 구형의 과립들로 가득차 있었다. 세포의 상단에는 미세융모의 발달이 미진하였다. Achatina fulica의 타액관은 내강이 비교적 좁은 긴 관상구조를 하고 있었다. 내강상피세포들은 세포의 경계가 불분명하고, 세포질 속에는 많은 공포와 전자밀도가 낮은 투명과립들로 가득 차 있었고 이들 상피세포의 상단에는 길이가 짧고 가늘은 미세융모가 발달해 있었다. 반면 Incilaria fruhstorfer의 타액관은 Achatiana fulica의 타액관 보다 그 직경이 $65\times250{\mu}m$정도로 더 넓었으며 같은 구조의 내강상피로 구성되어 있었고 상피세포의 상단에는 치밀반과 같은 연접장치가 자주 관찰되는 특징도 보였다. Achatina fulica와 Incilaria fruhstorferi 타액선내 혈관들은 타액선 세포사이에 있는 결합조직에서 주로 관찰되었으며 내피세포들은 대부분 불규칙한 구조이고 전자밀도는 높아서 어둡게 관찰되었다. 이들은 사상족을 내어 포식현상을 보였다.

  • PDF

고혈당으로 유도된 신장 mesangial cell 에서 nobiletin의 matrix accumulation 과 TGF-β1-Src-caveolin-1 signaling에 의한 사구체 경화증 억제효과 (Dietary nobiletin suppresses TGF-β1- Src-caveolin-1 dependent signaling involved with high glucose-induced renal mesangial matrix accumulation)

  • 김동연;강영희;강민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3권1호
    • /
    • pp.1-1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고혈당으로 인해 유발되는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대표적인 증상인 사구체 경화증을 완화시키는 nobiletin의 효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신장 세포인 HRMC를 이용하여 고혈당에서의 세포외 기질 축적 단백질의 발현과 경화에 관여하는 신호 전달 억제 효능을 확인한 결과 nobiletin은 고혈당의 자극에 의해 증가하는 섬유화 단백질인 collagen IV, fibronectin 그리고 CTGF의 발현을 억제하였으며, 여기에 관여하는 TGF-β1-Src-caveolin-1 신호 전달 경로를 통해 사구체 경화증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nobiletin은 고혈당으로 유도된 당뇨병성 신장병증에 있어 사구체 경화증을 예방하는 기능성 성분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Molecular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through DNA Microarray

  • Xie, Hongjian;Eun, Jung-Woo;Noh, Ji-Heon;Jeong, Kwang-Wha;Kim, Jung-Kyu;Kim, Su-Young;Lee, Sug-Hyung;Park, Won-Sang;Yoo, Nam-Jin;Lee, Jung-Young;Nam, Suk-Woo
    •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 /
    • 제3권3호
    • /
    • pp.190-194
    • /
    • 2007
  • Gastric adenocarcinoma (GA) is a major tumor type of gastric cancers and subdivides into several different tumors such as papillary, tubular mucinous, signet-ring cell and adenosquamous carcinoma according to histopatholigical determination. In other hand, GA is also subdivided into intestinal and diffuse type of adenocarcinoma by the Lauren?fs classification. In this study, we have examined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pattern analysis of three histologically different GAs of 24 samples by using DNA microarray containing approximately 19000 genetic elements. The hierarchical clustering analysis of 24 gastric adenocarcinomas (12 of intestinal type, 7 of diffuse type and 5 of mixed type) resulted in two major subgroup on dendrogram, and two subgroups included most of intestinal and diffused type of GAs respectively. Supervised analysis of 19 intestinal and diffuse type GAs by using Wilcoxon rank T-test (P<0.01) resulted in 100 outlier genes which exactly separated intestinal and diffuse type of GA by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In conclusion, genome-wide analysis of gene expression of GAs suggested that GAs may subclassify as intestinal and diffused type of GA by their characteristic molecular expression. Our results also provide large-scale genetic elements which reflect molecular differences of intestinal and diffuse type of GAs, and this may facilitate to understand different molecular carcinogenesis of gastric cancer.

생지황음자가미(生地黃飮子加味)가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당뇨생쥐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Saengjihwangeumja-gami on STZ-induced Diabetic Mice)

  • 김희철;최창원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2-47
    • /
    • 2005
  • First, mice were dosed with 50mg/kg of streptozotocin(STZ) twice every 24 hours to cause high blood-sugar. Then, after three days, mice were injected with 100mg/kg of STZ again. Two different dosages of Saengjihwangeumja-gami were given to the experiment groups: SA group, 15mg/kg/day, and SB group, 90mg/kg/day,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aengjihwangeumja-gami, which has been known to be good for DM(Diabetes Mellitus). By observing weight and blood-sugar level changes, blood tolerance, the numerical value of BUN(Blood Urea Nitrogen) and creatinine in blood, and through light-electronicmicroscopic and immunohistologic investigations of pancreas and kidney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experiment groups showed a high suppressive effect of weight-loss. 2. The experiment groups' blood-sugar and blood tolerance showed an effective lowering of blood-sugar levels. 3. The experiment groups did not show any noticeable change in the numerical value of BUN and creatinine in blood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s. 4. The experiment groups showed a higher Insulin positive reaction of pancreatic islets ${/beta}-cell$ than the control groups. 5. The experiment groups showed a higher immuno-reaction against IGF- II than the control groups. 6. Observation of apoptosis of the pancreatic islets showed that the cells of experiment groups were less injured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s, and fewer apoptag-positive reaction cells were seen in experiment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s. 7. Uunder electron-microscopy, the insulin-containing granules in pancreatic islets ${/beta}-cells$ had increased more in the experiment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s. 8. Under light microscopy, the injury on the inner & outer membrane of the glomerulus and epithelial cells of capillaries and cells among vessels were fewer in the experiment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s. 9. More apoptag-positive reaction cells in the kidney were seen in the control groups than in the experiment groups. 10. PAS-positive reaction substances had increased more in the substrate among the vessels of a glomerulus belonging to the control group than those of the experiment group. 11. Uunder electron-microscopy, the nucleonic membrane, nucleoplasm and mitochondria of proximal and distal renal tubular were more injured in the control groups than in the experiment groups. In conclusion, strong evidence for the efficacy of Saengjihwangeumja-gami in lowering blood-sugar, and in recovery and generation of pancreatic tissues injured by DM was observed. Results suggest Saengjihwangeumja-gami is an effective treatment for DM. Further study of the principles of blood-sugar dropping effects of Saengjihwangeumja-gami are needed, as well as further study of recovery and regeneration of pancreatic tissues injured by DM.

  • PDF

흰쥐에서 분리 배양한 간세포의 담세관 형성에 있어서 액틴미세섬유의 역할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Role of Actin Filaments during the Formation of Bile Canaliculi in Isolated Rat Hepatocyte Culture System)

  • 박창현;장병준;엄창섭
    • Applied Microscopy
    • /
    • 제29권4호
    • /
    • pp.437-450
    • /
    • 1999
  • 간세포의 기능적 연구를 위한 배양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Sprague-Dawley계 흰쥐의 간장에서 collagenase와 hyaluronidase의 혼합액을 이용하여 간세포를 분리하고 배양하여, 배양중인 간세포의 구조적인 변화와 담세관의 형성 과정을 확인하고, cytochalasin D를 배양계에 첨가한 경우 발생되는 간세포 및 담세관의 구조적인 변화를 살펴보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분리 배양한 흰쥐의 간세포는 원형이었고, 표면에 미세융모를 가지고 있었으며. 배양중 서로 부착되어 세포띠를 형성하였다. Cytochalasin D처리후 간세포의 표면은 미세융모가 소실되어 편평하게 변화되었으며, 소포성 돌출물이 자주 관찰되었다. 담세관은 부착된 간세포의 사이에서 형성되었으며, 간세포 표면의 작은 융기에서 기시하는 다양한 길이 및 형태의 미세융모로 채워져 있었고, 양단에는 치밀결합 및 부착만 등으로 구성된 연접복합체가 존재하였다. Cytochalasin D 처리후 당세관의 내강은 팽창되었으며 미세융모는 소실되어 거의 존재하지 많았고, 양단에 존재하는 연접복합체는 파괴되어 간격이 벌어진 곳이 많았다. 담세관내에 존재하는 미세융모 속에 존재하는 액틴미세섬유심은 완전하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 불완전하게 적은 양만 존재하는 경우, 그리고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담세관주변세포질에 존재하는 액틴미세섬유얼기의 형성은 불완전하여 부위에 따라 없는 곳도 있었다. Cytochalasin D처리후 담세관주변세포질의 액면미세섬유얼기는 존재하지 많았다. 이상의 결과로 흰쥐의 간장에서 분리한 간세포는 배양중 성장하면서 정상적인 담세관을 형성함을 알 수 있었으며, 담세관의 형성은 접착부위의 연접복합체의 형성 및 미세융모의 형성,담세관 내 액틴미세섬유심 및 담세관주변세포질내 액틴미세섬유얼기의 형성 등을 특정으로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경락의 관점에서 본 근막 분리조직의 조직학적 연구 (Histological Examination of Tissue Isolated from Fascia with a View of Meridian System)

  • 김동희;등영건;장병수;정한석;김단;권기록;이규재
    • Applied Microscopy
    • /
    • 제36권3호
    • /
    • pp.183-194
    • /
    • 2006
  • 동양의학 이론의 주요 관심사인 경락의 연구에 있어 생체 내 신호전달 체계와 해부학적 실체에 대한 단서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1960년대 이루어졌던 봉한학설의 이론과 문헌을 근거로 하여 토끼의 복막에 존재하는 봉한관으로 생각되는 반투명의 회백색의 탄성이 있는 섬유상 구조물을 분리하여 조직학적으로 관찰하였다. 각 조직 샘플은 봉한관 확인을 위하여 hematoxylin eosin과 Masson's trichrome 염색, 교원섬유는 Van Gieson's 염색, 신경은 Kluver Barrera's luxol fast blul 염색을 하여 비교함으로써 구성성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광학현미경상에서 관찰된 조직들은 교원섬유와 신경으로 구성된 집합체였으며 다발의 형태를 이루고 있었고, 여러 개의 myoid spindle형태의 세포들이 종으로 배열되어 있었다. 이러한 세포들은 신경의 슈반세포이며 봉한관의 myoid형태의 세포들과 같은 소견이었다. 같은 부위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잘 배열된 교원섬유와 신경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신경다발 사이로 교원섬유가 둘러싸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복막에 존재하는 봉한관은 교원섬유와 어우러진 신경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신경과 어우러져 존재하는 교원섬유의 절연성과, 침의 치료에 있어 교원섬유가 주위의 신경과의 신호전달 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점을 고려하여 볼 때 교원섬유와 신경 그리고 혈관의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교원섬유의 새로운 역할 규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노화에 따른 마우스 콩팥소체의 미세구조 변화 (Ultrastructural Changes of the Renal Corpuscle of the Mouse with Age)

  • 고정식;박숙현;안의태;박경호;김진국
    • Applied Microscopy
    • /
    • 제27권4호
    • /
    • pp.373-389
    • /
    • 1997
  • Morphological difference of the renal glomerulus at different age groups have been studies in one week-old, five weeks-old, eight weeks-old, six months-old, twelve months-old, eighteen months-old, twenty-four months-old, and thirty months-old ICR mice. Pieces of the tissue taken from the renal corticies were fixed in 2.5% glutaraldehyde-1.5% paraformaldehyde solution (0.1 Millonig's phosphate buffer pH 7.3), and 1% osmium tetroxide solution (0.1 M Millonig's phosphate buffer, pH 7.3), and were embedded in araldite mixture. The ultrathin sections were stained with uranyl acetate and lead citrate solution, and were observed under a JEM 100CX-II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one week-old mouse, thicknesses of the three layers of the glomeluar basal lamina (lamina densa, lamina rara interna and lamina rara externa) are similar, but in the five weeks-old mouse, thick lamina densa becomes a greater portion of the thickness of whole glomerular basal lamina. 2. No difference was noticed between thickness of the renal glomerular basal lamina of the five weeks-old mouse compare with that of the one week-old one, but basal lamina of the eight weeks-old one is thickened considerably and thicknesses were maintained through twelve months-old one. After eighteen months, the thickness of the glomerular basal lamina is increased remarkably. 3. After eighteen months, electron dense deposits within the basal lamina of the renal glomeruli are observed frequently. 4. Amount of the microfilaments in the mesangial cells and the mesangial matrices are increasing during aging. 5. The thicknesses of the basal laminae of the Bowman's capsule are increasing during aging. 6. After twenty four months, the proximal tubular cell-like parietal cells with well developed microvilli are observed frequently.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renal glomerulus matures structurally in five weeks, and the function of the glomerulus is suppressed after eighteen months.

  • PDF